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출

Search Result 5,561,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The Effect of Individual Stress and Team Cohesion and Mastery Climate on Knowledge Creation (개인의 스트레스, 집단의 학습분위기와 응집력이 지식창출에 미치는 영향)

  • Kang, So-Ra;Kim, Min-S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b
    • /
    • pp.807-810
    • /
    • 2010
  • 본 연구는 스트레스가 지식창출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한다. 즉, 개인의 목표에 대한 그리고 직무와 관련된 스트레스는 지식창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이때 팀의 어떠한 요소들이 이러한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키고 지식창출에 기여할 수 있을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지식창출을 위해 자원에 비해 과도하게 설정된 목표로 인한 목표 스트레스(goal stress of resource inadequacy)와 지식창출을 위한 업무과정에서 발생하는 직무 스트레스(job stress)는 지식창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러나 지식창출을 위해 구성된 팀구성원들이 열심히 배우려고 하고 실패도 두려워하지 않는 분위기(팀 학습분위기) 속에서 강하게 결속되어 있다면(팀 응집력) 스트레스로 인한 지식창출에 대한 부정적 영향은 약화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집단수준의 변수와 개인수준의 변수를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본 연구의 성격상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다수준접근방법을 적용하여, HLM 6.08을 사용한 위계적 선형 모형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직무 스트레스는 지식창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목표 스트레스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팀의 학습분위기는 지식창출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목표 스트레스와 지식창출간의 관계에 조절효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팀의 응집력 역시 지식창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Regional R&D efficiency of knowledge and value creation in Korea (지역R&D의 지식창출 및 가치창출 효율성 분석)

  • Min, Sujin;Kim, Ju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281-1296
    • /
    • 2017
  • 세계경제가 범국가적 경쟁에 접어면서 과거보다 지역R&D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지역R&D의 경쟁력 향상을 통해 지역불균형 문제를 해소하고 지역경제발전을 이루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그동안 지역R&D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개선점을 도출하기 위한 여러 정책적 학술적 노력이 있어왔다. 본 연구는 지역R&D 효율성을 지식창출과 가치창출의 두 가지 측면에서 진단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려는 목적에서 15개 국내 지역의 통계자료를 대상으로 자료포락분석(DE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효율성 분석을 위해 사용한 R&D투입과 산출요소의 분포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 수도권과 대전에 양적으로 편중되어 있었다. DEA모형을 분석한 결과, 지식창출 부문의 효율성 점수는 평균 0.869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서울, 대구, 광주, 대전, 강원, 전남, 경북 지역이 효율적이었다. 반면 경남 지역은 0.630으로 지식창출에 있어 가장 비효율이 큰 지역이었다. 가치창출 부문의 효율성 점수는 평균 0.677 수준이며 지식창출보다 지역 간 점수 편차가 컸다. 광주, 대전, 울산, 강원 지역이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난 반면 경기 지역은 0.198으로 가장 비효율적이었다. 종합하여 비교하면 광주, 대전, 강원 지역만 지식창출과 가치창출이 모두 1.000점으로 효율적이었고 이를 제외한 지역들은 효율성 개선이 필요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R&D 효율성의 개선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함으로써 지역발전 정책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특정 시점에 한정되어 효율성을 분석하였으므로 생산성 변화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과 분석자료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 PDF

Economic Analysis of Government Investment on Information Highway in Korea (초고속 국가망사업 경제성분석에 대한 재검토)

  • 전영서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00.05a
    • /
    • pp.425-463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3단계에 걸쳐 투자하고 있는 초고속 국가망사업에 대해서 과연 사회적으로 경제성을 갖고 있는지 여부를 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첫째, 산업연관모형을 이용하여 초고속 국가망 사업에 투입한 투자액이 유발시킨 부가가치 창출효과와 고용창출효과를 계산하였다. 다음으로 초고속 국가망 사업으로부터 파생되는 초고속 국가망의 기본서비스 수요를 예측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셋째, 초고속 국가망으로부터 파생되는 기본서비스 수요 창출로 인하여 향후 2010년까지 얼마만큼의 새로운 부가가치가 창출되고, 새로운 고용이 얼마만큼 창출되는지 여부를 산업연관모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초고속 국가망 사업에 투자한 총금액에 대비하여 이를 통하여 얻어지는 부가가치창출효과, 고용창출효과 및 수요창출효과 등을 감안하여 과연 초고속 국가망 사업이 얼마만큼 사회적으로 경제성을 지니고 있는지를 계산해 보고자 하였다. 초고속 국가망 사업을 통한 직접적인 유발효과와 부가적인 효과를 모두를 고려하였을 때 예상되는 순수익의 투자수익율은 5439.2%로서 투자액의 54배의 사회적 수익성을 창출한다고 본다. 다음으로 부가가치유발액, 매출이익에 새로운 고용유발로 인한 소득증가분을 감안하여 사회적 수익을 계산하고, 이에 근거하여 경제성 분석을 하면 21,493.3.%와 같이 215배의 사회적 수익성이 창출된다고 계산되어진다. 따라서 간단하게 이익률법에 근거한 초고속국가망 사업에 대한 사회적 편익과 비용에 근거한 경제성 분석을 하면 초고속 국가망 사업은 투자액의 무려 215배의 사회적 편익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onvergence Types of Small and Medium Companies Understood Through Convergence Research Development (융합연구개발 성공사례에서 파악한 중소기업 융합유형)

  • Han, Na-Young;Hong, Jae-Bum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7 no.2
    • /
    • pp.19-24
    • /
    • 2012
  • This study clearly defined the idea of convergence of small and medium companies and convergence types and understood convergence case of small and medium companies for each type in order to help enhancement of competitiveness of small and medium companies. The convergence type of small and medium companies accepted two levels including technology and industry and value improvement and creation suggested by Deloitte(2009) and it was classified into technology improvement-market expansion type, technology improvement-market creation type, technology creation-market expansion type, and technology creation-market creation type based on the companies introduced in the excellent casebook of convergence and integration technology development business of small and medium companies(August 2011). As a result, it was shown as 5 cases of technology improvement-market expansion, 4 cases of technology improvement-market creation, 3 cases of technology creation-market expansion, and 1 case of technology creation-market creation among the total 13 cases. Therefore, small and medium companies are focusing on technology improvement than technology creation and market expansion than market creation. What we can understand through cases analysis on convergence types of small and medium company is that it is very difficult for small and medium companies to create new technology or new market through convergence. Thus, small and medium companies consider market expansion through technology improvement as the objective and result of convergence. It is important to create new technology or new industry to cultivate new growth engines of the nation, but policy support that cares about reality of small and medium companies must be considered at the same time.

  • PDF

A Study on the Analysis of Power of Job Creation of SW Industry (SW산업의 일자리 창출역량 분석)

  • Noh, Kyoo-S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6
    • /
    • pp.41-47
    • /
    • 2012
  • These days, job creation affair is the largest national affair. Although, this government has been persevering in one's efforts, job is not created easily. One of the reasons is the problem of statistics of the job and policy errors by this wrong statistics. This article's purposes are to examine the problems of statistics of the job as base of existing policy, and to analyze the power of job creation of various industries. Especially, this study will light up job creativity of SW industry which is more important than other area in the job crea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Activation Factors : An Empirical Study on the Motivation of Co-creation Participation (공동가치창출을 위한 활성화 정책이 참여 동기에 미치는 조절 효과 분석)

  • Kim, Na-Rang;Hong, Soon-Goo;Kim, Jong-Ki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5
    • /
    • pp.227-236
    • /
    • 2016
  • Co-creation is an important approach to innovation that uses internal and external sources for value creat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s of 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activation factors using multiple regression and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To this end, 181 usabl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intrinsic motivation had the significant meaning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activation fact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rinsic motivation and co-creation participation exist. Companies may use this result to activate the co-creation participation of the customer. The future study analyzed by survey responses in multiple layers will improve the generalization of the study.

A Study on the Youth Job Creation Problem Solving with a Co-creation Approach: Focusing on the Busan City (청년층 일자리 창출문제에서 Co-creation적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Hong, Soon-Goo;Lee, Hyun-Mi;Han, Se-Eok;Kim, Jong-Weon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0 no.1
    • /
    • pp.91-102
    • /
    • 2015
  • The growth of Korean economy has continuously declined since 2000, which resulted in the reduction of employment creation opportunity. Futhermore, these circumstances are aggravating the youth job cre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creation approach for solving the youth job creation problem. By using the grounded theory on recent newspapers for a year, the study proposes a paradigm model for the youth job creation. Based upon this result, the study creates the conceptual model for the youth job creation, which includes three factors such as process, environment, and instituti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not only to the extension of qualitative study on the grounded theory in research, but also to the political implications for the youth job creation in practice.

Differentiation of the Startups Jobs and Their Qualities in Local Labour Market Areas in Korea (지역노동시장권별 창업에 의한 일자리 창출 격차 및 일자리 질 비교)

  • An, Eunkyung;Lee, Hee Yeo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8 no.2
    • /
    • pp.168-189
    • /
    • 2015
  • The job creation has been the most pressing issue after financial crisis in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Various policies for creating jobs have been implemented in order to revitalize regional economy in Korea. It has been known that the jobs have been created more in low-wage and part-time work than high-wage and full-time 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tiation of startups job in local labor market areas(LLMAs) in terms of job quantity as well as job quality. As the spatial unit, 121 local labor market areas which were delineated based on self-containment rate(demand and supply side of labor market) and numbers of resident workers are used. Also due to difference of the size of employment, LLMAs are classified into 3 groups: large, Medium, small LLMAs.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b creation are varied among 3 groups in terms of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Highly waged and highly value-added jobs have been created more in large LLMAs, but full-time jobs created more in small LLMAs. Secondly, the job creation of LLMAs is somewhat weakly correlated to regional economic performance. While the quality of jobs is correlated to regional economic performance in Medium LLMAs, the quantity of jobs i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regional economic performance in small LLMA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give some implications for implementing the effective policy to create jobs related to regional economy, indicating that differentiated strategies for 3 groups of LLMAs is critically important.

  • PDF

공공기술 기반 기술창업모델과 글로벌 성공기술창업플랫폼 구축방안

  • Yang, Yeong-Seok;Yang, Su-Hui;Yu, Byeong-J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53-56
    • /
    • 2016
  • 미래창조과학부는 공공기술 기반 기술창업을 가속화 하기 위해 2016년부터 '연구소기업'의 설립을 촉진하고 이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기술 기반 기술창업 활성화의 문제를 진단하고 이에 대한 글로벌 관점의 성공기술창업플랫폼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는 공공기술 기반 기술창업의 성과 창출궤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공공기술-제조- -BtoB-글로벌의 라인 중 글로벌 관점에서 공공기술 기술창업기업의 성과창출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전문가 인터뷰조사와 사례조사등을 통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공공기술기반 기술창업인 연구소기업등은 질적인 성과 즉 성공적 회수사례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양적인 성과에서 벗어나 창업초기 신규창출형 연구소기업에 대한 민간벤처투자가 활성화되고, 혁신적인 사례창출을 다수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성과창출이 요구됨을 도출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이에 대해 공공기술 기술창업의 문제를 배태한 성공창업 솔루션 플랫폼으로"Inbound" 글로벌플랫폼을 제안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