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천연 항산화제

Search Result 510, Processing Time 0.102 seconds

Effect of Natural Products on Skin Cells -Action and Suppress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천연물의 피부세포에 미치는 영향 - 활성산소의 작용과 억제 -)

  • 박수남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 /
    • v.25 no.2
    • /
    • pp.77-127
    • /
    • 1999
  • 활성 산소종은 노화, 특히 피부노화의 원인 물질로 작용하고 있다. 피부는 자외선에 노출되어 있어 활성 산소종을 만드는 광화학적 반응들이 계속해서 일어나고 있다. 이들 활성 산소종들은 피부 세포 및 조직 손상을 주도한다. 이들은 항산화 효소와 비효소적 항산화제들로 구성된 항산화 방어망을 파괴함으로써 산화제/항산화제 균형을 산화 상태 쪽으로 기울게 한다. 결과적으로 계속된 산화적 스트레스는 지질 과산화, 단백질 산화, 간질 성분을 파괴시키는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화, 탄력 섬유인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사슬절단 및 비정상적인 교차결합, 히아루론산 사슬의 절단, 멜라닌 생성반웅 촉진, DNA 산화와 같은 생체 구성 성분들의 손상을 야기시킨다. 결국에는 탄력감수 주름살 및 기미.주근깨 둥으로 특징 지워지는 피부노화가 가속화된다. 따라서 피부노화 방지를 위해서는, 과잉의 활성 산소종 생성을 억제하고 또한 생성된 활성산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시스템이 화장품의 처방에 반드시 포함될 필요가 있다. 즉, 산화제/항산화제 밸런스가 유지되는 피부의 항산화 방어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피부노화 방지에 있어서 천연물의 역할로 (1) 자외선 흡수제로서의 역할, (2) 항산화제로서의 역할, (3) 주름 개선제로서의 역할, (4) 미백제로서의 역할, (5) 항균\ulcorner항염작용 및면역 조절제로서의 역할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21세기는 본격적으로 기능성 화장품 시대가 개막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에 맞춰 천연물들은 피부노화를 방지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ffect of Natural Antioxidant and Packaging Material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Waffle (천연 항산화제와 포장재질이 Waffle의 산화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 신언환;한규홍
    •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 /
    • v.9 no.4
    • /
    • pp.1-12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ing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waffle by natural antioxidants combination (tocopherol, rosemary extract and tea polyphenol) and packaging. Waffle stored at $25^{\circ}C$ and 35$^{\circ}C$ for 70 days were evaluated for acid value, peroxide value and Q$_{10}$ value. Tocopherol, either alone or with rosemary and tea polyphenol, was highly effective in inhibiting lipid oxidation of waffle at $25^{\circ}C$ and 35$^{\circ}C$. Especially among them, rosemary extract exhibited the best synergistic effect, as determined by peroxide value measurement. Waffle was then packaged under the following packing materials (OPP/DL/VMCPP, PET/DL/VMCCP). As the temperature condition, the modified atmosphere decrease in waffle package and increase peroxide value.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PET package was more effective in reducing oxidation than the OPP package.

  • PDF

The Study on Antioxidation of Retinal (Retinol에 대한 항산화 연구)

  • 조춘구;한창규;홍우진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 /
    • v.28 no.1
    • /
    • pp.58-70
    • /
    • 2002
  • In an attempt to compare the antioxidation effects of constrain the oxidation and improve the structural stability, retinol and various antioxidants were together encapsulated by liposome. Four water soluble and four oil soluble antioxidants were tested for performance. The influence of tertiary butylhydroquinone(TBHQ), ${\alpha}$-glycosyl rutin(${\alpha}$-G rutin), licorece, pycnogenol as water soluble antioxidants and butylated hydroxytoluene(BHT), ${\alpha}$-lipoic acid, ferulic acid, natural concentrated tooopherol(no-tocopherol) as oil soluble antioxidants on the constraint of oxidation of retinol were investigated. Additional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synergic effect of antioxidation for retinol with licorice, pycnogenol, ${\alpha}$-lipoic acid and BHT. All the antioxidant used at the study constrained oxidation of retinol. The effect of antioxidation for retinol increased in order of licorice, pycnogenol, TBHQ, ${\alpha}$-G rutin as water soluble antioxidants and ${\alpha}$-lipoic acid, BHT, no-tocopherol, ferulic acid as oil soluble antioxidants. In conclusion, ${\alpha}$-lipoic acid is more effective retinol antioxidants than BHT. And the combination of ${\alpha}$-lipoic acid and BHT gave best synergic among six combinations.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of Yackwa added with Ethanol Extract from Ulmus davidiana (저장기간 동안 유근피 에탄올 추출물 첨가 약과의 품질특성)

  • Sim, Ki Hyeon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28 no.3
    • /
    • pp.446-457
    • /
    • 2015
  • 최근 식품에 첨가하는 합성 항산화제가 생체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고, 암을 유발시키는 등의 안정성에 문제가 되는 것으로 보고되면서 천연 식물자원으로부터의 항산화 물질을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느릅나무의 껍질인 유근피는 항산화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서, 천연 항산화제로 유근피 에탄올 추출물을 0, 0.05, 0.1, 0.2%로 약과에 첨가하여 합성 항산화제인 BHT와 천연 항산화제인 L-ascorbic acid를 0.02%로 첨가한 약과와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특성과 지질산패 정도를 비교하였다. 유근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산패취와 경도는 감소하였고, 반면에 수분활성도, 팽화도, 관능평가 등은 증가하였다. 특히 유근피를 첨가함에 따라 약과의 명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약과의 메일라드 반응에 의한 갈색물질인 멜라노이딘류의 생성 때문으로 추정된다. 또한 약과의 저장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서 경도, 색도, 산패취 등이 증가하였고, 반면에 수분활성도와 팽화도, 색, 맛, 조직감, 전반적인 기호도 등의 관능적 특성은 감소하였다. 유근피가 약과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산가와 과산화물가를 측정하여 실험한 결과, 유근피를 첨가한 약과는 첨가하지 않은 약과에 비해서 지질산화가 적게 일어나, 약과의 저장성을 증가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적인 특성을 비롯한 품질특성과 지질산패 정도를 평가한 결과, 유근피 추출물을 0.1% 첨가한 약과가 가장 좋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Antioxidant Activities of Rhubarb Extracts Containing Phenolic Compounds (페놀화합물이 포함된 대황(Rhubarb)추출물의 항산화성 평가)

  • Kim, Chul-Jai;Suh, Hee-J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 /
    • v.20 no.1
    • /
    • pp.77-85
    • /
    • 2005
  • 이 연구에서는 미국산 R. rhabarbarum L.과 중국산 R. palmatum L.의 줄기 추출물과 그리고 한국산 R. undulatum L.의 뿌리 추출물이 천연항산화제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대황의 페놀화합물을 추출하기 위해서 물, 에탄올, 메탄올이 사용되었다. 에탄올이 대황(Rhubarb)에서 페놀화합물을 추출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용매였으며 50% 에탄올은 R. rhabarbarum L. 줄기에, 70% 에탄올은 R. palmatum L.의 줄기에, 80% 에탄올은 R. undulatum L.의 뿌리에서 페놀을 추출하는데 각각 가장 효과적인 용매농도였다. 또한 추출물리 항산화능을 알기 위해 ${\beta}-carotene$ bleaching inhibition activity와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측정하였으며 합성항산화제인 BHT와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beta}-Carotene$ bleaching inhibition activity 실험에서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하면 대황추출물의 항산화능이 역시 증가하였다. 추출물의 농도가 5mg/ml와 10mg/ml 일때 R. undulatum L. 뿌리추출물과 BHT의 항산화능은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p{\leq}0.05)$. 그러나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에서 R undulatum L. 뿌리추출물이 0.4 mg/mL 농도 이상에서는 BHT 보다 높은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대황(R. undulatum L.)의 80% 에탄올 추출물이 천연항산화제로의 사용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합성항산화제인 BHT의 식품에 사용농도를 비교하여 볼 때 대황 추출물의 항산화능이 BHT와 동일하기 위해서는 보다 높은 농도를 필요로 하였다.

Comparison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Melanoidin with Commercial Antioxidants and Their Synergistic Effects (Melanoidin과 시판 항산화제의 항산화작용 비교 및 그 상승효과)

  • Lee, Moon-Jo;Kim, Hyun-Dae;Park, Jin-Woo;Kim, Dong-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1 no.6
    • /
    • pp.686-692
    • /
    • 1992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antioxidative actions between the products of amino-carbonyl reaction and commercial antioxidants, and investigate their synergistic effects. Nondialyzable melanoidins exhibited more significantly in the antioxidative action than unfractionated meanoidins did. Also, in the case of unfractionated melanoidins, both glycine and histidine were more effective than aspartic acid for the antioxidative ac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mino acids in the action of nondialyzable melanoidins. The unfractionated melanoidin was not as good as antioxidative action of the synthetic antioxidants, butylated hydroxytoluene, tert-butyl hydroquinone and ascorbic acid ; however, the one was superior to that of natural antioxidants, ${\alpha}$-tocopherol and lecithin. Otherwise, the action of nondialyzable melanoidin was similar to that of synthetic antioxidant. The synergistic effects were increased in using melanoidin with ${\alpha}$-tocopherol and lecithin except for the systems of fructose-aspartic acid and fructose-glycine in unfractionated melanoidins.

  • PDF

Characteristics of Citrus By-Product Ferment Using Bacillus subtilis as Starter Extracts. (Bacillus subtilis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감귤 가공부산물 추출물의 특성)

  • Moon, Young-Gun;Lee, Kyeong-Jun;Heo, Moon-Soo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
    • v.35 no.2
    • /
    • pp.142-149
    • /
    • 2007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biological activity of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citrus by-product ferment. Hot water extracts and 80% methanol extracts from citrus byproduct of ferment were screened for antibacterial activity pathogenic bacteria by paper disc method. Among the various hot water extracts and 80% methanol extracts the Bacillus subtilis showed relatively strong antibacterial activities in the order. The reducing activity on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radical and ${\cdot}OH$ radical scavenging potential were sequentially screened, in search for antioxidant activities of citrus by-product ferment.

Effect of Various Natural Antioxidants on the Safflower Oil (홍화유에 대한 천연 항산화제의 항산화력 비교)

  • 이명숙;이세희;송경빈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11 no.1
    • /
    • pp.126-129
    • /
    • 2004
  • To elucidate the effect of various natural antioxidants on the safflower oil, rosemary extract, green tea extract, isoflavon, Phaffia rhodozyma extract, tocopherol, sesamol, and BRA as a control were added to the safflower oil and stored at 60$^{\circ}C$ for 4 weeks. During storage, its viscosity and antioxidative activity were determined. Viscosity of the oil increased with increasing storage period and was related with its antioxidative acvtivity. Antioxidative avtivity among antioxidants used in this study were in order of green tea extract>BHA>tocopherol>rosemary extract>isoflavon>sesamol>Phaffia rhodozyma extract. Green tea extract was the best in terms of antioxidative acvtivity. After 4 weeks, its peroxide value decreased up to 80.4% of the control, and 42.1% for acid value and 47.4% for TBA value decreased.

황산화제가 저장 중 쇠고기 분쇄육의 지질과산화 및 항산화효소에 미치는 영향

  • 김병숙;김영곤;이영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Cookery Science Conference
    • /
    • 2003.05a
    • /
    • pp.105-105
    • /
    • 2003
  • 본 연구는 쇠고기 분쇄육에 천연항산화제인 pycnogenol, catechin 및 $\alpha$-tocopherol과 합성항산화제인 BHT를 처리한 후 3, 5, 7, 10일 동안 냉장저장하면서 색도 및 pH, TBA 값 및 지방산 조성의 변화와 항산화효소인 SOD 및 catalase 활성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명도는 catechin 처리군이 저장에 따른 색의 변화가 가장 작았으며, pH는 처리 당일 5.83~5.87의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저장함에 따라 저하되어 5일째에는 대조군이 약 0.45 수준으로 크게 감소한 것에 비하여 항산화제처리군은 약 0.2 수준의 감소로 대조군과 큰 차이를 나타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