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채집법

검색결과 212건 처리시간 0.026초

벼줄무늬잎마름바이러스의 대 발생과 발생 요인 (Severe Outbreak of Rice Stripe Virus and Its Occurring Factors)

  • 김정수;이관석;김창석;최홍수;이수헌;김미경;곽해련;남문;김정선;노태환;강미형;조점덕;김진영;강효중;한종우;김병련;정성수;김주희;고숙주;이중환;김태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45-572
    • /
    • 2011
  • 벼줄무늬잎마름바이러스(Rice stripe virus, RSV)에 대하여 유전자 진단기술인 RT-PCR과 VC/RT-PCR 기술을 개발하였다. ELISA 진단법은 유묘 검정법 보다 평균 40.5%, RT-PCR 진단법은 ELISA 진단법 보다 21%의 진단 효율이 높았다. 2009년 경기도 김포, 평택, 시흥 지역에서 채집한 애멸구의 보독충률을 VC/RT-PCR 진단법과 ELISA 진단법으로 검정한 결과 전체 평균 보독충률은 9.2%로 동일하였다. 벼줄무늬잎마름바이러스가 감염된 벼 포장에서 수집한 13개 분리주의 유전자 유연성은 RNA1과 RNA2는 중국+한국, 중국+한국+일본의 2개의 군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병원성 발현에 관여하는 RNA3는 중국, 중국+한국, 한국+일본의 3개 군으로, RNA4는 중국, 한국, 중국+한국+일본, 한국+일본의 4개의 군으로 구분되었다. 경기도 등 7개 도의 주요 28개의 재배지역에서 채집한 애멸구의 전국 평균 보독충률은 2008년 4.3%, 2009년 6.1%, 2010년 7.2%로 매년 상승하였다. 2008년에는 경기도가 11.3%로 가장 높았으며, 2009년에는 전라남도가 20.1%, 2010년에는 경기도 12.0%, 충청북도 14.2%로 가장 높았다. 보독충률이 가장 높았던 지역은 2008년에는 전북 부안 지역이 22.1%, 2009년에는 전남 완도와 진도가 36%, 2010년에는 충북 보은이 30.0%였다. 월동 애멸구의 전국 평균 밀도는 2008년 13.1 마리, 2009년 13.9 마리, 2010년 5.6 마리였으며, 월동 애멸구의 밀도는 전북 부안 지역이 2008년 39.1 마리, 2009년 60.4 마리로 가장 높았으며, 2010년에는 경기 평택 지역이 14.0 마리로 가장 높았다. 2008년 RSV 발생은 전남 진도, 해남 지역을 중심으로 869 ha가 발생하였으며, 2009년에는 전국적으로 21,541 ha가 발생하였으며, 특히 서해안 지역의 경우 경기도, 인천시, 충남, 전북, 전남의 19개 시군, 39개 읍면, 53개 리에서 3,025 포장을 조사한 결과 55.2%가 부분 고사 이상의 피해가 발생하였다. 2008년부터 3년간 전북 부안, 전남 진도 등에서 월동 애멸구의 시기별 발육을 조사한 결과 5월 20일에서 6월 10일 경에는 월동 후 1세대는 대부분 3령과 4령 이었으며 성충은 6월 하순경에 최성기였다. 2009년 5월 31에서 6월 1일에 태안, 서산, 부안, 신안, 진도 등에서 공중 포충망에 채집한 애멸구는 모두 성충이었으며 밀도는 태안 지역이 963 마리, 서천 919 마리, 신안 819 마리 등으로 매우 많이 포획되었으며, 공중 포충망에 채집된 애멸구는 국내에서 월동한 애멸구 집단이 아니고 중국에서 비래한 애멸구 집단으로 확인되었다. 2010년에는 5월 중순에서 6월 중순까지 공중 포충망에 애멸구 성충이 거의 채집되지 않았다. 2009년 충남 홍성, 전북 부안, 전남 영광 등 서해안 8개 지역의 공중 포충망에서 채집한 애멸구 성충의 RSV 보독충률은 2.1%에서 9.5%로 변이가 컸으며, 보령이 9.5%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충남 홍성 7.9%, 전남 영광 6.5%, 충남 태안 6.4%였다. 애멸구 비래 후 약 10일 후에 공중 포충망 주변의 논에 심겨진벼에 대하여 RSV의 유전자 진단 결과 태안 84.6%, 부안 65.4%, 진도 92.9% 이었으며, 평균 감염률은 81% 이었다. 보리는 RSV의 주요 월동 기주식물로 알려져 있으나 RSV의 감염률은 경기 평택 등 전국에서 530점을 채집하여 유전자 진단 결과 감염률이 0.2%로 매우 낮았다. RSV의 새로운 자연 기주식물로 29종이 확인되었다. 하계 일년생 식물은 조개풀 등 13종, 동계 일년생은 들묵새 등 11종, 다년생으로는 우산잔디 등 5종 이었다. RSV 감염률은 동계 일년생인 들묵새 24.9%, 하계 일년생인 바랭이 44.9%, 물피 95.2%, 가을강아지풀 65.5%이었으며, 다년생인 물억새는 33.3%였다. RSV에 감수성인 동진1호 등 8개 품종과 저항성인 삼광벼 등 17개 품종에 대하여 2009년 부안, 익산, 김제 지역의 자연 포장에서 병징 발현 여부를 조사한 결과 감수성 8개 품종은 모두 감수성이었으며, 진성 저항성 품종 중 온누리 등 12개 품종은 감수성이었으며 삼광벼 등 5개 품종은 포장 저항성이었다. RSV에 저항성인 남평벼 등 4 품종과 감수성인 동진1호 등 3 품종을 대상으로 바이러스를 인공접종한 결과 RSV의 병징 발현률은 감수성 품종의 경우 평균 53.3%이었으며 저항성 품종의 경우 평균 34.0%로 19.3% 낮았다. 감수성인 흑남벼와 저항성인 남평벼를 이용하여 병징 발현률과 바이러스 감염률을 조사한 결과 병징 발현률은 흑남벼 28%, 남평벼 12%로 감수성 품종이 병징 발현률이 2배 이상 높았다. 그러나 체내 바이러스 감염률은 흑남벼 85%, 남평벼 97%로 오히려 저항성 품종에서 12%의 높은 감염률을 보였다. 저항성 품종에서의 저항성 기작은 병징 발현에 대한 저항성이며 바이러스 증식에서는 저항성이 아니었다. RSV에 저항성 품종인 남평벼, 온누리와 감수성 품종인 동진1호, 운광벼를 이용하여 생육시기별로 인공접종하여 수량 감소를 2008년부터 3년간 조사한 결과 감수성 품종에서는 주당 수량을 보면 유묘기 감염시 7.8 g, 분얼기 감염시 8.5 g, 최고 분얼기 감염시 13.8 g으로 무처리에 비하면 수량 감소율이 유묘기 51%, 분얼기 46%, 최고 분얼기 13%로 일찍 감염될수록 수량 감소 영향이 컷다. 저항성 품종에서는 시기별 감염과 수량 감소가 통계적으로 상관이 없었다. 자연 발병된 농가 포장에서 운광 품종을 대상으로 태안과 진도지역에서 조사한 결과 발병경률 23.4% 이상이면 발병경률의 증가에 따라서 상관계수 0.94로 수량 감소율도 동일하게 증가하였다.

가루깍지벌레(Pseudococcus comstocki (Kuwana))월동알의 온도발육 및 부화시기예찰모형 (Modeling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 and Hatch of Overwintered Eggs of Pseudococcus comstodki (Homoptera:Pseudococcidae))

  • 전흥용;김동순;임명순;이준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19-125
    • /
    • 1996
  • 가루깍지벌레 월동안 부화시기 예찰모형을 수립하기 위하여 월동알에 대한 온도발육 실험이 수행된다. 5개온도(10, 15, 20, 25, 27$^{\circ}C$)와 채집시기별로 월동알 부화기간을조사하여 비교분석하였다. Wagner 등 (1984a)의 비선형발육모형이 온도별 평균발육률에 대하여 적용되었으며 ($R^2$=0.9729). 발육영점온도는 15~$25^{\circ}C$ 영역에서 얻은 직선회귀식에 의하여 $11.9^{\circ}C$로 추정되었으며, 발육완료를 위해서는 154.14일도가 필요하였다. 적산온도 모형과 발육률전산(Wagner 등 1985) 모형이 부화시기 예측에 이용된다. 적산온도 모형은 평균온도에서 발육영점온도 이상의 온도를 적산하는 방법(Mean-minus-base 추정법), Sine wave 추정법(Allen 1976), 그리고 Rectangle 추정법(Arnold 1960)을 잉요하여 계산하였다. 50% 부화예측일을 실측일과 비교한 결과 적산온도를 이용하는 경우 Mean-minus-base 추정법은 18~28일, Sine wave 추정법은 11~14일, 그리고 Rectangle 추정법은 3~5일의 편차를 보였고, 발육률 적산모형은 2~3일의 편차가 있었다.

  • PDF

해산 섬모충 Pelagostrobilidium simile (Ciliophora: Oligotrichia)의 형태 형성 (Morphogenesis of Marine Ciliate Pelagostrobilidium (Ciliophora: Oligotrichia))

  • 마홍웨이;최중기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1권1호
    • /
    • pp.21-30
    • /
    • 2005
  • 인천연안에서 채집한 부유성 빈모류인 Pelagostrobilidium simile의 형태 형성과정을 pyridine silver carbonate impregnation 염색법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p. simile의 형태형성은 전형적인 hypoapokinetal mode로 입섬모열은 모세포의 체섬모와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세포막 안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입원기로부터 형성되었다. 입원기는 anarchic field의 증식으로 외부 입섬모열 아래에서 시작되었다. 딸세포 prefer와 opisthe의 체섬모상은 분열하는 동안 기저체의 증식으로 모세포 체섬모 구조로부터 나왔다. 모세포의 입 기구는 딸세포 prefer로 전달되고 모세포의 입섬모구조에서 입기구의 새로운 형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양식(養植) 진주담치의 마비성패독(痲痺性貝毒) (Paralytic shellfish poisons in the cultured mussel Mytilus edulis galloprovincialis)

  • 전중균;허형탁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79-83
    • /
    • 1989
  • 1988년 4월 경남 거제군 하청면의 양식장(養殖場)에서 약하게 독화(毒化)한 진주담치 Mytilus edulis galloprovincialis(4MU */g 가식부)를 채집하여 마비성패독(痲痺性貝毒)의 조성(組成)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고속 액체 크호마토그라피(HPLC)법으로 분석(分析)하였다. 독화된 진주담치의 중장선을 산추출하여 탈지, 활성탄처리 및 Bio Gel P-2 겔 여과 크로마로그라피법으로 부분정제(部分精製)하여 HPLC로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진주담치독(毒)은 gonyautoxin 1-4(GTX 1-4)를 주성분(主成分)으로 하고, saxitoxin(STX)과 protogonyautoxin 1-2(PX 1-2)가 미량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대기 중의 ppb 농도의 VOC의 분석을 위한 저온농축장치의 제작과 성능평가 (Construction and Evaluation of Cryogenic Preconcentration System for Analysis of VOC with ppb Level in the Air)

  • 전선주;허귀석;김병주;김진석
    • 분석과학
    • /
    • 제12권4호
    • /
    • pp.332-340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canister에 채집한 대기시료 중의 VOC 성분을 농축하기 위해 home-made 저온농축장치를 제작하였다. 제작한 저온농축장치와 GC-MS 분석장치를 이용하여 대기 시료 중에 ppb 농도로 존재하는 EPA의 TO-14 법에서 규정한 성분들을 정량하였다. 제작한 homemade 농축장치에 의한 분석의 결과를 종전에 사용해 오던 흡착관법의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제작한 system의 성능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및 xylene류의 농도가 잘 일치하였다.

  • PDF

시금치 바이러스병에 관한 연구 I. 시금치에 발생하는 순무모자익바이러스 (TuMV)의 분류동정 (Investigations on the Virus Diseases in Spinach. (Spinacia orleraea L.) I. Identification of Turnip Mosaic Virus Occuring Spinach)

  • 이순형;이기운;정봉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3-35
    • /
    • 1978
  • 모자익병징을 나타내는 이병시금치를 채집하여 순무모자익 바이러스를 분류 동정하였다. 분리된 순무모자익바이러스를 지표식물에 접종한 결과 담배(B.Y)와 명아주에는 국부병반이 형성되었고 쑥갓, 시금치, 무우에는 모자익 병징이 나타났다. 이병시금치 잎을 착즙하여 순무모자익바이러스의 항혈청과의 혈청반응 시험 결과 양성 반응이 나타났다. 이병엽을 Dip법으로 시료를 제작하여 전자현미경에서 검경한 결과 대부분이 750nm의 사상 입자가 관찰되었다. 시금치에서 순무모자익바이러스의 발생분포는 수원, 안양, 대구, 진주 등 거의 전국적으로 발생하였다

  • PDF

산지하천의 하상재료와 소류사의 크기 (Size of Bedload Materials and Bedload in Mountainous River)

  • 박상덕;김건태;김호섭;이승규;신승숙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556-560
    • /
    • 2010
  • 자갈하상 산지하천의 주요 관심사는 소류사 크기 분포와 연계하여 하상재료의 이송에 대한 광범위의 기초자료 확보하는 것이다. 자갈 하상재료가 주를 이루는 강원영동지역 양양남대천의 산지 하천을 대상으로 하상재료를 조사하였다. 산지하천의 소류사 크기를 고려한 소류사 채집기를 설치하고, 호우 발생 이후 측정기에 포획된 소류사의 크기를 파악하기 위해 입도분포를 분석하였다. 두 개의 소류사 측정기는 지남교 지점에 유속이 빠른 우안과 유속이 상대적으로 느린 좌안에 각각 설치하였다. 산지하천 시험구간의 하상재료 분포도는 그림 1과 같으며, 하상재료 평균입경은 184.65mm 이였다. 연구단에서 운영중인 법수치 우량관측소의 관측자료에 따르면, 2009년 11월 1~13일 185mm 강우가 발생하였으며, 11월 11일 7:00경에 최대수위에 따른 첨두유출량 107.23$m^3/s$가 발생하였다. 첨두유출 발생당시 이동한 우안 소류사의 평균입경은 102.88mm 이였고, 좌안 소류사의 평균입경은 66.53mm 이였다(그림 2). 하상재료의 평균입경에 대한 소류사 평균입경을 비교하였을 때, 소류사는 하상재료의 $45.87{\pm}13.92%$ 크기 범위에서 이동함을 확인하였다.

  • PDF

역병의 감염 여부에 따른 토양 내 진균 분포 (Analysis of Soil mycoflora in Phytophthora Infested and Non-Infested Fields)

  • 이선주;김종식;홍승범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21-126
    • /
    • 2000
  • 불건전 토양과 건전 토양의 환경을 이해하기 위해 자연적으로 역병에 감염되거나 감염되지 않은 고추와 토마토 시설재배지의 비근권토양, 근권토양, 근면을 채취하고 연구하였다. 시료는 경상남도의 시설재배지에서 1999년 4월에 채집되었으며, 진균의 분리는 희석평판법을 이용하였다. 각 작물 별 재배지에서 25 종의 진균이 분리되었으며 건전 시료보다는 감염 시료에서, 근권이나 근면토양보다 비근권토양에서 더 많은 수의 종이 분리되었다. 역병이 감염되지 않은 시료에서만 Trichoderma sp.가 분리되었으며 각 작물의 서식지별로 분리된 진균의 수는 다양하였다.

  • PDF

담수 퇴적물의 영양염 용출 측정 방법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Measurement Method for Benthic Nutrient Flux in Freshwater Sediments)

  • 김경희;김성한;진달래;허인애;현정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288-302
    • /
    • 2017
  • 퇴적물이 수층의 영양염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퇴적물의 용출률을 정확하게 측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퇴적물 용출률 측정 방법 중 퇴적물 코어 배양법을 대상으로 용출률의 측정 조건과 실험 절차를 제시하였다. 낙동강 수계 중류에서 2015년 7월에 표층이 교란되지 않은 퇴적물 코어 시료를 채취하여, pre-incubation 시간(6, 12, 24시간), 초기 산소농도(포화도 90, 70 50%), 확산경계층의 두께(0, 0.6-0.8, 1.2-1.4 mm), 배양 온도(10, 17, 20, $25^{\circ}C$) 등을 여러 가지 조건으로 조성하여 측정한 영양염 용출률의 결과를 그 바탕으로 하였다. 네 가지 주요 환경 조건이 달라지면, 안정화 시간 동안 유기물 분해 및 산화 과정에 의한 화학 조성 변화, 퇴적층의 산화-환원 환경 변화에 따른 흡착 및 탈착, 퇴적물-수층 경계면에서의 수리역학적 상황 변동에 의한 물질 교환 증감, 퇴적물 내 미생물의 활성 증가 등을 야기하여 퇴적물의 영양염용출률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퇴적물 코어 배양법으로 실제 현장값과 유사한 결과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현장 심수층의 수온 및 용존산소 농도, 유속을 자연 상태와 가깝게 재현하고 퇴적물 시료 채집 후 되도록 빠른 시간 안에 배양 실험을 수행해야 한다. 두 개의 반복구에 대하여 퇴적물 코어 배양법으로 영양염 용출률을 측정하였을 때 대부분의 실험 조건에서 상대백분율차가 20% 이하였다. 측정 조건과 절차를 엄밀히 준수하여 실험하였을 때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측정 결과의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현장 측정법과 비교할 예정이다.

한국에서 분리한 Tobacco rattle virus(TRV-K)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Tobacco rattle virus(TRV-K) isolated in Korea)

  • 신혜영;구봉진;강상구;장무웅;류기현
    • 식물병연구
    • /
    • 제8권4호
    • /
    • pp.207-214
    • /
    • 2002
  • 대구시와 경상북도 지역에서 Tobacco rattle virus(TRV) 감염에 의한 증상으로 보이는 글라디올러스(Gladiolus hybridus), 크로커스(Crocus spp.), 수선화(Narcissus spp.)를 채집하였다. 톱니무늬(notch), 줄무늬(stripe), 변형 (malformation)등의 증상의 잎 조직을 시료로 하여 direct negative staining method(DN) 및 immunosorbent electron microscopy(ISEM)법에 의해 투과전자현미경으로 바이러스 입자를 관찰한 결과, 각각의 시료에서 긴 입자는 170~200 X 22nm, 짧은 입자는 40~114$\times$22nm 크기의 막대모양 입자가 다수 확인되었다. 글라디올러스에서 분리한 tobacco rattle virus(TRV-K)를 담배(Nicotiana tabacum)에 즙액 접종, 증식시킨 후, 정제하여 항혈청을 제작하였다. TRV-K 의 coat protein(CP)유전자를 특이적인 올리고뉴클레오타 이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RT-PCR)으로 증폭시킨 후에 염기서열분석법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TRV-ORY의 CP와 99.5%의 상동성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