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천이 영역

Search Result 586,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Micremechanics-based Evaluation of Elastic Modulus of Concrete considering Interfacial Transition Zone (천이영역을 고려한 콘크리트 탄성계수의 미시역학적 추정)

  • 송하원;조호진;변근주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0 no.2
    • /
    • pp.99-107
    • /
    • 1998
  • 콘크리트는 일반적으로 수회시멘트풀과 골재로 이루어진 이상의 복합체이지만 미시적으로는 수화시멘트풀과 골재, 그리고 천이영역으로 이루어진 삼상의 복합체이다. 수화시멘트풀과 골재 사이에서 형성되는 천이영역은 국부적으로 공극률이 높으므로 콘크리트의 강성과 강도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천이영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를 추정하기 위해 이원 삼중 내포물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모델에 의한 탄성계수의 추정결과는 실험결과와 비교하여 잘 일치하였으며 제안된 모델은 실험적으로 구하기 힘든 천이영역의 특성을 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2相 流動에서의 熱傳達(II) -Post-Dryout 영역-

  • 이영환
    • Journal of the KSME
    • /
    • v.24 no.2
    • /
    • pp.92-98
    • /
    • 1984
  • 열전달영역은 임계열류속점(CHF)을 기준으로 pre-CHF 영역과 post-CHF 영역의 두가지로 대 별된다. Post-CHF 영역에 해당하는 열전달에는 천이비등열전달과 막비등열전달이 있으며 천 이비등은 CHF점과 최소 막비등점 사이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핵비등과 막비등이 조합된 열 전달 기구에 해당하고 막비등은 가열표면이 안정된 증기막에 의해 덮여 있는 상태의 열전달 기 구에 속한다. 전고에서는 pre-CHF와 CHF 열전달 영역의 특성을 살펴보았고 본고에서는 천이 비등과 최소막비등온도 및 막비등에서의 열전달 상관식의 특성을 살펴 보고자 한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Transport of Turbulent Energy in the Transitional Boundary Layer (천이영역에서 난류에너지의 이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임효재;백성구;이원근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12 no.2
    • /
    • pp.131-138
    • /
    • 2003
  • This paper considered the structural mechanism of transitional boundary layer by the experimental approach. In order to measure the turbulence quantity in the boundary layer, we made a wind tunnel with 400${\times}$190${\times}$2500 mm test section and a flat plate with well fabricated leading edge. Hot wire anemometer was used for acquiring the continuous turbulence signal which is processed by special software. The results of experiment show that the region where turbulence spot is dominant moves from near wall to overall layer and thus the anisotropy of velocity fluctuation shows so large value. Also the turbulence energy originally contained in low frequency band comes up to the high frequency band. Finally the turbulence model needs minimum two length scales to consider the pre-transition region.

An Improved Method for Detecting Caption in image using DCT-coefficient and Transition-map Analysis (DCT계수와 천이지도 분석을 이용한 개선된 영상 내 자막영역 검출방법)

  • An, Kwon-Jae;Joo, Sung-Il;Kim, Gye-Young;Choi, Hyung-Il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6 no.4
    • /
    • pp.61-71
    • /
    • 2011
  •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method for detecting text region on image using DCT-coefficient and transition-map analysis. The detecting rate of traditional method for detecting text region using DCT-coefficient analysis is high, but false positive detecting rate also is high and the method using transition-map often reject true text region in step of verification because of sticky threshold. To overcome these problems, we generated PTRmap(Promising Text Region map) through DCT-coefficient analysis and applied PTRmap to method for detecting text region using transition map. As the result, the false positive detecting rate decreased as compared with the method using DCT-coefficient analysis, and the detecting rate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method using transition map.

Multiresolution Motion Compensation in the Wavelet Domain (웨이블릿 영역에서의 다중해상도 움직임 보상 방법)

  • 김종태;양창모;임동근;호요성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1.09a
    • /
    • pp.349-352
    • /
    • 2001
  • 일반적인 동영상 압축 부호화 방법에서 시간적 중복 정보를 줄이기 위해 움직임 예측과 움직임 보상 방법을 이용한다.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한 동영상 압축 부호화 기법 중에는 기존의 공간 영역에서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대신에 웨이블릿 변환 영역에서 움직임을 예측하기도 한다. 이러한 방법은 움직임 예측 시간을 줄이는 장점이 있지만, 웨이블릿 변환에서 추림(Desimation)하는 과정에서 천이-변동 문제 (Shift-Variant Problem)를 일으켜 좋지 않은 성능을 나타낸다. 본 논문에서는 웨이블릿 영역에서의 다중 해상도 움직임 예측에서 천이-변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움직임 예측과 움직임 보상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기존의 공간 영역에서의 블록 정합 방법과 비교하여, 더 높은 화질을 나타낼 뿐 아니라, 주관적 화질에도 개선된 결과를 보인다.

  • PDF

Nb첨가가 Zr합금의 석출물과 산화막 특성에 미치는 영향

  • 김현길;위명용;최병권;김경호;정용한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b
    • /
    • pp.148-153
    • /
    • 1998
  • 핵연료 피복관용 신합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Zr-xNb계 합금과, Zr-0.8Sn-xNb계 합금을 각각 4종씩 선정하였다. 이들 합금을 판재시편으로 가공한 뒤 Autoclave를 이용하여 36$0^{\circ}C$에서 부식 시험을 실시하였다. 부식과정에서 생성되는 산화막의 미세구조를 관찰하기 위해 천이 전 영역에서 동일두께를 갖도록 부식시편을 준비하여 산화막/금속계면에 대해 SEM관찰을 실시하였다. 또한 석출물의 크기와 부식과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부식전의 시편에 대해 TEM관찰을 실시하였다. Zr-xNb 2원계 합금에서는 Nb함량이 적을수록 부식저항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0.2Nb가 첨가된 합금이 가장 우수한 부식저항성을 보였다. Zr-0.8Sn-xNb 3원계에서도 천이 전 영역에서는 2원계 합금과 마찬가지로 Nb함량이 적을수록 부식저항성이 증가하나, 천이 후 영역에서는 이런 경향이 바뀌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는 Sn이 첨가됨으로서 Nb가 부식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산화막 관찰결과, 순수 Zr은 결정립계를 따라서 산화막이 급격히 성장하는 반면에, Zircaloy-4합금은 매우 균일한 산화막 계면을 유지한다. Zr-xNb계 합금과 Zr-0.8Sn-xNb계 합금에서도 내식성이 우수한 합금은 균일한 산화막/금속 계면을 유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 PDF

Study on Flow-Shifted Region Depending on Spool Displacement in Hydraulic Servo Valve with Hybrid Lap (하이브리드 랩 방식 유압 서보 밸브의 스풀 변위에 따른 유동 천이 영역에 대한 연구)

  • Jeong, Hwang-Hun;Yun, So-Nam;Lee, Sung-Soo;Yang, Joo-Ho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7 no.3
    • /
    • pp.213-219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the static characteristics of a spool valve with a hybrid lap between the spool land and the sleeve. The static equation for the pressure characteristics was derived from flow equations that depend on the spool displacement, and the final model was derived from $q_a=q_b=0$ because the pressure characteristics test needs to block the control port in the valve. The static equation for the flow characteristics was derived from the pressure characteristics when the control port is open ($q_a=q_b$, $p_a=p_b$). The characteristic equation in the shifted region was assumed from the propor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sure-flow characteristics and the spool displacement.

Natural Convective Heat Transfer Adjacent to Slightly Inclined Isothermal Surface Immersed in Cold Pure Water (수평으로부터 약간 경사진 등온면이 저온의 순수물 속에 잠겨있을때 일어나는 자연대류 열전달)

  • 유갑종;엄용균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5 no.3
    • /
    • pp.1001-1010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천이유동의 존재를 밝히고 천이영역과 경사각의 관계, 유동 및 열전달특성을 구명하고자 한다.이를 위해 유한차분방법(FDM)으로 수치해석하고 실 험결과와 비교, 검토하였다.

Zr 합금의 부식 및 산화학 특성에 미치는 Sn의 영향

  • 전치중;김선진;배종혁;정용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b
    • /
    • pp.231-236
    • /
    • 1998
  • 원자력 발전소의 핵연료 피복관 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Zr합금의 부식특성에 미치는 Sn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Sn 함량을 0.5, 0.8, 1.5, 2.0wt.%로 조절한 Zr-xSn 2원계 합금과 Zr-0.4Nb-xSn 3원계 합금을 제조하여 36$0^{\circ}C$ 물 분위기의 mini-autoclave에서 부식실험을 수행하였다. 2원계 합금에서 Sn이 0.5, 0.8, 1.5wt.% 첨가된 합금에서는 15일에서 속도천이가 발생한 후 급격한 부식 가속 현상이 나타났으나, 2.0wt.%가 첨가된 합금에서는 100일까지 부식 실험에서도 천이 현상을 보이지 않는 매우 높은 부식 저항성을 보였다. 그러나 3원계 합금에서는 2원계 합금과는 달리 40일 시험에서도 모든 합금들이 속도 천이 현상을 보이지 않고 천이전 영역에서의 부식 거동을 보이며, Sn 함량 변화에 따른 부식 속도의 차이를 감지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경향은 2원계 합금과 3원계 합금에서 Sn의 고용도 차, 미량 첨가된 Nb의 영향 및 석출물의 특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수소 흡수율면에서도 Sn 함량 변화에 따라 부식 거동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면서 2.0wt.%에서 가장 낮은 수소흡수율을 보였다 천이전 영역에서 산화막 구조 관찰 결과 천이전 영역의 모든 산화막에서 보호적 성질을 나타내는 tetragonal-ZrO$_2$가 관찰되었는데, tetragonal-ZrO$_2$의 분율은 Sn 함량에 따라 거의 같게 나타났다.

  • PDF

Correlation Between Transient Regime and Steady-State Regime on Creep Crack Growth Behavior of Grade 91 Steel (Grade 91 강의 크리프 균열성장 거동에 대한 천이영역과 정상상태영역의 상관 관계)

  • Park, Jae-Young;Kim, Woo-Gon;Ekaputra, I.M.W.;Kim, Seon-Jin;Kim, Eung-Seo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9 no.12
    • /
    • pp.1257-1263
    • /
    • 2015
  • A correlation between the transient regime and steady state regime on the creep crack growth (CCG) for Grade 91 steel, which is used as the structural material for the Gen-IV reactor systems, was investigated. A series of CCG tests were performed using 1/2" CT specimens under a constant applied load and at a constant temperature of $600^{\circ}C$. The CCG rates for the transient and steady state regimes were obtained in terms of $C^*$ parameter. The transient CCG rate had a close correlation with the steady-state CCG rate, as the slope of the transient CCG data was very similar to that of the steady state data. The transient rate was slower by 5.6 times as compared to the steady state rate. It can be inferred that the steady state CCG rate, which is required for long-time tests, can be predicted from the transient CCG rate obtained from short-time te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