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천문 개념

Search Result 107,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GMT 부경 FSM의 시험모델 개발 현황

  • Kim, Yeong-Su;Park, Gwi-Jong;Yang, Ho-Sun;Song, Jae-Bong;Kim, Hak-Yong;An, Hyo-Seong;An, Gi-Beom;Jang, Jeong-Gyun;Go, Ju-Heon;Kim, Eun-Gyeong;Choe, Ji-Hye;Park, Byeong-Gon;Gyeong, Jae-Man;Yuk, In-Su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5 no.1
    • /
    • pp.62.2-62.2
    • /
    • 2010
  • 한국천문연구원은 GMT (Giant Magellan Telescope)의 부경 중의 하나인 FSM (Fast Steering Mirror)의 시험모델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광주과학기술원, 미국 NOAO와 협력하여 개발 중이다. FSM은 주로 반사경과 지지부, tip-tilt 부분으로 나누어질 수 있는데, 개념설계 이후 광축 지지부가 tip-tilt 기능도 겸하여 수행하는 것으로 설계변경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변경된 FSM의 구조를 파악하고 이에따른 시험모델의 개발 현황에 대하여 논한다.

  • PDF

프로그램 중심의 시민천문대 운영

  • Lee, Sang-Hyeon;Gang, Yong-U;Lee, Myeong-Hyeo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5 no.1
    • /
    • pp.86.1-86.1
    • /
    • 2010
  • 2000년대 초에 일반인들을 위한 천문대인 대전, 영월, 김해에 시민천문대가 개관하던 당시 우리나라에는 시민천문대를 운영했던 전례가 없었다. 당시 시민천문대는 중소도시에서 지방과학관 사업의 일환으로 국비지원을 받아 건립하였기 때문에 입장료를 내고 관람을 하는 과학관 개념으로 운영되는 것이 자연스러웠다. 그러나 천체관측을 중심으로 진행하는 천문대는 운영자의 조작과 설명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단순히 전시물을 관람하는 기존의 과학관 운영과는 많은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2008년부터 김해천문대에서 관람중심의 운영을 탈피, 프로그램 중심의 운영을 시도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을 통해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본 발표에서는 김해천문대에서 그동안 추진해 온 프로그램 중심으로의 운영 변화 과정과 그 결과를 보고하고 향후 발전시켜 나아갈 방향에 대해 소개할 예정이다.

  • PDF

Model making for water wheel control system of Heumgyeonggaknu

  • Kim, Sang Hyuk;Ham, Seon Young;Lee, Yong Sam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9 no.1
    • /
    • pp.86.1-86.1
    • /
    • 2014
  • 흠경각루(欽敬閣漏)는 1438년 장영실이 제작한 자동물시계로 천상의 모습을 재현한 천문시계의 역할을 갖추었다. 흠경각(欽敬閣)은 세종의 통치 철학을 세우는 중요한 공간이었다. 이곳에 설치한 흠경각루는 가산(假山) 외부에 빈풍사시의 풍경을 그려서 농사짓는 백성들의 어려움을 살필 수 있도록 하였고, 의기(倚器)를 설치하여 기울어진 그릇을 권력에 비유하여 조심하도록 하였다. 또한 12지신(支神)과 12명의 옥녀(玉女), 4신(청룡, 백호, 주작, 현무)과 4명의 옥녀, 그리고 종 북 징을 타격하여 시간을 알려주는 다양한 시보인형들과 태양운행을 살펴 볼 수 있는 종합적 연출이 가미된 당시의 첨단적 시계였다. 이러한 흠경각루의 작동은 가산 내부에 위치한 물시계와 수차에 의해서 발생된다. 물시계로부터 얻어지는 일정량의 물에 의해 수차가 회전하고, 천형장치를 활용해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흠경각루의 동력발생과정을 유기적으로 살펴 볼 수 있도록 개념 설계를 실시하였다. 또한 3D 모델링과 기초설계도를 작도하여 실험에 활용할 수 있는 수차제어시스템 모형을 제작하였다.

  • PDF

KARI Planetary Data System for Science Research Support in 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 Program

  • Kim, Joo Hyeo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4 no.1
    • /
    • pp.55.3-55.3
    • /
    • 2019
  •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탐사 프로그램인 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 (KPLO)는 1년의 임무기간동안 달과 달 주변의 우주환경에 대한 과학탐사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서 1개에 기술 검증장비와 고해상도 카메라를 포함한 5개의 과학장비를 탑재할 예정이다. 이 중 고해상도 카메라인 LUTI(LUnar Terrain Imager)와 국내에서 개발한 3개의 과학탑재체(KGRS;감마선분광기, KMAG;자기장측정기, PolCam;광시야 편광카메라)가 획득한 과학자료는 일정기간(통상 1년)동안 비공개로 검보정이 이루어진 후 일반에게 공개(Public release)할 예정이다. 이러한 과학자료의 공개와 관리를 위해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KPLO 심우주 지상시스템 내에 과학자료의 공개 및 관리를 위한 KARI Planetary Data System(KPDS)을 개발하고 있다. KPDS는 미국 NASA의 PDS에서 개발하여 유럽, 일본 등에서 이미 행성탐사 과학자료의 표준으로 활용하고 있는 PDS4 표준을 준수하는 과학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본 발표를 통해서 KPDS의 운영개념과 과학자료 관리계획, 그리고 KPDS의 개발현황을 천문학계와 공유하여 KPLO에 의해서 획득된 과학자료가 많은 과학자들이 활용하여 높은 과학적 성과를 낼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Next Generation Solar Telescope Global Network: Three Eyes for the Studies on the Space Weather Prediction and the Solar Chromospheric Activities (차세대 태양영상분광망원경 글로벌 네트워크: 세 개의 눈을 통한 우주환경예보과 채층활동 연구)

  • Yang, Heesu;Choi, Seounghwan;Kim, Jihun;Kim, Sujin;Lim, Eun-Kyung;Kang, Juhyung;Song, Dong-Uk;Baek, Ji-Hye;Park, Jongyeob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6 no.2
    • /
    • pp.79.1-79.1
    • /
    • 2021
  • NxST는 현재 천문연에서 개발중인 30cm 구경의 태양 망원경으로 태양 채층의 모습을 약 1각초의 적정한 영상 해상도로 고분광분해능의 채층선 스펙트럼 자료를 고속으로 얻어낼 수 있다. NxST는 미국과 유럽, 그리고 국내 1대를 건설하여 전지구적으로 연속적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NxST의 관측자료는 1) 우주환경예보의 최초이며 유일인자인 태양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고 2) 태양 채층의 파동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본 발표에서는 NxST의 연구주제들을 살펴보고 이로부터 도출된 시스템의 개념 설계를 제시한다.

  • PDF

달착륙선의 전력시스템 개념설계와 지상시험모델용 추력기 밸브구동 전원장치 개발

  • Jang, Seong-Su;Ju, Gwang-Hyeok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96.2-196.2
    • /
    • 2012
  • 본 논문은 달착륙선의 개념설계를 위하여 고려한 전력시스템의 설계와 달착륙선의 지상시험모델용 추력기 밸브구동 전원장치 개발에 대해 기술하였다. 달착륙선의 임무특성을 고려하여 전력시스템의 구조를 검토하고, 극한의 온도환경에서 달착륙선의 임무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전력에너지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도록 태양전지 배열기와 배터리의 용량, 그리고 전장품의 용량을 설계하였다. 특히 경량의 달착륙선 개발을 위하여 고효율의 태양전지를 이용한 태양전지 배열기와 리튬-이온 배터리를 검토하였다. 극한의 우주환경에서 태양전지배열기의 동작특성을 검토하고 생성될 수 있는 최대 전력을 분석하여 최적의 태양전지 배열기의 면적을 분석하고, 장시간의 월식을 고려하여 배터리의 방전특성에 따른 배터리의 전압특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달착륙선의 전력시스템 개념설계의 타당성 검토를 위하여 유럽에서 개념설계 중인 달착륙선의 전력시스템 사양과 용량에 대해 비교검토를 수행하였다. 현재 개발중인 지상검증모델용 달착륙선의 전력시스템 설계와 추력기 밸브구동 전원장치의 개발에 관해 기술하였다. 지상검증용 전력시스템은 태양전지배열기의 장착 없이 배터리의 전력만을 사용하여 지상검증모델용 달착륙선의 부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달착륙선 지상시험모델의 비행시간과 임무에 따른 부하특성을 고려하여 상용 리튬-이온 배터리의 용량을 선정하였으며, 부하의 전력을 고려하여 간단한 보호회로를 설계하였다. 그리고 지상검증용 전원시스템은 추력기의 밸브구동을 위한 추력기 밸브구동 전원장치, DC/DC 컨버터 전원 모듈, 모니터링 모듈, 그리고 위급상황에서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Emergency STOP"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 PDF

Analysis of Research Trend on Conceptual Change in Earth Science (지구과학교육 분야의 개념변화 연구 동향 분석)

  • Park, Ki Rak;Park, Hyun Ju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9 no.2
    • /
    • pp.193-207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rends in conceptual change research in the field of Earth Science education conducted in Korea and to provide them as basic data of future concept change research. The trends of conceptual change research were analyzed in terms of keywords, year of publication, source of research, purpose of research, subject, area of research, and research method.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a total of 126 conceptual change papers of Earth Science education published from 1989 to July 2017. This study show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conceptual change research papers used more the term 'conceptual change' than 'misconceptions' and 'preconceptions'. Second, the conceptual change paper has achieved a large amount of growth in the 2000s. Third, conceptual change research tended to proceed to the subject of master's dissertation. Fourth, there were a lot of researches to find out the misconceptions and change them into the right concept, the conceptual change paper used free response test for misconceptions, and cognitive conflict instruction model and CAI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teaching strategy for misconceptions. Fif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studied the most. Sixth, the study of conceptual changes in the field of Earth Science was high in the astronomical and atmospheric areas. Finally, although quantitative analysis methods were used in the early days of research, in the 2010s,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were widely used. In this paper, we proposed research on conceptual change for pre- and in-service teachers, expansion of research on conceptual changes in various fields such as geology, oceanography, atmosphere in Earth Science, investigation of causes of misconception in Earth Science and research on individual's affective factors, and so on.

Developing Experimental Method of Real-time Data Transfer and Imaging using Astronomical Observations for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과학탐구활동을 위한 천문 관측 자료의 실시간 전송 및 영상 구현 실험 방법 개발)

  • Kim, Soon-Wook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3 no.2
    • /
    • pp.183-199
    • /
    • 2012
  • Previous Earth Science textbooks have mostly lacked the latest astronomical phenomena frequently being reported in mass media such as popular science magazines. One of the main directions in the revision of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is to actively include those phenomena. Furthermore, despite a close link between astronomy and physics, the concept of modern physics has not been actively introduced in Earth Science textbooks and at the same time the linkage of physics to astronomy has rarely been studies in physics textbooks. Therefore, the concept of integration among different fields in science is emphasized in the new National Curriculum. Transient phenomena in the high energy astrophysical objects are examples that reflect such iss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ransferring a real-time data and making imaging of astronomical observations using e-Science. As a first step, we performed the first experiment for a large data transfer of astronomical observ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using KOREN, a National Research and Education Test Network. We introduce actively on-going fields of e-Science in observational activities of astronomy and astrophysics, and their close interrelationship with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and public outreach activities. We discuss our experiment in the scientific and educational aspects to the primitive e-Science activity in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and, in turn, provide a prospective view for its application to the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and public outreach activities in the upcoming commercial Gbps-level internet environments.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ual Change from Geocentricism to Heliocentricism Using Science History Materials (과학사 자료를 활용한 중학생들의 천동설에서 지동설로의 개념 변화)

  • Choi Jin-Hee;Kim Hee-Soo;Chung Jung-I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6 no.6
    • /
    • pp.489-500
    • /
    • 200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gnitive process that undergoes a middle student’s conceptual change about the universe by the cognitive conflict, using science history materials as a teaching strategy. Four eighth graders were selected and classified by three cognitive level. Students were interviewed and conducted to an inquiry activities regarding their viewpoint about the universe after each class, and their conceptual change patterns were analysed from pre-test and post-test. This study showed that each student held dissimilar astronomical preconceptions and various misconceptions about celestial motion. Students at the formal operational stage and transitional stage experienced the conceptual change from geocentricism to heliocentricism by instructional model upon the science history materials. Student at the concrete operational stage had either unscientific conception, no conception, or could not have a conceptual change even when being presented with an environment that arouses cognitive conflict ($R^2$: Phase change of Venus and its Rise and set time). They ended up having a cognitive change from geocentricism to heliocentricism by solving another problem ($R^2$: Relation between visible diameter and position of Mars). After the instruction, a conceptual achievement progress was reported with a $10\%$ improvement. Therefore, the instruction model based upon science history was effective on student’s scientific conceptual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