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천장 관절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43초

8주간의 슬링을 이용한 요부안정화 운동이 천장관절 증후군 남성의 근체형 및 주관적 통증정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ling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to Muscle Body Type and Subjective Pain Degree of Men Who Have Sacroiliac Joint Syndrome)

  • 백순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651-658
    • /
    • 2014
  • 본 연구는 천장관절 증후군으로 진단받은 중년남성 17명을 대상으로 슬링을 이용한 요부 안정화 운동이 근체형 및 주관적 통증에 영향을 주는지를 규명하여 슬링을 이용한 요부안정화 운동의 효과성을 증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C시에 소재한 S정형외과에서 X-Ray 등의 검사를 통하여 천장관절 증후군으로 진단 받은 6개월 이상의 병력이 있는 만성 요통환자를 대상으로 슬링을 이용한 요부안정화 운동을 8주간 주 3회씩 1회 30분 통 24회 실시한 후 3차원 Moire 근체형검사기를 사용하여 근체형의 변화와 변형된 VAS통증 자각도를 이용하여 주관적 통증정도의 전 후 변화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근체형의 변화는 운동전과 운동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됐고 주관적 통증정도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슬링을 이용한 요부안정화 운동은 천장관절 증후군 환자의 근체형 및 통증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천장관절가동술 후 수정된 벽 스쿼트 운동이 정상성인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dified Wall Squat Exercise after Sacro­Iliac Joint Mobilization on Balance in Normal Adults)

  • 공원태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160-167
    • /
    • 2020
  • 본 연구는 정상 성인에게 있어 수정된 벽 스쿼트 운동과 천장관절가동술이 정상성인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실시하였다. 34명의 대상자를 선발하여 실험군 17명(여자 10명, 남자 7명) 또는 대조군 17명(여자 10명, 남자 7명)으로 무작위 배치하였으며, 실험군은 6주간 주 3회, 회당 3세트의 수정된 벽 스쿼트 운동과 천장관절가동술을 받았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실험 전과 실험 후 그룹 내 균형을 비교한 결과 실험군은 체중분포지수와 우측 발 뒷부분과 발 앞부분(힘 판 CD), 좌, 우 발 뒷부분(힘 판 AC)과 좌측 발 뒷부분과 우측 발 앞부분(힘판 AD)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고, 대조군은 전체 항목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본 연구에서 수정된 벽 스쿼트 운동과 천장관절가동술이 정상성인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장골의 관심영역 생성을 위한 천장관절 MRI 세그멘테이션 (Sacroiliac Joint MRI Segmentation to Generate RoI of Ilium)

  • 이고은;민재은;최창환;조정찬;최상태;최상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
    • pp.223-224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축형 척추관절염으로 발전할 수 있는 천장관절염 환자들을 진단하기 위해 장골의 관심영역을 자동 생성할 수 있는 세그멘테이션 방법을 제안한다. 다양한 MRI 기기로부터 얻은 천장관절염 환자의 영상에서 장골의 GT(Ground Truth)를 생성하였으며, 대장 용종 검출을 위한 세그멘테이션 모델인 PraNet과 지역 특징 간의 표현 능력을 활용할 수 있는 Position Attention Module을 사용하여 유의미한 성능 향상을 보여주었다.

  • PDF

SAPHO 증후군 - 증례보고 - (SAPHO Syndrome - A Case Report -)

  • 서무삼;박형택;박종훈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06-211
    • /
    • 2003
  • 수장족저 농포증은 특별한 골, 관절계 질환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초기 전흉벽에 국한되었던 이러한 질환은 이후 말초 골, 관절계를 침범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무균성 가감염성 골, 관절 질환 역시 심한 여드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1987년 Kahn 등은 과거 25년간 발표된 특별한 골, 관절 그리고 피부병변에 관한 수많은 보고들을 기술하기 위하여 약성어를 제시하였다. SAPHO 증후군은 Synovitis, Acne, Pustulosis, Hyperostosis and Osteitis syndrome을 뜻한다. 저자들은 SAPHO 증후군으로 의심되는 과골증을 동반한 좌측 쇄골 및 우측 천장 관절 동통과 수장 농포증이 있는 27세 여자 환자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 PDF

내반 퇴행성 족관절염에 대한 과상부 절골술 (Supramalleolar Osteotomy in Patients with Varus Ankle Osteoarthritis)

  • 이우천;김정래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19-123
    • /
    • 2011
  • 본 연구는 내반 족관절 퇴행성관절염에서 선열에 대하여 고찰하고, 과상부 절골술의 적응증과 수술술기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초기 족관절 퇴행성 관절염에서 경골 천장 및 후족부의 선열은 상당히 다양한 형태를 보이며, 과상부 절골술은 거골 경사가 경미하고, 후족부 선열이 중립이거나 내반인 경우가 적응증이다.

SAPHO 증후군에서 골신티그라피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Bone Scintigraphy in SAPHO Syndrome)

  • 임석태;손명희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55-260
    • /
    • 2002
  • 목적: SAPHO 증후군은 전흉벽의 골관절에 주로 위치하는 혈청학적 검사상 음성을 보이면서 다양한 피부증상을 동반하는 골관절 질환으로 질병의 특성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통하여 조기진단을 함으로써 불필요한 수술이나 장기간의 비효율적인 항생제 치료를 피하는 것이 임상적으로 중요점이라 할 수가 있겠다. 이에 저자들은 SAPHO 증후군으로 진단받은 환자에서 골신티그라피의 소견의 특징을 알아보고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다발성 관절통과 반복적으로 재발되는 피부증상이 있어 임상적으로 SAPHO 증후군으로 진단 받은 5명의 환자(모두 남자, $22.8{\pm}4.75$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저에너지 고해상도 조준기가 장착된 이중헤드 감마카메라(ECAM, Siemens, Germany)를 이용하여 전신영상을 얻었고, 2명의 환자에서는 척추 관절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SPECT 영상을 얻었다. 골신티그라피상 섭취증가를 보이는 관절을 알아보고 호발빈도와 단순 X선과 관절 침범 유무를 진단하는 성능을 비교하였다. 결과: 골신티그라피상 모든 환자에서 이상소견을 보인 관절은 흉쇄골 관절, 천장골 관절, 수부의 소관절이었다. 흉쇄골 관절이상은 양측성이 3/5 (60%)이고 일측성이 2/5 (40%)로 관찰되었다. 천장골 관절에서는 양측성이 4/5 (80%) 이고 일측성이 1/5 (20%)로 관찰되었다. 척추 관절의 이상은 4/5 (80%)에서 관찰되었는데 이 가운데 요추 이상은 4명 모두에서 볼수가 있었고 흉추의 이상은 3명, 경추의 이상은 1명에서 보여 척추에서는 요추의 침범이 가장 많았다. 척추골 SPECT는 2명에서 시행되었는데 추체나 척추경 보다는 후관절에 이상을 초래함을 평면영상에 비하여 보다 상세히 알 수가 있었다. 결론: SAPHO 증후군은 피부증상과 함께 다양한 골관절을 침범하는 질환으로 골신티그라피를 시행함으로써 관절의 이상을 조기에 진단하여 불필요한 수술이나 장기간의 비효율적인 항생제 치료를 피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비탄력 고정식 벨트가 노인 여성의 균형능력과 낙상예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pplication of a Non-Elastic Fixation Belt on the Balance Ability and Fall Prevention in Elderly Women)

  • 이장태;천승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398-40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여성의 약화된 천장관절 안정화를 위하여 비탄력 고정식 벨트를 적용하여 균형 능력과 낙상예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노인 여성들은 출산과 폐경으로 천장관절의 약화 및 골반 주위근육들의 약화로 인하여 균형능력의 감소와 낙상위험률이 증가된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연구는 불충분하다. 연구 대상자들은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각각 20명씩 무작위로 배정하였으며, 비탄력 고정식 벨트를 실험군에게 적용한 후 균형 측정기를 사용하여 균형능력과 낙상 위험률을 평가하였다. 또한 비탄력 고정식 벨트를 적용한 실험군에서 하복부근육의 근두께를 초음파기기를 사용하여 실험 전후에 측정하였다. 통계방법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위하여 독립 t-검정, 균형 및 낙상지수를 위하여 $2{\times}2$ 반복 측정 분산분석 및 근두께를 위하여 짝비교 t-검정을 사용하였다. 두 그룹의 교호작용 효과는 안정성 지수(F1,38=47.24, p=0.001), 퓨리에 지수(F1,38=88.83, p=0.001), 체중분포 지수(F1,38=50.21, p=0.001) 및 낙상 지수(F1,38=21.59, p=0.001)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비탄력 고정식 벨트를 적용한 결과 실험 후 복횡근(p=0.001)과 내복사근(p=0.001)의 근두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노인 여성들의 약화된 천장관절의 강화 및 안정화 방법으로 비탄력 고정식 벨트는 균형 및 낙상 예방에 긍정적이며 용이성, 보편성 및 경제적으로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경골 천장부에 발생한 골연골 병변 -1예 보고- (Osteochondral Lesion of the Tibial Plafond - A Case Report -)

  • 황필성;김도영;박용욱;이상수;구현민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09-212
    • /
    • 2005
  • Osteochondral lesion usually occurs in the elbow, knee and ankle joints. Many articles about osteochondral lesion of the talus in the ankle joint have been reported. We experienced a rare case of partially detached osteochondral lesion of the tibial plafond treated with excision and multiple drilling.

  • PDF

천장관절에 적용한 움직임을 동반한 관절가동술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Mobilization With Movements Applied Sacro-Iliac Joint on Gait of Stroke Patient)

  • 임현철;공선웅;정연우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5-50
    • /
    • 2011
  • Background: To determine effects of mobilization with movements (MWM) application on stroke patient with hypomobility on sacroiliac joint. Methods: The subject was 47years old male who have left hemiplegia because of right intra-cerebral hemorrhage. The subject was have hypomobility on sacroiliac joint. MWM using during 4weeks and using Berg balance scale (BBS), Timed up and go (TUG), 10meter walking (10MW) test for evaluation.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below; BBS score for evaluating balance ability was increased, and TUG time, 10MW test time was decrease. Conclusion: We consider that MWM application on stroke patient with hypomobility on sacroiliac joint is not only regain mobility on sacroiliac joint but also increase in balance ability and walking spe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