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천리안위성

Search Result 19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천리안위성 기상영상기 영상위치보정 성능: 정규운영 초기 1년

  • U, Jin;O, Hyeon-Jong;Lee, Byeong-Il;Kim, Yong-Seok;Son, Seung-Hui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212.1-212.1
    • /
    • 2012
  • 2010년 6월 성공적으로 발사된 천리안위성(COMS; 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의 기상영상기(MI; Meteorological Imager)를 통해 관측된 원시 기상영상은 지상국인 국가기상위성센터에서 지표기준과 위성궤도 및 자세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위치보정 과정이 수행된다. 본 연구에서는 정규운영 초기 1년 동안의 운영 자료를 분석하여 계절 및 일변화를 나타내는 천리안위성 기상영상의 영상위치보정 성능 및 특성을 기술하였다. 이를 통하여 천리안위성 기상영상 가시 및 적외 채널의 영상위치결정 정확도 및 영상 위치유지 정확도는 기준값인 $56{\mu}rad$(약 2km) 이내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천리안위성 기상영상이 우수한 품질의 위치정확도를 가지며 기상현상 분석 및 응용 연구에 높은 효용성을 가지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후속 기상위성 영상위치보정 시스템 설계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 PDF

Verification of Land Surface Temperature using COMS(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천리안 위성을 이용한 지표면 온도의 검증)

  • Baek, Jong-Jin;Choi, Mi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9-102
    • /
    • 2012
  • 지표면 온도는 토지피복의 상태, 식생의 분포 상태, 토양수분, 증발산 등의 영향으로 많은 차이를 가지게 되며, 지면-대기의 상호순환의 중요한 인자로써 기후모델 및 농업 등의 기본적인 데이터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표면의 온도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수문학적 관점 및 기상적인 관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기존에 LST (Land Surface Temperature, 지표면온도), ET (EvapoTranspiration, 증발산),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정규식생지수) 등의 검증이 많이 이루어진 MODIS위성의 Terra/Aqua센서는 한반도를 스캔하고 지나갈 때의 순간적인 데이터를 산출된다. 공간적인 면에서는 많은 이점이 있으나 시간적인 면에서는 시간에 따른 인자들의 변동성을 파악 하는데는 많은 문제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시 공간적으로 변화양상을 측정 할 수 있는 정지궤도위성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2010년 6월 27일 발사된 정지궤도위성인 천리안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천리안 위성은 기상 센서와 해양관측 센서 그리고 통신센서를 가진 위성이다. 천리안 위성의 기상 센서는 MTSAT-1 위성과 같은 적외선 센서를 탑재하고 있으며, 평시에는 15분 단위의 데이터를 산출하게 된다. 천리안에서 제공되는 많은 Product(강우강도, 해수면온도, 가강수량, 지구방출복사 등)는 수자원 및 기상에 관련된 데이터가 제공된다. 하지만 아직 검증이 많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그래서 천리안 위성 데이터인 지표면 온도자료를 이용하여 천리안 위성의 효율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며, 기존의 검증이 많이 이루어진 MODIS의 데이터와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지상과의 관계를 검증 및 비교하여 천리안 위성의 활용성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 PDF

Utilization and Effect of Satellite Simulator for COMS Operation Preparation (천리안위성 운용 준비를 위한 위성시뮬레이터 활용효과 분석)

  • Lee, Hoon-Hee;Kim, Bang-Yeop;Park, Bong-Kyu;Yang, Koon-Ho;Baek, Myung-Jin;Chun, Yong-Sik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9 no.1
    • /
    • pp.84-92
    • /
    • 2010
  • Prior to the launch of COMS Satellite, the validation of the ground system for satellite operations has been performed using the real COMS, the satellite simulator and etc. In particular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part of ground system test on which the simulator is used and it will present the usage, range and importance of the simulator utilization. Furthermore, it describes the practical experience on and its effect using Simulator for system validation, and suggests approaches to overcome a partial limitati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OMS Communication Payload and Satellite Ground Control System (천리안 위성통신시스템과 관제시스템의 개발 및 활용)

  • Jo, J.H.;Lee, B.S.;Lee, S.P.;Kim, J.H.;An, D.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6 no.4
    • /
    • pp.90-104
    • /
    • 2011
  • 천리안 위성은 우리나라 최초의 정지궤도 복합위성으로 국내의 여러 국책연구기관이 공동으로 참여하였다. 천리안 위성 프로그램에서 ETRI는 천리안 위성의 통신탑재체 개발 및 위성관제시스템 개발을 담당하였다. 천리안 위성은 2010년 6월 27일 성공적으로 발사되어 1년이 지난 현재까지 무사히 본래의 임무를 수행 중이다. 본 지면에서는 ETRI가 개발하여 천리안 위성에 실은 통신탑재체의 개발과정과 위성을 감시 제어하는 관제시스템의 개발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 PDF

Validation of COMS Ka band Antenna Beam Coverage (천리안위성 Ka대역 안테나 빔 커버리지 검증)

  • Jo, Jin-Ho;You, Moon-Hee;Lee, Seong-Pal;Kim, Jae-Hoon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7 no.1
    • /
    • pp.86-91
    • /
    • 2012
  • This paper described validation results of COMS Ka band antennas beam coverages which were developed by ETRI. After satellite launch, In Orbit Test(IOT) activities are stat to check spacecraft and payloads are still in healthy condition after launch. During IOT phase, ETRI measured radiation patterns of COMS Ka band antennas and compare with ground test(CATR) results. The antenna patterns similarity between IOT results and CATR results show that COMS Ka band antenna withstand launch vibration and in the good healthy condition. After IOT, ETRI performed field test for beam coverage measurements with vehicle to check if Ka band beam coverage are formed well as designed. For the beam coverage measurement, 17 points were selected over the Korean peninsula. The field measurement data were very similar with CATR data and this confirms that beam coverage are formed well over the Korean peninsula as expected.

Introduction to the COMS Flight Software (천리안 위성 비행소프트웨어 소개)

  • Kang, Soo-Yeon;Koo, Cheol-Heo;Park, Su-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76-79
    • /
    • 2011
  • 천리안 위성은 우리나라 최초의 정지궤도 복합 지구관측 위성으로 기상관측, 해양관측과 통신서비스 임무를 수행하는 중대형위성으로 2011년 6월 27일에 성공적으로 발사되어 약 6개월간의 시험운영기간을 거쳐 현재는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천리안 위성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총괄 주관하에 2003년 9월 개발을 시작으로 프랑스의 EADS-Astrium과 공동 개발되었다. 천리안 위성은 이미 EADS-Astrium에 의해 통신 위성 본체 플랫폼으로 우주 인증된 Eurostar3000(이하 E3000) 플랫폼을 근간으로 제작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천리안 위성 플랫폼 탑재컴퓨터에 탑재되어 위성체 전반을 운영하는 비행소프트웨어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기술한다. 또한 기존의 EADS-Astrium사의 E3000 비행소프트웨어 생산라인을 바탕으로 천리안 위성 비행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개발 절차 형상을 소개한다. 본 논문에서 기술한 재생산을 위한 개발 절차에 대한 접근 방법은 위성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시스템과 같은 mission critical 시스템이면서 이미 검증된 소프트웨어를 재사용하고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일부 기능을 변경 및 추가 개발하여 통합된 소프트웨어를 생산해야하는 소프트웨어 개발체계의 실질적인 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Scan Mirror Emissivity Compensation for the COMS MI (천리안위성 기상탑재체의 스캔미러 방사율 보정)

  • S대, Seok-Bae;Jin, Kyoung-Wook;Ahn, Sang-Il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0 no.1
    • /
    • pp.156-166
    • /
    • 2011
  • COMS (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the Korea's first geostationary Earth observation satellite, started to operate 24 hours to observe Land/Ocean/Atmosphere with the MI (Meteorological Imager) and GOCI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After the successful completion of the IOT (In-Orbit Test), the satellite is in normal operation from April of 2011. This paper describes an algorithm for scan mirror emissivity compensation of the COMS MI and its software implementation.

Characteristics of the Mission Planning for COMS Normal Operation (천리안위성 정규 운영에 대한 임무계획 특성)

  • Cho, Young-Min;Jo, Hye-Young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2 no.2
    • /
    • pp.163-172
    • /
    • 2013
  • Communication Ocean Meteorological Satellite (COMS) has the hybrid mission of meteorological observation, ocean monitoring, and telecommunication service. The COMS is located at $128.2^{\circ}$ East longitude on the geostationary orbit and currently under normal operation service since April 2011. For the sake of the executions of the meteorological and the ocean mission as well as the satellite control and management, the satellite mission planning is daily performed. The satellite mission plans are sent to the satellite by the real-time operation and the satellite executes the missions as per the mission plans. In this paper the mission planning for COMS normal operation is discussed in terms of the ground station configur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daily, weekly, monthly, and seasonal mission planning activities. The successful mission planning is also confirmed with the first one-year normal operation results.

COMS Shock Test Assessment by Using the Extrapolation Method (외삽법을 이용한 천리안위성 충격시험 분석)

  • Lee, Ho-H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0 no.5
    • /
    • pp.439-445
    • /
    • 2012
  • The COMS(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is subjected to shock loads when the stage or fairing of a launch vehicle is separated and the satellite is separated from the launch vehicle during the launch vehicle flight. And, after the satellite is separated from the launcher, the COMS is subjected to shock loads when the solar array is deployed, Ka-Band communication antenna is deployed, and meteorological imager radiator cover is released. In order to validate the satellite safety against these shock loads on ground, shock tests were performed. In this paper, the shock tests performed in the course of the COMS development are described, and the method to assess the test result is presented with an example of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GOCI). In Ariane-5 launch vehicle, the clampband release shock for satellite separation is lower than the fairing or stage separation. In this paper, the extrapolation method to take into account the maximum shock load from the launch vehicle by using the satellite separation shock test result is also introduced.

In-Orbit Test of COMS Ka-band Communications Payload (천리안통신위성 궤도내시험)

  • You, Moon-Hee;Jo, Jin-Ho;Lee, Seong-Pal;Kim, Jae-Hoon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6 no.1
    • /
    • pp.109-114
    • /
    • 2011
  • Ka-band payload of COMS (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launched in June 2010 was developed by ETRI with Korean local companies and also the in-orbit test (IOT) for the Ka-band payload was carried out entirely with domestic technology. The Ka-band payload IOT consisted of the antenna pattern measurements and the payload RF performance test was performed during about 40 days from 10 days after the launch. In this paper, the IOT methods and the results for the Ka-band payload ar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comparisons of each IOT test result with the corresponding ground test result, we can show that the Ka-band payload IOT and verification was successfully achieved and that all Ka-band channels of COMS are to be norm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