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천마

검색결과 300건 처리시간 0.021초

CLOSE UP - '생각의 전환'과 '구성원간 신뢰'로 신성장동력 창출, 성신양회 기술연구소

  • 박성일
    • 시멘트
    • /
    • 통권197호
    • /
    • pp.30-34
    • /
    • 2013
  • '좋은 자재가 건축의 가치를 결정한다'는 신념은 성신양회가 지난 50년 가까운 세월 동안 천마표 시멘트의 명성을 만들어 온 원동력이다. 그 동안 성신양회는 엄격한 품질관리를 통해 건축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제품을 개발, 생산해왔다. 여기서 멈추지 않고 성신양회는 기술연구소를 주축으로 연구개발 역량을 집중시킴으로써 신기술과 신제품이 쏟아지는 초고속 경쟁시대 속에서 미래 비전과 핵심 가치를 현실화시켜 나가고 있다.

  • PDF

동충하초 자실체 병원균 원인균 판별법 체계화 - 생리장해로 인한 재배이상균과 2차 감염에 의한 오염균이 원인

  • 한국생약협회
    • 한국생약보
    • /
    • 250호
    • /
    • pp.5-5
    • /
    • 2002
  • 천마 유성생식으로 대량생산(생식기간단축 어린마 증식률도 20배이상) - 강원 인삼육성 - 새 상황버섯 '천년상황' 육성 - 기존품종 비해 원목당 수량성 2배 - 영주, 인삼 약직묘 생산 성공(풍기인삼 품종고정화에 적극 나설계획) - 전남, 인삼재배 확대

  • PDF

상황버섯 '지상재배' 소득높다 - '지면재배'보다 3배 많아

  • 한국생약협회
    • 한국생약보
    • /
    • 264호
    • /
    • pp.5-5
    • /
    • 2005
  • 섬오갈피' 대량생산 길텄다.(산림과학원, 자생지서 개체 선발 생물반응기 배양) - 천마, 실내 균상재배땐 수확 '4배' - 대추 50$^{\circ}C$로 건조 상품성 가장 좋아(농촌지도기관 주문) - 표고 건조때 솔잎넣어 부패$\cdot$벌레발생 방지

  • PDF

생천마 저장기간 연장 - 필름포장에 의한 밀봉저장법 효과적

  • 한국생약협회
    • 한국생약보
    • /
    • 252호
    • /
    • pp.5-5
    • /
    • 2002
  • 참당귀 노지육묘때 비가림시설 설치(점무늬병 발생줄고 규격묘 생산량은 증가) - '잔대' 꽃대 8월상순 제거 품질 좋아지고 증수 - 상황버섯 참나무 톱밥배지 사용(관행재배시 보다 수확량 두배 증수) - 농작물 온풍건조기 한약재 건조에 적합 -삼백초 7월말$\cdot$10월말 2번 나눠 수확

  • PDF

반하백출천마탕(半夏白朮天麻湯)과 침 치료에 호전을 보인 섭식장애 환자 치험 1예 (A Case Report for an Eating Disorders with Banhabaeckchulchunma-tang and Acupuncture Treatment)

  • 정동훈;신우석;박원형;차윤엽;최우진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5-50
    • /
    • 2015
  • 섭식장애로 진단되는 24세 여자 환자에게 2주간 총 6회 위정격(胃正格)의 침 치료 및 반하백출천마탕(半夏白朮天麻湯) 투여로 비만도 향상 및 식습관 개선의 효과가 있었다.

천마버섯(Armillaria gallica )의 생태학적 서식지 조사 (Investigation on ecological habitats in Armillaria gallica mushrooms)

  • 유영복;오진아;오연이;문지원;신평균;장갑열;공원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6-40
    • /
    • 2013
  • 2012년에 전국의 주요 천마재배 지역에 천마버섯 자실체 발생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자실체 발생은 10월 17일경 거의 동시에 경기도 남양주, 경북 상주, 경북 김천에서 이루어졌다. 자실체가 발생한 지역과 주변 지역의 자실체 발생에 영향을 주는 시기인 버섯 발생 2주전의 온도 및 강수량을 조사하였다. 기온은 최저 $3{\sim}23^{\circ}C$, 최고 $15{\sim}26^{\circ}C$, 평균 $9.9{\sim}17.5^{\circ}C$였으며, 강수량은 10월 10일에 0.5~1.0mm, 10월 17일에 2.5~4.5mm를 기록하였다. 자실체 발생지는 5년 전에 천마를 재배하였고 지금은 다른 작물을 재배하는 지역으로 잡초가 많이 우거진 상태였다. 발생지는 경사가 15도 정도로 다소 있는 동향으로 양토로 이루어져 있었다. 천마를 재배한 밭과 이웃 밭 간의 작은 도랑을 중심으로 양쪽 옆으로 자실체가 많이 발생되었는데 수분이 항시 있고 잡초가 우거진 상태였다. 자실체는 참나무 원목이 아닌 토양위에서 발생하였다. 군생으로 발생도 하였지만 자실체가 1-5개 정도로 산발적으로 발생하기도 하였다. 자실체 발생지를 자세히 살펴본 결과 간혹 검정색의 굵은 균사속을 따라 자실체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자실체를 뽑아보니 자실체 기부에 균사속이 붙어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발효 천마 추출물의 생리 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Fermented Gastrodia elata Blume Extracts)

  • 박안나;구태규;김경선;이동원;김상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702-711
    • /
    • 2015
  • 천마를 다양한 용매(물, 에탄올 및 70%) 및 다양한 농도 (0.725, 1.25, 2.5 및 5 mg/mL)로 추출하고 추출된 물질을 젖산균과 유용미생물(Effective Microorganisms)로 발효시킨 다음, 이들 물질들이 화장품 소재로 활용 가능한가를 확인하였다. 물, 에탄올 및 70% 에탄올로 추출한 물질들을 각각 0.725, 1.25, 2.5 및 5 mg/mL 농도에서 실험한 결과, flavonoid, polyphenol 및 DPPH free radical scavenger 등과 같은 항산화물질은 에탄올 추출물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DPPH radical 소거능은 유용미생물로 발효시킨 천마를 에탄올로 추출한 경우 1.25 mg/mL에서 $27.08{\pm}0.5%$이었으나 2.5 mg/mL에서는 $27.08{\pm}0.5%$로 증가하였다. 미백 활성을 측정할 수 있는 tyrosinase 활성 저해 실험에서는 EtOH 추출물을 젖산균으로 발효시켰을 때 가장 저해 효과가 우수하였고(0.725 mg/mL에서 $39.1{\pm}0.4%$, 2.5 mg/mL에서 $62.8{\pm}1.5%$), RAW 264.7 Cells을 이용한 세포 생존율 실험 결과 물, EtOH, 70% EtOH 추출물과 이들의 발효 물질 모두 85%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 세포의 염증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ROS 생성으로 인한 항산화 실험에서는 양성 대조군으로 RAW 264.7 cells을 lipopolysaccharide로 자극시켜 활성화된 세포에 비발효와 발효에 따른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유효미생물로 발효시켰을 경우가 가장 항산화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 천마 추출 및 발효 물질은 화장품용 항산화제, tyrosinase 활성 저해제 및 항염증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았다.

현수교(懸垂橋)의 비틀림진동(振動)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f Torsional Vibrations of Suspended Bridges)

  • 민창식;김생빈;손승요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권3호
    • /
    • pp.27-37
    • /
    • 1983
  • 본(本) 연구(硏究)는 경기도(京畿道) 설계심의회(設計審議會)에서 천마산(天馬山) 청소년(靑少年) 심신수련장(心身修練場) 현수교(懸垂橋) 설계심의시(設計審議時) 현수교(懸垂橋)의 동적(動的) 거동(擧動)에 대한 설계미비(設計未備)의 원인(原因)이 아직도 체계화(體系化)되지 못한 우리 나라 현수교(懸垂橋)의 설계자료(設計資料)와 지침(指針)의 불비(不備)함에 그 동기(動機)를 얻어, 유한요소법(有限要素法)을 적용(適用)하여 현수교(懸垂橋)의 비틀림진동(振動)에 대한 고유진동수(固有振動數)와 이에 상응(相應)하는 고유진동형(固有振動形)을 구(求)하였다. 실제(實際)로 현수교(懸垂橋)의 일반적(一般的) 거동(擧動)은 수직(垂直) 수평면(水平面) 내(內)에서의 연성(連成)된 운동(運動)으로 표시(表示)되지만 사용목적(使用目的)에 부합(附合)하여 그 진폭(振幅)을 미소(微小)하도록 제한(制限)하면 수직(垂直) 비틀림 진동(振動)은 단독(單獨)으로 비연성화(非連成化)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석하였다. 1973년 6월에 개통된 Streamlined Box-Girder Type인 남해대교(南海大橋)와 Lateral Bracing으로 이루어진 단경간의 천마산(天馬山)의 현수교(懸垂橋)의 설계자료(設計資料)를 이용하여 수치해(數値解)를 얻었으며, 천마산(天馬山) 현수교(懸垂橋)의 경우(境遇) 보조(補助) 보강(補强)케이블의 유무(有無)에 따른 고유진동수(固有振動數)와 진동형(振動形)을 구(求)하여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였다. 보강(補强)케이블의 유무(有無)에 따라 초기의 진동수(振動數) 등에서는 그 영향이 매우 뚜렷하였으나, 진동형(振動形)이 복잡해짐에 따라 보강(補强)케이블의 영향은 미약했거나 또는 오히려 역효과를 가져왔다. 남해대교(南海大橋)에 있어서 유한요소기법(有限要素技法)과 전자계산기에 의해 본(本) 연구(硏究)에서 구한 고유진동수(固有振動數)와 남해대교(南海大橋) 건설지(建設誌)에 있는 Frequency Equation으로 구한 값 또는 풍동실험(風洞實驗)에 의한 결과(結果) 등과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였으며, 비교(比較) 결과(結果) 좋은 일치(一致)를 보여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