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천연 약용식물

Search Result 13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Induction and in vitro proliferation of adventitious roots in Dendropanax morbifera Lev.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 Lev.)의 부정근 유도 및 기내증식조건)

  • Bae, Kee-Hwa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0.10a
    • /
    • pp.19-19
    • /
    • 2010
  •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 Lev.)는 두릅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며 학명에서 뜻하는 바와 같이 목본 (Dendro), 전능약(Panax)이라는 의미가 있고 나무인삼이라 불리기도 하며 줄기에 상처를 내면 노란액이 나온다고 해서 황칠나무(D. morbifera)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두릅나무과는 우리나라에서 최고의 약재들로 손꼽히는 인삼(Panax ginseng), 가시오갈피(Eleutherococcus senticosus) 등의 약용식물을 포함하고 있어서 황칠나무는 황칠수지액 이외에 약용식물로서의 무한한 개발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험은 황칠나무의 기내 부정근 유도 및 증식조건의 확립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우선 황칠나무의 기내 발아체로부터 부위(잎, 줄기, 뿌리)를 달리하여 부정근을 유도한 결과, 잎은 줄기나 뿌리보다 양호한 부정근의 유도를 보였다. 또한 유도된 부정근을 이용하여 옥신의 종류에 따른 부정근 유도율을 조사한 결과 IBA와 NAA는 IAA와 2.4-D보다 높은 유도율을 보였다. IBA의 농도에 따른 유도율과 증식효율은 IBA가 1.0 mg/L 첨가되었을 때 가장 높은 유도 및 증식효율을 보였다. 최적의 액체배지조건을 확인하고자 sucrose의 농도와 염농도를 달리하여 실험한 결과 1/2MS 배지는 MS 배지보다 10%정도 높은 증식율을 보였다. 액체배양 된 황칠나무의 부정근을 각각 1/2MS 배지에 30 g/L sucrose, 3.0 mg/L IBA가 첨가된 5 L volume 생물반응기에 4주 간 배양한 대조구와 2주 후 IBA의 농도를 1.0으로 낮추어 배양한 실험구에서 2주후 IBA의 농도를 낮추어 배양한 실험구에서 대조구보다 약 2배 높은 부정근의 증식량을 보였다. 결국, 황칠나무의 종자발아체를 이용하여 부정근의 유도 및 증식조건에 필요한 기내배양조건을 확립하였고, 플라스크와 생물반응기 배양을 통해 효율적인 실험실 내 증식조건을 확립하였다. 본 실험결과는 향후 황칠나무 천연추출물을 활용한 향장품/식,의약품 소재의 대량확보 차원에서 중요한 가치를 내포하고 있다고 조심스럽게 사료된다.

  • PDF

Effect of Medicinal Plant Water Extracts on Glucose-regulating Enzyme Activities in Goto-Kakizaki Rat Liver Cytosol (약용식물 물 추출물이 Goto-Kakizaki 흰쥐의 간 세포액에서 당대사 관련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 Kim, Dae-Jung;Chung, Mi-Ja;You, Jin-Kyoun;Seo, Dong-Joo;Kim, Jeong-Mi;Choe, My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8 no.10
    • /
    • pp.1331-1335
    • /
    • 2009
  • We have studied the anti-diabetic effects of medicinal plant water extracts on hepatic glucose-regulating enzymes such as glucokinase (GK) and acetyl-CoA carboxylase (ACC). $\alpha$-Glucosidase inhibitor is usually used to prevent and treat type II diabetes; thus, anti-$\alpha$-glucosidase activity of medicinal plant water extracts was assayed. The hepatic cytosol faction of a type II diabetic animal (Goto-Kakizaki rat) was used in GK and ACC activity assays. The medicinal plants were Lycium chinense (JGP), Discorea japonica Thunb. (SY), Pyrus pyrifolia (YSB), Cornus officinalis (SSY), Paeonia suffruticosa ANDR. (MDP), Cordyceps militaris (DCH), and Acanthopanax senticosus (GSO). JGP, SY, YSB, and SSY water extracts increased the hepatic GK activity and all medicinal plant water extracts led to an increase in hepatic ACC activity. YSB, SSY, MDP, and GSO water extrac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nti-$\alpha$-glucosidase activity than control samples. The highest anti-$\alpha$-glucosidase activity was observed in GSO water extract and the anti-$\alpha$-glucoside activity was higher than that of Acarbose (reference $\alpha$-glucosidase inhibitor). We suggest that JGP, SY, YSB, and SSY water extracts may exert an anti-diabetic effect by enhancing the glucose metabolism and that YSB, MDP and GSO may be used as natural $\alpha$-glucosidase inhibitors in type II diabetic conditions. Increased ACC activity by plant water extracts may provide additional anti-diabetic effect.

Industrization of Natural Plant Resources (자원식물의 산업화)

  • Lee, Cheol-H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0.05a
    • /
    • pp.8-8
    • /
    • 2010
  • 자원식물을 소재로 이용하는 생물산업은 21세기 경제성장을 주도할 핵심기간산업이며, 미래형 고부가가치산업이다. 현재 지구상에는 약 55만종의 식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인간의 손길이 닿지 않은 천연 강우림 등의 미개척지가 상당수 존재하고 있어 더욱 많은 종들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 자원식물들 중에는 작물로의 개발이 가능하거나, 개발할 필요성이 높은 식물들이 많이 있다. 자원식물들은 예로부터 식용, 약용, 관상용, 유지용, 기호용, 밀원용, 섬유용, 향신료용, 향료용, 당료용, 호료용, 염색용, 수지용, 탄닌용 등으로 구분되어 이용되어 왔다. 자원식물은 종에 따라 꽃, 줄기, 잎, 뿌리 및 종자 등 부위별로 다양하게 산업적 소재로 활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건강에 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다양한 건강 기능성 상품이 개발되고 있으며, 관련 시장이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다. 특히 자원식물 등 천연물을 소재로 한 건강 기능성 상품은 안전성이 보장되며 우수한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자원식물을 소재로 한 건강 기능성 상품의 개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자원식물을 대상으로 이들의 활용가치를 분석하여 상품화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또한 주 5일제 실시 및 여가활용에 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농촌 경관산업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농촌 경관산업은 국민의 여가선용 및 복지향상에 효과적일 뿐 아니라 지역주민과 관광객이 함께 즐길 수 있는 관광산업으로써 지역 이미지 강화를 통한 지역 홍보, 지역 내 일자리 창출 및 경관산업에 사용된 생물소재를 이용한 바이오산업의 활성화 등의 장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농촌 경관산업은 자연과 농촌을 활용한 자연 친화형 관광단지를 조성하여 친환경, 고부가가치형 종합산업을 추구하는 추세이다. 그러므로 경관산업 및 이를 활용한 바이오산업의 소재로써 자원식물의 역할은 매우 클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각 지역에 자생하는 고유의 자원식물을 활용하면 지역 특화 경관산업 및 바이오산업의 발전에 크게 이바지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 및 친환경 건강 기능성 상품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친환경 건강 기능성 소재 개발과 농촌 경관산업을 활용한 생물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산업적 가치가 우수한 자원식물의 다양한 기능을 분석하고, 각 자원식물별로 특성에 맞는 개발 방안을 구축하여 다양한 산업화의 소재로 활용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Peroxynitrite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Medicinal Plants (약용식물의 Peroxynitrite와 Hydroxyl radical 소거 활성)

  • Min, Oh-Jin;Kim, Min-Suk;Kwak, Byung-Hee;Rhyu, Dong-Young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1 no.4
    • /
    • pp.254-259
    • /
    • 2008
  •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9 medicinal plants on peroxynitrite ($ONOO^-$) and hydroxyl (${\cdot}OH$) radical were investigated using in vitro system. The water extracts of 9 medicinal plants showed the protective effect against $ONOO^-$ and ${\cdot}OH$ radical. In particular, Akebia quinata, Aster scaber, Cudrania tricuspidata, Diospyros kaki, Eriobotrya japonica, Lycium chinense, Parthenocissus tricuspidata and Polygonum aviculare exhibited $ONOO^-$-scavenging activity by about 50% at the concentration of $10{\mu}g/ml$. Although those $ONOO^-$-scavenging activities were lower than that of penicillamine (94.08${\pm}$3.04%) as a positive control, Eriobotrya japonica (89.87${\pm}$4.57%) was the most potent scavenger of $ONOO^-$ at the concentration of $10{\mu}g/ml$. Also, Diospyros kaki and Urtica angustifolia showed the strong${\cdot}$OH-scavenging activity than thiourea, positive control, at the concentration of lmg/ml. Our results indicate that 9medicinal plants may act as free radical scavengers and reduce damages caused by oxidative stress associated with $ONOO^-$ and${\cdot}$OH radical.

The Flowering Characteristics of Non-Spiny Safflowers according to Sowing Time (잇꽃 무가시형 유전자원의 파종시기에 따른 개화특성)

  • Jung-Seob Moon;Myeong-Suk Kim;Hee-Kyung Song;Seung-Yoon Lee;Dong-Chun Cheo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81-81
    • /
    • 2022
  • 잇꽃(Carthamus tinctorius L.)은 국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 초본 식물로 한자명은 홍화(紅花), 영명으로는 Safflower를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잇꽃 재배는 2010년 39ha 수준이 재배되다가 2014년에는 76ha까지 확대되었으나,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0년에는 52ha가 재배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잇꽃은 종자를 약용으로 이용하거나 꽃잎을 건조하여 천연 염색제 및 향신료로 이용하고 있으나, 일본 산형(山形)현에서는 잇꽃의 경관적 가치를 이용해 홍화 축제를 개최함으로써 소득작목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리산을 중심으로 한 준고랭지 지역에서 잇꽃의 경관적 가치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국립농업유전자원센터로부터 총포에 가시가 없는 무가시형 유전자원(IT323225, IT333473, IT333482)을 분양받아 가시가 있는 재배종과 파종시기별로 개화 특성 등을 비교하였다. 표고 500m 준고랭지의 비가림 하우스에서 3월 하순부터 6월 상순까지 파종시별로 출현율을 검토한 결과, IT 323225 자원은 관행의 3월 하순 파종에서도 40.5%의 낮은 출현율을 보였다. 3월 하순 파종에서 재배종은 6월 22일경에 개화기에 도달하였으나, 무가시형 유전자원들은 7월 2일~5일경에 개화기에 도달하여 만생종의 특성을 보였다. 파종시기를 늦춰 5월 하순에 피종하는 경우 무가시형 자원들은 7월 27일~29일경에 개화기에 도달하였으며, 개화기 전후의 개화 지속기간은 8~10일이 소요되어 3월 하순에 파종하여 7월 상순에 개화하는 경우보다 2~4일이 단축되는 경향이었다. IT333473 자원의 개화기 초장은 5월 하순 파종하는 경우 관행의 3월 하순 파종보다 43.6%가 즐어든 71.1cm를 보였고, 분지수는 41.6% 감소한 8.0개/주 수준을 보였다. 식물체당 착화수 또한 파종시기를 늦춤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화당 종자수는 IT323225 자원은 5월 중순과 하순 파종시에 증가하는 양상이었고 IT333473 자원과 IT333482 자원은 재배종과 같이 감소하였다. 하계 휴양지로 각광받고 있는 지리산권에서 무가시형 잇꽃 자원의 경관적 가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파종시기를 5월 하순으로 늦추는 경우 성수기인 7월 하순과 8월 상순에 개화가 가능하였다. 또한 식물체의 초장이 71.1~83.6cm 수준으로 단축되어 경관 조성에 유리한 특성을 보였다.

  • PDF

Antimicrobial Effect of Extract of Glycyrrhiza uralensis on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감초 추출물이 항생제 내성균주의 항균활성에 미치는 영향)

  • Lee, Ji-Won;Ji, Young-Ju;Yu, Mi-Hee;Im, Hyo-Gwon;HwangBo, Mi-Hyang;Lee, In-Seon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7 no.3
    • /
    • pp.456-464
    • /
    • 2005
  • Antimicrobial drug-resistance is natural response to antimicrobial stress based on selection, which weakens chemotherapy effect. Introduction of large numbers of chemotherapeutic agents to clinical practice has generated strains of microorganisms that survive and multiply in vivo with high-drug concentrations.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bacteria found in normal daily life, can be easily ingested through milk vegetables, and meats, etc. MRSA emerged in many port of the world, increasing complex clinical problems. Therefore, new agents are needed to treat MRSA. Glycyrrhiza uralensis was extracted using 80% MeOH to investigate its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MRSA stains KCCM 11812, 40510, and 40512 through bacterial measurement, disc diffusion, and O.D. methods, MIC values, MRSA gene expression investigation,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observation. Results revealed MecA, Mecl, MecRI, and FemA were the most highly manifested MRSA genes. Methanolic extract of G. uralensis significantly inhibited MRSA and thus could be used in development of antibacteria.

Antioxidative and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Rhus javanica Linne (오배자의 항산화 및 자유라디칼 소거효과)

  • Cha, Bae-Cheon;Lee, Sung-Bae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 /
    • v.6 no.3
    • /
    • pp.181-187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edicinal plants. Through the examination of methanol extracts from 30 species for radical scavenging effects using DPPH method, the extracts from Rhus javanica Linne, Smilax china Linne and Polygonum cuspidatum Siebold et Zucarinii showed strong antioxidative activity. Because of its highest antioxidative activity among 30 medicinal plants,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4 different extract compartments (n- Hexane, EtOAc, BuOH and $H_2O$ extracts) from Galla Rhois MeOH extract of Rhus javanica Linne were examined by DPPH method and antioxidant effects on the 4 different extract compartments were tested by Ferric-Thiocyanate metho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n- Hexane, EtOAc and BuOH extracts were similar or even higher than that of natural (tocopherol) or synthetic antioxidants (BHA), suggesting that major fractions for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Rhus javanica Linne were the n- Hexane, EtOAc and BuOH extract compartments.

  • PDF

Evolution of Medicinal Crop Industry as the Bio-resources in the 21st Century (21세기 생물산업 소재인 약초 산업의 진화)

  • Park, Chun-Geon;Kang, Yong-Ku;Choi, Ae-Jin;Lee, Jeong-Hoon;Woo, Jong-Gyu;Park, Chung-Berm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1.10a
    • /
    • pp.8-8
    • /
    • 2011
  • 인류는 자연으로부터 식량과 질병 치료를 위하여 자연스럽게 약초를 얻을 수 있었다. 약 6만 년 전 네안데르탈인의 무덤에서 오늘날 향료로 쓰이는 약초가 발견 될 정도로 인류가 약초를 이용한 역사는 오래 되었다. 약초는 난치병, 노화, 성인병 등 현대의학에서 미비점을 보완하는 대체의약 산업의 원료이자 새로운 생물자원의 보고로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새로운 생물자원 소재로 약초는 약용성분을 함유한 식물자원의 확보 및 개발 등 고부가산업의 소재로 선진국에서 연구개발의 경쟁이 치열하며, 약초산업은 천연소재 신약과 기능성 식품, 화장품, 생활용품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의약품 분야에서는 새로운 시대의 중요한 생명산업으로서 약초는 한약뿐 아니라 신약 개발을 위한 소재로도 부각되고 있으며, 항암제인 택솔, 신종플루 치료제인 타미플루 등 천연물 약의 가능성은 이미 증명되었다. 식품 분야에서는 재배기술 발달과 웰빙 트렌드 속에서 약초는 신선채소와 기능성 식품으로 변신하고 있다. 한약재의 이미지를 벗어난 약초는 음료와 과자, 술 등으로 활용되고, 비빔밥 등 다양한 약선음식으로도 개발되고 있다. 산업소재의 활용분야에서는 약초는 특히 화장품 산업의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이미 다양한 화장품 회사에서 한방화장품을 출시하여 세계 속으로 진출하고 있다. 또한 약초는 천연 색소이자 생활 용품의 소재로 활용되고 있는데, 약초를 활용한 염색약과 여성 생리대, 샴푸 등의 인기가 높다. 약초산업의 부가가치 증대를 위하여 한약재 위주의 약초산업을 천연물 신약, 기능성 식품, 화장품, 산업 소재 등 고부가가치 시장으로 확장시키고, 우리 약초 산업의 세계화를 추진해야 한다. 연구개발 투자 확대와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을 반영하여 연구 방향을 수립하고, 산학연 및 생산자단체 등과 새로운 약초 산업의 블루오션 창출을 위해 협력을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약초의 생산기술 안정화를 통해 산업화 기반을 구축하여, 약초 공급의 안정화, 약초 생산 농가 소득 안정화가 필요하며, 마지막으로 변해가는 약초 산업의 트렌드에 부응할 수 있는 품질관리와 유통 질서 확립을 위한 정책과 제도의 선진화가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 PDF

A Comparative Study between Microbial Fermentation and Non-Fermentation on Biological Activities of Medicinal Plants, with Emphasis on Enteric Methane Reduction (천연 약용식물의 미생물 발효를 통한 장내 메탄 생성 억제 효과 비교 연구)

  • Lee, A-Leum;Park, Hae-Ryoung;Kim, Mi-So;Cho, Sangbuem;Choi, Nag-Jin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 /
    • v.22 no.4
    • /
    • pp.801-813
    • /
    • 2014
  • A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biological activity of two medicinal plants, Eucommia ulmoides Oliv. and Glycyrrhiza uralensis, by fermentation. The biological activity was assessed by determining antibacterial, antioxidant and antimethanogenic properties. Fermentation was achieved by adding the plant materials in MRS broth at 10% (w/v) and different starter cultures at 1% (v/v). Condition for fermentation were incubation temperature of $30^{\circ}C$ and agitation at 150 rpm for 48 h. Six starter cultures, Weissella confusa NJ28 (Genbank accession number KJ914897), Weissella cibaria NJ33 (Genbank accession number KJ914898), Lactobacillus curvatus NJ40 (Genbank accession number KJ914899), Lactobacillus brevis NJ42 (Genbank accession number KJ914900), Lactobacillus plantarum NJ45 (Genbank accession number KJ914901) and Lactobacillus sakei NJ48 (Genbank accession number KJ914902) were used. Antibacterial activity was observed in L. curvatus NJ40 and L. plantarum NJ45 only as opposed to other treatments, including the non-fermented groups, which showed no antibacterial activity. Both plants showed antioxidant activity, although E. ulmoides Oliv. had lower activity than G. uralensis. However, fermentation by all strains significantly improved (p<0.05), antioxidant activity in both plants compared to non-fermented treatment. Six treatments were based on antibacterial activity results, selected for in vitro rumen fermentation; 1) non-fermented E. ulmoides, 2) fermented E. ulmoides NJ40, 3) fermented E. ulmoides NJ45, 4) non-fermented G. uralensis, 5) fermented G. uralensis NJ40, 6) fermented G. uralensis NJ45. A negative control was also added, making a total of 7 treatments for the in vitro experiment. Medicinal plant-based treatments significantly improved (p<0.05) total volatile fatty acid (VFA) concentration. Significant methane reduction per mol of VFA were observed in G. uralensis (p<0.05). Based on the present study, fermentation improves the biological activity of E. ulmoides Oliv. and G. uralensis. Fermented G. uralensis could also be applied as an enteric methane mitigating agent in ruminant anim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