• Title/Summary/Keyword: 철근자동배근

Search Result 1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3D Rebar Placing and Drawing System (3차원 배근 설계 및 배근시공도 작성 시스템)

  • Lee, Byeong-Kwun;Kim, Chee-Kyeong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529-53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철근가격 급등과 배근시공도 작성 인력 부족에 대비하여 SDM# 제품군을 사용하여 이음/정착을 고려한 3차원 철근 배근 자동화 기술(RAP)로 철근 배근 자동생성 및 배근시공도 작성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최근 철근가격 급등으로 인한 공사원가상승/인건비 상승/배근시공도 작성 인력 부족 등의 기존현황의 문제점 등을 SDM# 제품군의 철근 배근 자동화 기술(RAP)을 이용하여 자동 철근배근/배근시공도 작성/정밀 골조물량 산출/인력절감/시공 정밀도 향상/골조 공사비 절감 등의 효과와 기존의 현장가공으로 인한 철근 손실률 8%를 공장가공을 적용함으로써 3% 수준으로 낮출 수 있어 5% 내외의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철근현장가공에서 공장가공 전환으로 골조물량 절감을 기대할 수 있고, 이음/정착/응력분포가 고려된 3차원 철근 배근 자동화 기술(RAP)을 이용하여 자동배근 알고리즘에 의한 배근시공도/가공도 작성 효율을 높이고, 기술 자립을 통해 건설시공 분야의 기술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Automation in Reinforcing-bar Configurations for Frame Members based on the Case-study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사례분석 기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프레임부재 자동배근 생성에 관한 연구)

  • Lee, Je-Hyuk;Jang, Ja-Wang;Cho, Young-Sang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383-38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프레임부재 철근을 대상으로 배근 설계 및 철근 형상화 알고리즘을 구축하여 자동배근을 생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철근 콘크리트의 BIM 통합 설계 시스템은 철근 배근정보의 생성과 호환이 원활하지 않아 표준 정보 호환 체계가 구축되지 않은 실정이다. 기존 2차원 기반 프로세스에서는 철근 배근 설계에 있어 표준화된 기준에 따른 배근이 아닌 관행이나 일률적인 배근 지침에 따라 배근 상세를 정하고 있고, 2차원 배근 설계 결과만 제시하고 있어 상호 호환 가능한 철근 배근 정보데이터가 생성되지 않는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에서의 철근 배근 정보를 생성하고 BIM 통합 구조 설계시스템에서의 정보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해, 프레임부재 철근을 대상으로 구조 해석 데이터베이스와 통합 설계 플랫폼 간의 호환 시스템을 생성하고, 콘크리트학회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에 따른 배근 설계 및 철근 형상화 알고리즘을 구축하여 자동배근시스템(Integrated Reinforcement for Frame Members, 이하 IRFM)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 PDF

The Study on Development of Automatic Main Placing Macro of Beams for RC Structures based on BIM (BIM기반 철근콘크리트 보의 주철근 자동배근 매크로 생성 및 구현에 관한 연구)

  • Cho, Young-Sang;Shin, Tae-Song;Hong, Sung-Uk;Lee, Je-Hyuk;Jang, Hyun-Suk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537-540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보의 주철근을 대상으로 건물정보모델링(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통합 설계 시스템 상에서 배근 설계 및 철근 형상화 알고리즘을 구축하여 자동배근 시스템(ARPM, Automatic Reinforcement Placing Module)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조분야에서의 BIM 프로세스는 정보호환체계를 구축하는 과정에 있으며, 철골 구조 프로세스의 경우 표준 호환 포맷을 이용하여 원활한 정보 호환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철근 콘크리트의 BIM 통합 설계 시스템은 철근 배근정보의 생성과 호환이 원활하지 않아 표준 정보 호환 체계가 구축되지 않은 실정이다. 기존 2차원 기반 프로세스에서는 철근 배근 설계에 있어 표준화된 기준에 따른 배근이 아닌 관행이나 일률적인 배근 지침에 따라 배근 상세를 정하고 있고, 2차원 배근 설계 결과만 제시하고 있어 상호 호환 가능한 철근 배근 정보데이터가 생성되지 않는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에서의 철근 배근 정보를 생성하고 BIM 통합 구조 설계시스템에서의 정보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해, 보의 주철근을 대상으로 구조 해석 데이터베이스와 통합 설계 플랫폼 간의 호환 시스템을 생성하고, 콘크리트학회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에 따른 배근 설계 및 철근 형상화 알고리즘을 구축하여 자동배근시스템(ARPM)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 PDF

The Study on Development of Automatic Main Reinforcement Placing System of Columns for RC Structures based on Parametric Technology (파라메트릭 기술기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기둥부재 주철근 자동배근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Cho, Young-Sang;Hong, Seong-Uk;Kim, Yu-Ri;Lee, Je-Hyuk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484-487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핵심기술인 파라메트릭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기둥부재 주철근 자동배근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기존 프로그램에서 사용자가 직접 입력해야하는 변수의 수를 최소화하고 사용성과 정확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철근배근 형상 자동 모델링에서 기둥철근의 자동 모델링은 기둥단면이 변하는 부분에서의 철근 배근과 정착 및 이음길이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 만약 고려하더라도 이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규모가 큰 건물일 경우 방대한 정보의 처리 미숙으로 인해 정확한 모델링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둥 부재에 대하여 대상 건물을 선정하고 구조해석 모델링을 구축한 후 구조해석 결과 데이터베이스를 추출하여 얻은 정보와 건축구조설계기준에 따른 정착 및 이음 길이 산정에 관한 알고리즘을 구축하여 철근배근 형상 자동화 모듈에 적용하여 배근 자동 설계 및 자동 형상화 모듈을 생성하였다.

  • PDF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utomatic Rebar Placement System Applying Selection Method of Optimum Reinforcing Bar Group on Shear Wall (최적배근그룹 선정방법을 적용한 전단벽체의 자동배근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Cho, Young-Sang;Kim, Dong-Eun;Jin, Hyun-Ah;Jang, Hyun-Su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9 no.1
    • /
    • pp.81-89
    • /
    • 2015
  • This study takes shear wall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s study object,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tructure BIM based on automatic reinforcing bar placement system applying set-based design through the most optimum reinforcing bar placement group that was selected by applying AHP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method from design step. For this, the most optimum reinforcing bar placement group was selected by pairwise comparison analysis on complex standard of multiple alternatives. And shear wall automatic reinforcing bar placement system has been developed, which can automatically generate members and arrange reinforcing bar by structure design algorithm and using open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provided by a BIM software vendor. As a result, the most optimum reinforcing bar placement group of the highest weight, ALT1, was selected and was generated using Tekla Structure program.

Automated Bar Placing Model Generation for Augmented Reality Using Recognition of Reinforced Concrete Details (부재 일람표 도면 인식을 활용한 증강현실 배근모델 자동 생성)

  • Park, U-Yeol;An, Sung-H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20 no.3
    • /
    • pp.289-296
    • /
    • 2020
  • This study suggests a methodology for automatically extracting placing information from 2D reinforced concrete details drawings and generating a 3D reinforcement placing model to develop a mobile augmented reality for bar placing work. To make it easier for users to acquire placing information, it is suggested that users takes pictures of structural drawings using a camera built into a mobile device and extract placing information using vision recognition and the OCR(Optical Character Registration) tool. In addition, an augmented reality app is implemented using the game engine to allow users to automatically generate 3D reinforcement placing model and review the 3D models by superimposing them with real images. Details are described for application to the proposed methodology using the previously developed programming tools, and the results of implementing reinforcement augmented reality models for typical members at construction sites are reviewed. It is expected that the methodology presented as a result of application can be used for learning bar placing work or construction review.

Development of the Rebar Auto Placing System Using 3D Structural Information Model (3차원 골조정보모델을 이용한 철근배근 자동생성 시스템)

  • Lee, Byeong-Kwun;Kim, Chee-Kyeong;Kim, Gye-Joong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4a
    • /
    • pp.72-75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구축되어 있지 않은 3차원 BIM 기반 설계 및 시공 환경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에 대비하여 3차원 BIM 지향적 구조설계 프로그램인 SDP 제품군을 사용하여 BIM 프로그램들을 연동한 3차원 BIM 철근배근 자동생성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현재 국내 건설업계의 치열한 수주경쟁으로 수익률저하/철근 등 자제가 폭등/인건비 상승/배근시공도 작성 인력 부족 및 신뢰성 저하 및 납기 지연 등의 기존 현황의 문제점 등을 SDP 제품군을 이용하여 구조설계/배근시공도 작성/정밀 골조물량 산출을 통합 지원하는 엔지니어링 컨설팅 환경을 구축하여 구조설계 시 V/E 동시 수행, 골조공사비 10% 절감, 배근시공도 및 물량산출 납기 최소로 단축, 배근시공도 정확성 향상/설계 및 시공 변경에 신속 대응, 공정 대비 발주 물량 관리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고수익, 고효율, 고품질 의 엔지니어링 컨설팅 수행이 가능하다. 3차원 BIM 을 기반으로 철근현장가공에서 공장가공 전환 가속화로 국가적 물량 절감을 기대할 수 있고, 3차원 BIM 구조설계 및 골조공사 환경 구축 및 기술 자립을 통해 건설시공 분야의 기술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Measuring Rebar Position Error and Marking Work for Automated Layout Robot Using LiDAR Sensor (마킹 로봇의 자동화를 위한 LiDAR 센서 기반 철근배근 오차 측정 및 먹매김 수행 프로세스 연구)

  • Kim, Taehoon;Lim, Hyunsu;Cho, Kyuma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23 no.2
    • /
    • pp.209-220
    • /
    • 2023
  • Ensuring accuracy within tolerance is crucial for a marking robot; however, rebar displacement frequently occurs during the structural work process, necessitating corrections to layout lines or rebar locations. To guarantee precision and automation, the marking robot must be capable of measuring rebar error and determining appropriate adjustments for marking lines and rebar placement. Consequently,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for measuring rebar location error using a LiDAR sensor and implementing a layout assessment process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s. The rebar recognition experiment using the LiDAR sensor yielded an average error of 5mm, demonstrating a reliable level of accuracy for wall rebars. Additionally, this research proposed a process that enables the robot to evaluate rebar and marking corrections based on the error range.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automated operation of marking robots while accounting for construction errors, potentially leading to improvements in structural quality.

A Framework for the Computer-aided Shop Drawing (철근 배근시공도 설계 자동화 프레임워크)

  • Maeng, Seung-Ryol;Gong, Heon-Tae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12
    • /
    • pp.556-565
    • /
    • 2009
  • In this paper, we propose a CAD software framework to automatically generate a shop drawing. Shop drawing is to draw the geometric figures representing an arrangement of steel bars for a concrete building on its structural design, based on its construction specifications and the design rules, and its well-formed process lead to be automated. A key point of the design automation is to minimize the user interactions by automatically recognizing the design specifications and to finally generate the shape of the geometric figures. The graphic pipeline of the proposed framework consists of four stages; a specification DB, specification extraction, binding, and rendering. To effectively extract all specifications only for a figure from the DB and bind them to its shape, we use a hierarchical approach; the specifications are classified into three common, structural, and figure classes, and each attribute is extracted in design phases. Based on our framework, we implemented a specialized CAD for shop drawing using AutoCAD and could easily update it according to user's demand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niForm for the Construction Management of Structures (골조공사 관리시스템 ConiForm의 설계와 구현)

  • Lee, Joon-Seok;Kim, Hyeon-Jeong;Kim, Chee-Kyeong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101-10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구조설계, 철근배근시공도 작성, 골조 물량 산출, 3D BIM 모델 생성 등 기존에 독립된 업무로 수행되던 골조공사 관련 엔지니어링 업무를 통합 수행하는 골조공사 관리시스템 ConiForm을 개발하여 2차원 CAD로부터 3D 골조모델 생성하고, 3D 모델로부터 철근의 이음/정착/철근길이 등을 반영한 철근배근시공도 및 가공도 작성과 골조물량을 산출하여, 3D BIM 도구와의 연동함으로써 정밀 물량 및 견적을 자동 산출하고 건축모델과 구조모델 간 정보공유 및 통합 BIM 실현 등을 제시하고자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