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철골설치 작업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6초

기후요소에 의한 철골공사 작업불가능일 산정에 관한 연구 (Calculation of Non-Working Days due to Weather Factors during Structural Steel Works)

  • 이덕형;유정식;유재길;정재훈;정희경;유정호;김창덕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137-145
    • /
    • 2006
  • 건설공사에 있어서 작업불가능일수 산정은 정확한 공사기간을 예측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기후요소는 예측의 불확실성을 지니고 있어 정확한 공기산정을 어렵게 한다. 또한 기존의 작업불가능일수 산정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철근콘크리트공사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철근콘크리트의 작업불가능 기준을 철골공사에 적용할 경우에는 많은 오차가 생기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 및 현장 조사 등을 통해 기후요소를 고려한 철골공사의 작업불가능 기준을 설정하고, 이를 서울지역의 15년간 기상데이터에 적용시켜 1년간의 철골공사 총 작업불가능일수를 산정하였다. 철공공사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요인으로는 기온, 바람, 강설, 강우 등이 선정되었으며, 철공공사 여러 공종 중 옥외에서 수행되며 철공공사 공기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철골 설치작업을 대상으로 각 기후요소들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분석결과, 서울지역에서 기후요소로 인해 철골설치 작업불가능일이 연간 총 58일로 산정되었으며, 각 월별 작업불가능일수가 제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른 지역의 기상데이터를 적용할 경우 타 지역에서의 철골공사 작업불가능일 산정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작업불가능일의 산정은 철골공사의 보다 정확한 공기산정과 최적의 착공시기 결정에 도움이 될 것이다.

자립형 철골 접합부를 이용한 철골설치 방식의 경제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conomic Evaluation Method of Steel Erection Work using by Self-supported Steel Joint)

  • 김창기;김태훈;조훈희;강경인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9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3-7
    • /
    • 2009
  • Construction projects are being the skyscraper and the large size by limited site condition and developing construction technology. Therefore, Steel structure work is steadily increasing caused by easy to work and structural safety. However, steel-frame work has the large incidence of heavy accident potentially. Recently a research group has recently developed newly designed self-supported steel joint for enhancing safety of steel erection work. Before applying the steel joint in a construction site, economic evaluation should be performed. Thus, we proposed the method for measuring economic efficiency of the new steel joint and verified economic feasibility of the steel joint method through a case study. As a result, Steel erection method using by self-supported steel joint showed economic rather than the one using by H-beams.

  • PDF

철골용 클램프 시공방향에 따른 변형 및 성능확인 (Steel Frame Clamp Deformation and Performance Check based on Clamping Orientation)

  • 모승언;임남기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61-169
    • /
    • 2022
  • 정부[3]에서는 강관비계를 재래식 비계로 규정하고 일체형 작업발판인 시스템비계를 우선 설치하도록 제도화 하고 강관비계의 사용을 최대한 지양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발전소, 플랜트 현장 등 장비의 진입이 안 되거나 본 구조물의 구조가 복잡한 곳, 그리고 지면에서 비계를 쌓아 올리지 못하는 곳에서는 강관비계를 설치하여 작업할 수 밖에 없다. 고소부위의 H-beam 구조물에 강관비계를 설치하여 작업자들이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작업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철골용 클램프의 성능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철골용 클램프의 설치 방향별 부재의 변형 및 인장하중에 대해 성능시험 및 구조해석 모델링을 통해 확인한 결과 설치 방향별 성능은 안전인증 기준인 인장하중 10,000N을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다만 성능값은 만족하지만 부착부 누름 볼트의 변형발생이 확인되었고, 부착부 본체는 변형이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철골용 클램프는 하중이 전달되는 방향으로 설치하여 부착부 본체에 하중이 제대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안전한 방법이다.

LNG 플랜트 사업관리 요소 도출 및 중요도 평가 (Elicitation Project Management Factors and Evaluation of its Weight to Ensure LNG Plant Success)

  • 한재구;진경호;박환표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2부
    • /
    • pp.85-89
    • /
    • 2010
  • The propose of this research is derive project management factors and evaluate its decision weight in LNG plant EPC phases. In order to research, we studied the de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 and analysed expert opinions. Initially we derived nine project management factors in each phase of EPC. Elicited factors in research are project management, design management, cost management, time management, contract and craim management, safety management, environment management, and risk management. Then, we evaluated the weight of project management factors with expert survey method and elicitated. Finally, The remarkable points in the result are that key management factors of EPC project are project management and risk management.

  • PDF

등가재령방식에 의한 조기강도 예측기술의 적용성 검토 (Application Review of the Prediction Method of Early-age Strength with Equivalent Age Method)

  • 이재현;정양희;김용로;김옥종;이도범;정재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2부
    • /
    • pp.51-52
    • /
    • 2010
  • In this study, it is confirmed that the use of equivalent age method can be applied to predict the early-age strength in case of using the new early strength concrete developed for the reduction of construction work period by our company, in apartment.

  • PDF

건설 재해예방을 위한 산업안전보건기준 적용에 관한 연구(철골 공사 표준안전 작업지침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dustrial Safety Health Criteria Application of Construction Accident prevention -(Steel Structure Construction standard Safety Work Guide))

  • 장봉정;임재동;강경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9-46
    • /
    • 2003
  • 산업재해의 직접적인 원인은 작업자의 불안전한 행동과 작업과정에서의 안전시설 설치미흡으로 인한 불안전한 상태로와 기술적, 교육적, 관리적 원인의 복합적인 형태로 발생되는데 그 가운데 산업안전보건법상의 건설공사 각 공종 별 기술적인 안전시설설치 기준이 건설업 종사자에게 쉽게 적용하기가 현행 법기준에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복잡한 법기준을 분석하여 안전사고 예방 기법에 적용하고자 제시하고자하며, 향후에 이를 바탕으로 산업안전보건법상의 안전기준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매입형(슬림플로어) 합성보의 휨성능 평가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와 비대칭 H형강 철골보- (Flexural Capacity of the Encased(Slim Floor) Composite Beam with Deep Deck Plate)

  • 허병욱;배규웅;문태섭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6권2호통권69호
    • /
    • pp.235-245
    • /
    • 2004
  • 현재 합성 구조가 사용성 측면에서 경제적이고 작업성이 좋으며, 시공상의 편의성 등의 장점이 있다는 것은 일반화된 사실이지만, 자체의 춤이 깊기 때문에 철골조 건물에 적용하기에 여러 가지 비효율적 측면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합성보의 전체 춤을 절감할 수 있도록 철골보의 춤내에 콘크리트를 삽입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철골조 고층건물에서 층고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이른바 "슬림플로어" 공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콘크리트에 매입된 비대칭 철골보를 가지는 부분 합성 슬림플로어 시스템의 휨거동에 관한 것이다. 총 8개의 실대형 실험체를 철골보 춤, 전단연결 유무, 슬래브 유효폭, 및 콘크리트 토핑두께 별로 제작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별도의 전단연결재를 설치하지 않은 실험체는 자체가 가지고 있는 기계적 화학적 부착응력으로 인해 완전합성보에 비해서 $0.53{\sim}0.95$의 전단합성비를 나타내었다.

고층건축공사 적시생산을 위한 관리모델 사례 -콘크리트 자재의 Life Cycle을 중심으로- (A Conceptual Model Study For J.I.T(Just In Time) Construction Managemaent On High-rise Building-Concerned On Resource Life Cycle Of Concrete Construction-)

  • 송영석;임형철;최윤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권4호
    • /
    • pp.127-134
    • /
    • 2001
  • 초고층 공사의 다양한 공정들을 정해진 시간내에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최근 자재의 생산에서부터 현장반입, 설치에 이르는 자재 생애주기별 관리를 시스템화하고, 정보화하는 작업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건설공사에서의 자재 적시생산 개념은 초고층평면의 다양화 및 각종 새로운 설비, 자재들의 적용으로 인해서 앞으로도 건설프로젝트 각 부문별로 다양하게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적시생산의 기법을 활용한 그동안의 사례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사례들을 바탕으로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자재의 생애주기(Life Cycle)을 고려한 현장 작업 흐름별 관리 포인트를 설정하여 적시생산 개념을 적용하는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현장의 활용가능성 및 적용을 통한 검증의 용이성, 또한 현장 내부의 양중 및 소운반에 대한 고려가 상대적으로 낮은 골조공사로 연구범위를 설정하여 콘크리트와 철근자재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러한 골조공사에서의 적시생산(Just-In-Time) 개념 도입은 앞으로 커튼월, 가구공사, 창호공사, 철골 등의 부재로의 확대적용을 위한 방향성 제시를 함과 동시에 자재의 생애주기에 따른 정형화된 관리 운용 모델을 제시함으로서 건설공사의 최종적인 생산성 향상을 위한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음을 목적으로 한다.

  • PDF

세미 오픈컷 역타공법의 현장적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emi-open cut Top-Down Construction for Framework)

  • 소광호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29-138
    • /
    • 2011
  • 지하공사는 상부층의 구조물과 연계된 시공순서에 따라 Bottom-Up공법, Up-Up공법 그리고 Top-Down 공법으로 대별할 수 있다. 탑다운 공법을 사용하면 건물의 본구조를 흙막이지보공으로 이용하면서 상층에서 하층으로 굴착과 구체구축을 반복하여 시공함으로써 인접구조물이나 주변 지반의 변위를 극소화 시킬 수 있다. 이는 토류벽의 안정성이 높으며, 각층의 바닥슬래브를 작업공간으로 사용하여 도심지 공사에서 작업장 확보가 용이하다. 그러나 굴토작업이 슬래브 하부에서 진행되므로 작업 능률 및 작업환경이 저하되고, 어스앵커 공법보다 경제성이 없다는 이유로 다소 회피하는 경우가 종종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터파기 공사는 세미오픈컷 공법을 적용하고 흙막이 공법에는 지하연속벽(슬러리월)을 그리고 지보공으로는 C.W.S공법을 적용한 역타공법으로 대상현장을 중심으로 기존 역타공법과 경제성, 공사기간 및 작업성 등을 분석 제시하였다. 토사운반 및 철골설치공사 작업의 용이성과 PRD 공사의 정밀도 향상 등의 품질관리가 우수하며, 공기단축이 가능하였다.

신형상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슬라브의 구조적인 거동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Behavior of the Composite Slab with New-Shaped Deckplate)

  • 허충;문태섭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9권3호통권32호
    • /
    • pp.341-350
    • /
    • 1997
  • 철골구조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 건물의 바닥슬래브 구조는 공사도 무비의 절감과 공기단축의 필요성에 따라 데크플레이트의 사용이 보편화되어 있다. 이러한 데크플레이트는 설치의 용이성 및 작업공간의 제공, 콘크리트 타설시에는 액성 상태의 콘크리트 사하중과 시공하중에 견디는 단일 휨부재로서 거푸집 역할을 하며, 구조용(합성용) 데크플레이트는 콘크리트가 경화한 후 합성슬래브의 주인장재 역할을 한다. 국내의 현행 법규상 데크플레이트를 구소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내화구조로 하여야 하며 이때 내화피복재의 추가시공은 필수적이다. 데크플레이트를 거푸집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내화피복은 필요 없으나 콘크리트 및 철근 추가의 사용으로 건물의 자중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데크플레이트는 대부분 거푸집용으로 위의 문제점을 갖고 있는 실정이고, 합성용 데크플레이트의 경우는 실험한 결과 대부분 슬립 하중이 최대하중으로 결정되는 매우 취성적인 거동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근래에 행하여진 합성용 데크플레이트의 실험을 근간으로 새로운 형상의 구조용 데크플레이트를 제시하며 이를 사용한 합성슬래브의 거동을 파악하고, 신형상의 합성슬래브 실험 결과 ASCE, EC4규준과 비교하며, 이론 모멘트-곡률관계로부터 구한 하중-처짐곡선을 실험치와 비교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