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철광물

Search Result 3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The Study on Desalting Method for Removing Chloride ions and Corrosion Products of Iron artifacts (철제유물의 탈염처리 방법 및 부식생성물에 관한 연구)

  • Yu, Jae Eun;Hwang, Hyun Sung;Koh, Kyong Shin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2a
    • /
    • pp.45-5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KaOH, $K_2CO_3$, Sodium, 그리고 1차 이온수 용액의 $Cl^-$ 이온 추출량과 부식생성물의 생성순위, 부식물 생성, 그리고 부식물 제거에 관하여 관찰하였으며 이 연구로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Cl^-$ 이온 추출량에 대한 실험 결과 NaOH은 탈염 초기에는 Cl- 이온을 잘 추출시켰으나 탈염 횟수가 증가하면서 $Cl^-$ 이온의 추출량이 급감하였다. 또한 유물 중량 변화에도 감소폭이 가장 심하였다. $K_2CO_3$은 NaOH나 1차이온수 용액과 비교해 보면 이 방법은 탈염처리동안 $Cl^-$ 이온을 꾸준히 추출시켜 주었으며 다른 탈염용액에 비해 유물 중량변화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Sodium 용액은 $K_2CO_3$ 용액과 마찬가지로 탈염처리 동안 $Cl^-$ 이온을 꾸준히 추출시켰으며 다른 탈염 용액에 비해 $Cl^-$ 이온 추출량이 가장 많았다. 하지만 이 용액은 약품 내에 불순물인 $Cl^-$ 이온을 $3\~5\;ppm$을 기지고 있어 보존처리자가 탈염처리를 할 때 좀 더 신중하게 생각해야 할 것 같다. 1차 이온수 용액은 부식인자가 $Cl^-$이온을 완전하게 제거해주지는 못하였지만, pH가 $7.5\~7.9$로 다른 탈염 용액에 비해서 전위차가 낮으며, 별도로 탈알칼리 처리를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유물손상은 극소화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 용액은 부식이 매우 심한 철제 유물이나 균열이 많은 주조 철편과 같은 유물을 처리할 때 적절한 용액이다. 부식생성물 관찰에서는 출토 철기 유물에 생성된 부식물은 주로 인철광$(\gamma-FeOOH)$, 침철광$(\alpha-FeOOH)$, 적금광$(\beta-FeOOH)$, 그리고 자철광$(Fe_3O_4)$이다. 인위적 부식에서는 전부 인철광의 부식물이 생성되었고 자연적 부식에서는 모두 침철광의 부식물이 생성되었다. 특히 철제 표면에 자연적으로 생성된 공식 녹을 XRD 분석한 결과 적금광으로 동정되었다. 이런 모든 시편들을 각 탈염방법에 따라 탈염처리한 후 XRD와 SEM-EDS으로 분석한 결과 인철광과 침철광은 어떠한 변화도 보이지 않았고, 다만 적금광으로 동정된 시편만이 잔존하지 않았다. 철기 제작별 $Cl^-$ 이온 추출량과 탈염효과에 대한 비교 실험은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결과와 마찬가지로 단조 철제유물이 주조 철제보다 $Cl^-$ 이온을 많이 가지고 있었으며, 탈염 처리 후에는 $Cl^-$ 이온은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K_2CO_3$와 Sodium 용액은 탈염처리에서 가장 적합한 탈염처리 용액으로 알수가 있었으며 특히 어떠한 탈염 용액으로 유물을 처리한다 해도 철제유물에 생성된 부식물은 제거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보존처리자는 유물 표면의 부식 상태만을 보고 처리하기 보다는 철기제작물로 고려하여 처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금속에 부식을 야기시키는 $Cl^-$ 이온과 부식물을 완전하게 제거하여 탈염처리를 하는 것이 유물 부식을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

  • PDF

Removal and Restraint Effects by Mg Metal on Scale in Water Pipe (금속 마그네슘을 이용한 배관 내벽의 스케일 제거 및 억제 효과 연구)

  • Kim, Jeong-Jin;Kim, Yoon-Young;Kim, Hyoung-Soo;Jang, Yun-Deuk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9 no.2 s.48
    • /
    • pp.111-121
    • /
    • 2006
  • SEM, stereo-microscope, XRD, scale-removal experiment were used for the study of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and possibilities of removal and depress of scales in water pipe. Scales are mostly composed mainly of iron minerals with minor Si and Ca containing minerals. This experimental study showed that the combination of Mg and brass was most effective on removing scales.

Pathogenesis of Inflammation in H. pylori Infection

  • 정현채
    • 대한위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4a
    • /
    • pp.9-17
    • /
    • 2002
  • 위의 parietal cell 혹은 대식세포와 유사한 세포 내부에서 H. pylori가 발견된다는 보고가 있기는 하나 일반적으로 H. pylori는 Shigella와 같은 침습성 세균은 아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H. pylori에 감염된 위점막에는 많은 수의 호중구를 위시한 염증세포의 침윤이 관찰되는데 H. pylori가 위상피세포에 부착 할 경우 위상피세포를 자극하여 interleukin-8을 위시한 cytokine 을 발현케하고 이에 의하여 호중구 등의 염증세포가 몰려들게 된다. 한편 고유층에 몰려든 호중구에서는 다시 interleukin-8을 위시한 일련의 호중구 활성화 chemokine을 분비하여 염증반응을 증폭해 나갈 것이다. 호중구에서 발현되는 myeloperoxidase나 활성 산소 등도 위점막의 조직 손상에 기여할 것이다. 위상피세포를 덮고 있는 점액층은 위상피세포를 보호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H. pylori 감염의 경우 점액층에 의하여 H. pylori의 운동성이 증가하고 이것이 위상피세포로부터의 cytokine 발현을 자극하여 염증반응을 증폭하는데 관여할 가능성도 있다. H. pylori는 위상피세포에 대하여 apoptosis를 유도함과 동시에 고유층에 몰려든 호중구에 대하여는 apoptosis를 억제케하여 궁극적으로 염증반응을 증폭 및 지속시켜 나가는 쪽으로 작용한다. 한편 H. pylori는 위상피세포로부터 COX-2의 발현을 증가시키는데 이는 위상피세포의 apoptosis를 억제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외에 H. pylori의 urease에 의하여 발생한 암모니아나 H. pylori 자신이 분비하는 세포독소가 세포 손상을 유발할 가능성도 있다. 상술한 여러 독성 인자들 중 어느 하나가 단독으로 작용하기보다는 여러 인자가 같이 동시에 또는 시차를 두고 작용할 가능성이 많다고 생각된다.(\gamma-FeOOH)$, 침철광$(\alpha-FeOOH)$, 적금광$(\beta-FeOOH)$, 그리고 자철광$(Fe_3O_4)$이다. 인위적 부식에서는 전부 인철광의 부식물이 생성되었고 자연적 부식에서는 모두 침철광의 부식물이 생성되었다. 특히 철제 표면에 자연적으로 생성된 공식 녹을 XRD 분석한 결과 적금광으로 동정되었다. 이런 모든 시편들을 각 탈염방법에 따라 탈염처리한 후 XRD와 SEM-EDS으로 분석한 결과 인철광과 침철광은 어떠한 변화도 보이지 않았고, 다만 적금광으로 동정된 시편만이 잔존하지 않았다. 철기 제작별 $Cl^-$ 이온 추출량과 탈염효과에 대한 비교 실험은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결과와 마찬가지로 단조 철제유물이 주조 철제보다 $Cl^-$ 이온을 많이 가지고 있었으며, 탈염 처리 후에는 $Cl^-$ 이온은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K_2CO_3$와 Sodium 용액은 탈염처리에서 가장 적합한 탈염처리 용액으로 알수가 있었으며 특히 어떠한 탈염 용액으로 유물을 처리한다 해도 철제유물에 생성된 부식물은 제거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보존처리자는 유물 표면의 부식 상태만을 보고 처리하기 보다는 철기제작물로 고려하여 처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금속에 부식을 야기시키는 $Cl^-$ 이온과 부식물을 완전하게 제거하여 탈염처리를 하는 것이 유물 부식을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TEX>$88\%$)였다.(P=0.063). 결론: 본 연구에서는 MTHFR C/T & T/T 유전자 다형성이 위암의 발생과 그 위치에 대해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흡연력, 음주력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험이

  • PDF

The Widening of Fault Gouge Zone: An Example from Yangbuk-myeon, Gyeongju city, Korea (단층비지대의 성장: 경주시 양북면 부근의 사례)

  • Chang, Tae-Woo;Jang, Yun-Deuk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8 no.2
    • /
    • pp.145-152
    • /
    • 2008
  • A fault gouge zone which is about 25cm thick crops out along a small valley in Yangbuk-myeon, Gyeongju city. It is divided into greenish brown gouge and bluish gray gouge by color. Under the microscope, the gouges have a lot of porphyroclasts composed of old gouge fragments, quartz, feldspar and iron minerals. Clay minerals are abundant in matrix, defining strikingly P foliation by preferred orientation. Micro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bluish pay gouge and greenish brown gouge are as follows: greenish brown gouge compared to bluish gray gouge is (1) rich in clay minerals, (2) small in size and number of porphyroclasts, and (3) plentiful in iron minerals which are mostly hematites, while chiefly pyrites in bluish gray gouge. Hematites are considered to be altered from pyrites in the early-formed greenish brown gouge under the influence of hydrothermal fluids accompanied during the formation of bluish gray gouge that also precipitated pyrites. It is believed that the fault core including bluish gray gouge zone and greenish brown gouge zone was formed by progressive cataclastic flow. In the first stage the fault core initiates from damage zone of early faulting. In the second stage damage zone actively transforms into breccia zone by repeated fracturing. The third stage includes greenish brown (old) gouge formation in the center of the fault core mainly by particle grinding. In the third stage further deformation leads to the formation of new (bluish gray) gouge zone while old gouge zone undergoes strain hardening. Consequently, the whole gouge zone in the core widens.

Cyclic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ynthetic rutile and pure iron oxide from the domestic titaniferous magnetite ore (국내 부존의 함티탄자철광으로 부터 합성 rutile 및 고순도 철화산화물의 제조를 위한 순환 공정)

  • Lee, Chul-Tae;Ryoo, Young-Hong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2 no.4
    • /
    • pp.372-384
    • /
    • 1991
  • The sulfation of the domestic titaniferous magnetite ore with ammonium sulfate was investigated to find a cyclic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ynthetic rutile and high purity iron oxide and to test the feasibility of ammonium sulfate being an alternative sulfation agent. The proper sulfation conditions were determined to be a temperature of $425^{\circ}C$, 2.5 hours of reaction time, the weight ratio of ammonium sulfate to titaniferous magnetite : 11, and particle size or titaniferous magnetite : -250 mesh. 90.4 % of $TiO_2$ and 85.3 % of iron were extracted from the titaniferous magnetite sulfated under these conditions by the water leaching. From the leachate $TiO_2$ of 93.8 % purity as a mixture of rutile and anatase and ${\alpha}-Fe_2O_3$ of 97.6 % purity were obtained.

  • PDF

Iron-bearing Minerals in the Kaolin from Hadong-Sancheong Area (하동-산청 고령토 중의 함철광물 연구)

  • 김수진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 no.1
    • /
    • pp.1-14
    • /
    • 1988
  • 최근 국내에서의 고령토의 다양한 공업적 이용추세는 다량의 고품위 고령토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그러나 하동-산청지역의 고령토 광석은 저품위가 대부분인 반면 그 양은 막대하다. 고령토의 저품위 현상은 산화철광물과 함철 규산염광물등 고령토 이외의 광물들이 고령토 광석에 다량 함유된데 기여한다. 그릴제거, 자력분리 및 디티오나이트에 의한 침출등 종래의 정제 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고령토 정광에는 아직도 상당량의 철분이 함유되어 있어서 정광의 품위가 높지 않다. 고령토 광석으로부터 분리해낸 순수한 할로이사이트는 평균 Fe2O3 0.4%를 함유하고 있으며 이 철분은 할로이사이트내에 구조철로 함유되어 있다. 고령토에 함유되어 있는 함철광물로는 산화광물(적철석, 자철석, 침철석, 티탄철석)과 규산염광물(감섬석, 버미큘라이트, 일라이트, 녹니석)이 있다. 종래의 정제방법으로는 대부분의 산화철광물들은 제거 되었지만 버미큘라이트(Fe2O3 0.9%)와 일라이트 (Fe2O3 1.2%)는 고령토 정광에 계속 남아 있어서 저품위 정광이 되고 있다. 버미큘라이트와 일라이트의 함유가 주로 고령토 정광의 저품위의 원인이 되고 있기 때문에 고품위 고령토 정광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이들 두 광물을 제거해야 한다.

  • PDF

Microbial Leaching of Iron from Shinyemi Magnetite Ore (미생물을 이용한 신예미 자철광으로부터 철 침출에 관한 연구)

  • Roh, Yul;Oh, Jong-Min;Suh, Yong-Jae;Jang, Hee-Dong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0 no.4
    • /
    • pp.357-366
    • /
    • 2007
  • Microorganisms participate in a variety of geochemical processes such as weathering and formation of minerals, leaching of precious metals from minerals, and cycling of organic matt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iogeochemical processes of iron leaching from magnetite ore by iron-reducing bacteria isolated from intertidal flat sediments, southwestern part of Korea. Microbial iron leaching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magnetite ore, Shinyemi magnetite ore, in well-defined media with and without bacteria at room temperature for a month. Water soluble Fe and Mn during the leaching experiments were determined by ICP analysis of bioleached samples, and the resulting precipitated solids were characterized by X-ray diffraction (XRD)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The extent of iron leaching from magnetite in the aerobic conditions (Fe = 15 mg/L and Mn = 3.41 mg/L) was lower than that in the anaerobic environments (Fe = 32.8 mg/L and Mn = 5.23 mg/L). The medium pH typically decreased from 8.3 to 7.2 during a month incubation. The Eh of the initial medium decreased from +144.9 mV to -331.7 mV in aerobic environments and from -2.3 mV to -494.6 mV in anaerobic environments upon incubation with the metal reducing microorganisms. The decrease in pH is due to glucose fermentation producing organic acids and $CO_2$. The ability of bacteria to leach soluble iron from crystalline magnetite could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biogeochemical processes in sediments where Fe(III) in magnetite represents the largest pool of electron acceptor as well as to use as a novel biotechnology for leaching precious and heavy metals from raw materials.

Mineral Precipitation and the Behavioral Changes of Trace Elements in Munkyeong Coal Mine Drainage (문경 석탄광 배수의 광물 침전 및 미량 원소의 거동 변화)

  • Shin, Ji-Hwan;Park, Ji-Yeon;Kim, Ji-Woo;Ju, Ji-Yeon;Hwang, Su-Hyeon;Kim, Yeongkyoo;Park, Changyun;Baek, YoungDoo
    •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 /
    • v.35 no.3
    • /
    • pp.355-365
    • /
    • 2022
  • Precipitation and phase transition of iron minerals in mine drainage greatly affect the behavior of trace elements. However, the precipitation of ferrihydrite, one of the major iron minerals precipitated in drainage, and the related behavior of trace elements have hardly been studied.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pH change and time on mineral precipitation characteristics in mine drainage from the Munkyeong coal mine were investigated, and the behavioral changes of trace elements related to the precipitation of these minerals were studied. In the case of precipitated mineral phases, goethite was observed at pH 4, and 2-line ferrihydrite mixed with small amount of 6-line ferrihydrite was mainly identified at pH 6 or higher. In addi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precipitation of calcite additionally increased as the pH increased in the samples at pH 6 or higher. The occurrence of goethite was probably due to the phase change of initially precipitated ferrihydrite within a short time under the influence of low pH. Our results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 of trace elements was strongly influenced by pH and time. With increasing time, Fe concentration in the drainage showed a abrupt decrease due to the precipitation of iron minerals, and the concentration of As existing as oxyanions in the drainage, also decreased rapidly like Fe regardless of the pH values. This decrease in As concentration was mainly due to co-precipitation with ferrihydrite, and also partly to surface adsorption on goethite at low pH in drainage. Contrary to this observation, the concentration of other trace elements, such as Cd, Co, Zn, and Ni was greatly affected by the pH regardless of the mineral species. The lower the pH value,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of these trace elements were observed in the drainage, and vice versa at higher pH.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behavior of trace elements present as cations is more greatly affected by the mineral surface charge influenced by the pH values than the type of the precipitated mineral.

Surface Complexation Modeling of Cadmium Sorption onto Synthetic Goethite and Quartz (표면착물 모델을 이용한 합성 침철광과 석영의 카드뮴 흡착 모사)

  • Ok, Yong-Sik;Jung, Jin-ho;Lee, Ok-Min;Lim, Soo-kil;Kim, Jeong-Gyu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6 no.4
    • /
    • pp.210-217
    • /
    • 2003
  • An alternative method to the empirical approach such as Langmuir and Freundlich model, surface complexation model using thermodynamic database is used to simulate adsorption behavior of cadmium for oxide minerals. Sorption of cadmium onto amorphous silica ($SiO_2$) and synthetic goethite (${\alpha}$-FeOOH) at various conditions of pH, initial cadmium loading, oxide concentration, and ionic strength, were investigated. For both oxide minerals, increasing cadmium concentration resulted in right shifting of the sorption curve of cadmium as the function of pH. The $pH_{50}$, where 50% of cadmium sorbed, of goethite (pH 5.25) was much smaller than that of the silica (pH 7.83). The sorption of cadmium onto both minerals were not affected by the background ion strength from $10^{-1}$ to $10^{-2}$ M of $KNO_3$. It indicated that the binding affinity of goethite surface for cadmium is much stronger than that of silica. The strong affinity of oxide mineral for cadmium can be explained by the existence of coordination or covalent bond between cadmium and surface of it.

Study on Analysis Technique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High Thermal Conductivity Concrete with Magnetite Aggregates and Steel Powder (자철광 및 철분말을 혼입한 고열전도 콘크리트의 열전도 평가 및 해석기법 비교에 대한 연구)

  • Lee, Hack-Soo;Kim, Min-Kyu;Kwon, Seung-Jun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26 no.3
    • /
    • pp.315-321
    • /
    • 2014
  • Concrete as a construction material is widely used in nuclear vessel and plant for excellent radiation shielding. However the isolation characteristics in concrete may affect adversely in the case of fire and melt-down in nuclear vessel since temperature cooling down is very difficult from outside. This study is for development of high thermal conductive concrete, and its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are evaluated. Magnetite aggregates with volume ratio of 42.3% (maximum) and steel powder of 1.5% are replaced with normal aggregates and thermal properties are evaluated. Thermal conductivity little increases by 30% addition of magnetite but rapidly increases afterwards. Finally thermal conductivity is magnified to 2.5 times in the case of 42.3% addition of magnetite. Steel powder has a positive effect on high thermal conduction to 106~113%. Several models for thermal conduction like ACI, DEMM, and MEM are compared with test results and they are verified to reasonably predict the thermal conductivity with increasing addition of magnetite aggregates and steel pow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