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천상열차분야지도

Search Result 19,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한국천문연구원-제32호

  • 한국천문연구원
    • KASI NEWSLETTER
    • /
    • s.32
    • /
    • pp.1-4
    • /
    • 2002
  • 기초기술연구회 이사장 방문/2002 별의 축제 및 연구원 방문의 날 행사 개최/제10회 천체사진공모전 개최/삼국시대 연력표 편찬/천상열차분야지도 복원/105개의 새로운 소행성 발견과 소행성 "보현산"/국제 VLBI 심포지움 개최/식목행사 실시/춘계 체육행사 실시/학회동정/직원동정/콜로키움

  • PDF

외규장각에 소장되어 있었던 천문학 관련 도서

  • An, Sang-Hyeon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11.04a
    • /
    • pp.19.3-19.3
    • /
    • 2011
  • 1631년 정두원이 명나라로부터 가져온 네 권의 과학서와 한 편의 보고서 가운데, 치력연기(治曆緣起)라는 책과 서양공헌신위대경소(西洋貢獻神威大鏡疏)가 강화도의 외규장각에 소장되고 있었다. 이 점에 유의하여 강화도 외규장각에 소장되어 있었던 천문학 및 수학 관련 서적을 조사해 보았다. 외규장각 소장 도서의 목록에 해당하는 외규장각형지안(外奎章閣形止案)을 조사하여, 소장 도서의 내역과 소장 상태의 변천을 알아낼 수 있다. 그 결과 서양공헌신위대경소는 1791년 신해박해 때 천주교 서적으로 오인되어 소각되었고, 치력연기는 1866년 병인양요 때 프랑스 해군에 의해 소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외규장각에는, Napier의 대수(logarithm)에 관한 아이디어가 반영되어 있는 쟈크 로우(Rho)의 주산(籌算)이란 책이 소장되어 있었고, 조선조 양대 물시계에 관한 보고서인 흠경각영건의궤(欽敬閣營建儀軌)와 보루각중수의궤(報漏閣重修儀軌)가 있었으며, 조선 국왕들이 천문에 관해 작성한 어제 및 어필이 소장되어 있었으며, 천문류초(天文類抄)와 천기대요(天機大要)와 같은 널리 사용되던 천문 및 음양학관련 서적이 소장되어 있었다. 특히, 1866년 프랑스 해군에 의해 약탈되어 현재 프랑스 파리 국가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천상열차분야지도는 숙종석각의 탁본으로 추정된다. 현재 10여 개의 탁본이 국내외에 남아 있으나, 최근 프랑스로부터 반환되게 된 외규장각 도서 내역에 천상열차분야지도가 포함되지 못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약간 토의하고자 한다.

  • PDF

Korea Young Astronomers Meeting in 12th Asia-Pacific Regional IAU Meeting (제12회 국제천문연맹 아시아태평양지역 총회에서의 한국 젊은 천문학자들의 모임 활동보고)

  • Hyun, Minhee;Kang, Yijung;Park, Jintae;Heo, Jeong-Eun;Yun, Hyeong-Sik;An, Sung-Ho;Choi, Hoseung;Jeon, Yiseul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9 no.2
    • /
    • pp.122.2-122.2
    • /
    • 2014
  • 한국 젊은 천문학자들의 모임(Korea Young Astronomers Meeting, KYAM)은 지난 8월 18일부터 22일까지 대전광역시 대전 컨벤션 센터에서 개최된 제12회 국제천문연맹 아시아태평양지역 총회(12th Asia-Pacific Regional IAU Meeting, APRIM 2014)에서 부스 전시에 참여하였다. 부스에서는 자체 제작한 전통 부채를 방문자에게 배포하였으며, 천상열차분야지도의 탁본을 직접 찍어 볼 수 있는 체험 활동을 진행하였다. 이 활동을 통해 KYAM 및 천상열차분야지도와 첨성대와 같은 우리나라 고유의 천문학적 유물에 대한 홍보 활동을 수행하였다. 더불어 8월 19일 저녁 모임을 개최하였고, 이를 통하여 한국인 36명 및 외국인 24명을 포함하여 총 60명의 젊은 천문학자들이 모여 친목 도모 및 교류의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본 포스터 발표에서는 이와 같은 APRIM 2014 기간 KYAM에서 진행한 활동에 대해 보고할 것이며, 앞으로의 KYAM의 활동 계획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PDF

태조본 석각 천상열차분야지도 정밀 측정 분석

  • Yang, Hong-Jin;Choe, Go-Eun;An, Yeong-Suk;Min, Byeong-Hui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5 no.2
    • /
    • pp.85.2-85.2
    • /
    • 2010
  • 우리나라에는 조선 태조와 숙종대에 돌에 새겨 만든 두 개의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가 남아 전하고 있다. 숙종본 천문도는 태조본을 다시 복각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천문도의 구성은 태조본의 뒷면과 같은 모습이다. 국보 228호로 지정된 태조본 천문도는 오랜 시간의 흐름에 따른 표면 마모로 명문이나 별자리 확인이 쉽지 않다. 특히, 태조본 뒷면은 심한 훼손으로 별의 크기 뿐 아니라 대부분의 별자리 확인도 어려운 상황이다. 지금까지 천문도 표면의 훼손으로 인해 태조본의 앞 뒷면과 숙종본에 새겨진 별의 위치와 크기를 정량적으로 비교하기가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숙종본 천문도의 별자리와 함께 태조본의 앞뒷면 천문도의 별의 위치 및 크기를 정량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2008년과 2009년에 걸쳐 태조본 석각 천문도를 3차원 정밀 측정하였다. 천문도 측정은 삼각측량과 간섭효과를 활용한 3차원 스캐너인 Breukmann을 사용하였으며 0.1mm 이내의 측정 정밀도로 측정하였다. 3차원 정밀 측정 자료는 유물 훼손을 대비한 복원 자료구축, 복제품 제작을 위한 기초자료 그리고 별자리 연구를 위한 천문자료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우리는 3차원 측정을 통해 석각 천문도의 전체 형태뿐 아니라 모든 별의 위치와 크기의 측정 자료를 DB화 하였으며, 이를 이용해 태조본의 앞 뒷면과 숙종본에 새겨진 별의 위치와 크기를 비교하고 각각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천문도에 새겨진 별의 크기와 실제 별의 밝기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 PDF

고천문자료의 통계적 정확성과 기록특징 - 삼국시대의 천문도, 태백주현(太白晝見) 및 일식기록을 중심으로 -

  • Park, Seok-Yun;Park, Seok-In;Kim, Gyu-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47-52
    • /
    • 2003
  • 삼국사기 등에 기록되어 있는 천문기록들이 왜곡된 역사관에 의해 그 기록의 정확성이나 독창성에 의문을 갖게 하였다. 하지만 일식기록의 관측시점에 대한 최근의 연구결과는 오히려 우리의 고천문기록이 중국 문헌상에 나타나는 기록보다도 더 정확한 것으로 판명되고 있다. 따라서 중국측 사료와의 비교를 통해 고천문기록의 정확성과 독창적으로 일관되게 천문기록을 남겼음을 본 논문에서 밝혀 보고자 하였다.

  • PDF

역사속 과학인물 - 한국최초 평양서 서양과학 소개한 '윌 칼 루퍼스(1876~1946년)'

  • Park, Seong-Rae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2 no.12 s.367
    • /
    • pp.26-27
    • /
    • 1999
  • 미국 미시간주 출신인 W.칼 루퍼스(1876~1946년)는 1907년 선교사들과 한국에 파견되어 한국땅에 최초로 서양과학을 소개하고 가르친 인물이다. 평양 숭실학교를 거쳐 연희전문학교 교수로 한국에서 10년동안 수학과 천문학을 가르쳤다. 그후 "조선천문학사"를 책으로 발간했고 우리의 국보 천상열차분야지도를 서양에 소개하고 미국 학회잡지에 한국천문도를 발표했다. 그는 연희전문학교의 제자 이원철(1896~1963년)을 한국 첫 천문학박사로 길러낸 장본인이다.

  • PDF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Pochonka and Chonmun yucho in the Early Choson Dynasty (조선 초기 보천가(步天歌)와 천문류초(天文類抄)의 성립에 대한 연구)

  • Ahn, Sang-Hyeon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v.26 no.4
    • /
    • pp.621-634
    • /
    • 2009
  • We investigated the formation of Pochonka (Song of the Sky Pacers) and Chonmun yucho (Selected and classified writings on astrology) of the early Choson dynasty. We recognized that the songs in these books were deeply influenced by those in a Chinese book Tong-zhi published in 1161 A.D., based on the following facts; the contnts of both treatises are described in the same order; the first phrase of the song for Thai-wei-yuan has composed of five words rather than seven words; in particular, Choson's Pochonka has the song that describes the position of the Milky Way relative to asterisms, which was supplemented by the author Zheng Qiao. Since Tong-zhi were brought into Koryo in 1364 A.D., Choson's Pochonka must be formed after that time. In particular, compared with Chinese Pu-tien-ko, Choson's Pochonka stresses the colors of asterisms in order to represent the origin of each asterism with respect to the astronomers, Shih-shen, Kan-te, and Wu-Hsien. We also find that the star-charts in Pochonka and Chonsang-yolcha-punyajido (Chart of the asterisms and the regions they govern) published in the early Choson dynasty are significantly similar in names, number of stars, and shapes of asterisms in them. This fact means that the star-charts in Pochonka originated from either the parent chart of Chonsang-yolcha-punyajido or Chonsang-yolcha-punyajido itself. The parent rubbing was reappeared in 1392 A.D. and carved on stele in 1396 A.D., and so the publication of Pochonka can be dated back to A.D. 1392. Chonmun yucho is a book that was formed by footnoting Pochonka with astrological descriptions in Chinese treatises. The formation period of Chonmun yucho is estimated to be 1440-1450 A.D. from the facts such as the biographical survey of the author Yi Sunji. Furthermore, Pochonka was adopted as a textbook of the government service examination for the astronomy division in Soungwan or the Royal Bureau of Astronomy in 1430 A.D.. We inferred from these facts that Choson's Pochonka was formed between 1392 A.D. and 1430 A.D. as a part of establishment of the cultural and political foundation of the Choson dynasty by adopting the advanced system of the Song dynasty.

A STUDY OF SASIN-ANIMAL SKY MAP ON CHONMUNRYUCHO (천문유초(天文類初)에 기록된 사신동물천문도(四神動物天文圖) 연구)

  • 양홍진;박명구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v.20 no.1
    • /
    • pp.83-94
    • /
    • 2003
  • Chon-Mun-Ryu-Cho (天文類抄), written (edited) by Lee Sun-Ji (李純之) during the period of King Se-Jong, is a representative astronomy book of Cho-Sun (朝鮮: A.D. 1392-1910) Dynasty. We find and study in the first page of the book; the description of 28 oriental constellations as a Sasin (four mythical oriental animals)-animal sky map which is not widely known yet. The map consists of four groups of constellations, each of which represents the Sasin: Chang-Ryong (蒼龍: dragon), Baek-Ho (白虎: tige.s with Ki-Rin [離隣: Oriental giraffe]), Ju-Jak (朱崔: Chinese phoenix), Hyun-Mu (玄武: a tortoise interwined with a snake). Each group (animals) spans 2 ~ 7 of 28 oriental constellations (宿). As we know from the illustration (論說) of the Chon-Sang-Yol-Cha-Bun-Ya-Ji-Do (天象列次分野之圖), a representative sky map of Cho-Sun Dynasty, astronomy in Cho-Sun Dynasty is closely related to that in Go- Gu-Rye. (高句麗: B.C. 37 -A.D. 668) Dynasty. Since these Sasin-animals appear in most mural paintings of Go-Gu-Rye. (高句麗) tombs, visualization of sky with these animal constellations could have been established as early as in Go-Gu-Ryer Dynasty. We also reconstruct this ”A Sasin-animal Korean sky map” based on the shapes of the Sasin and Ki-Rin from Go-Gu-Ryer paintings and 28 oriental constellations in Chon- S an g- Yol- C h a- B un- Ya- J i- Do.

Non-Destructive Material Analysis and Comparative Study of the Changdeok Palace "Chugudae" and National Designated "Chugudae" (창덕궁 이문원 측우대의 비파괴 재질 분석과 국가지정 측우대와의 비교)

  • Ahn, Yubin;Yoo, Jihyun;Lee, Myeongseong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3 no.3
    • /
    • pp.244-257
    • /
    • 2020
  • State-designated rain gauge pedestals, including a rain gauge support, were installed in front of the "Imunwon" at Changdeok Palace, made from various rock types. Some of those pedestals provide exact information on their production dates. These rain gauge pedestals are highly valuable as scientific instruments; however, there has been insufficient scientific research carried out on them. Therefore, precise analysis and conservative consideration are required. As a result of petrographic character analysis, the Changdeokgung rain gauge pedestal has been classified as marble. Furthermore,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P-XRF analysis with GSJ reference samples (JLs-1, JDo-1) has determined it to be dolomitic marble. Applying the same analysis to other state-designated rain gauge pedestals, it was presumed that the rain gauge supports at Gyeongsand-do Provincial Office and Gwansanggam were each made from aplite, pinkish medium-to-coarse biotite granite. Results confirmed that only the Changdeokgung rain gauge pedestal was made from marble. Marble is viewed as having an identity specificity rooted in a certain historical background. According to the tendency towards stone figures being made from marble, especially dolomitic marble, it is necessary to further studies whether particular rocks were used to make royal stone figures in Joseon Dynas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