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의적 환경

Search Result 64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The Role of Job Autonomy Influencing on Creative Behavior in the Smart Work Context (스마트워크에서 직무자율성이 창의적 행위에 미치는 영향)

  • Yong-Young Kim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21 no.4
    • /
    • pp.13-22
    • /
    • 2023
  • Due to COVID-19, organizations are rapidly changing the way they work by providing telecommuting and flexible work, and by expanding Smart Work spaces. In a Smart Work situation, workers have improved their job autonomy to choose their work methods, hours, and places. However, previous studies do not reflect the Smart Work situation and there are limitations to still using the previous job autonomy concept and measurements.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is study derived job autonomy types such as methods, scheduling, criteria, time, and place applicable to Smart Work environments and verified that the five types of job autonomy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mart Workers' creative behavio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tegorized job autonomy into five types applicable to Smart Work by adding temporal and spatial flexibility to the traditional job autonomy concept such as method, scheduling, and criteria autonomy and provided the basis for subdividing and evaluating the operation performance of Smart Work through multi-dimensional job autonomy verification.

Verification of the Mediation Effect of Crea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e Competencies of Lifelong Educators and the Life Competencies of Adult Learners (평생교육자의 핵심역량과 성인학습자 생애능력의 관계에서 창의성에 대한 매개효과 검증)

  • Kim, Eun Im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5
    • /
    • pp.180-190
    • /
    • 2019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 of crea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e competencies of lifelong educators and the life competencies of adult learners. A survey was conducted for adults participating in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n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in Gyeonggi-do. Consequently, a toows. First, among the life competencies of adult learners, the problem solving ability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s with the planning, action, and support competencies, which are the sub-factors of the core cotal of 52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research analysi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mpetencies of lifelong educators. Among the creativity factors of adult learners, unique flexibility showed high correlations with the life competencies of adult learners. Second, the core competencies and creativity of lifelong educators had a 74.6% effect on the life competencies of adult learners. Among them, creativity was a variable that had a greater effect on the life competencies of adult leaners than on the core competencies of lifelong educators. Third, the mediation effect of crea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e competencies of lifelong educators and the life competencies of adult learners was ver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ed that the creativity of adult learners is an important variable for improving life competencies and that qualitative improvement through the core competencies of lifelong educators is required.

Derivation of Creative SW HRD Policy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계층분석을 활용한 창의적 SW인재양성 정책방향 도출)

  • Lee, Jung Mann;Rim, Myung Hwa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10
    • /
    • pp.95-102
    • /
    • 2013
  • The paradigm of SW industry has been rapidly changing into mobile and cloud technology environment. Research model based on PEST-SWOT analysis was employed to deriv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connected with PEST factors through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SW HRD system in Korea. Survey was conducted by 20 experts who are involved in SW companies, university, and R&D research institute using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model. The empirical result showed that SW fusion HRD, creativity-oriented university education in the field of software, global education and exchange, and revitalization of SW venture ecosystem are derived as policy visions of SW HRD for smart industry ecosystem. Another findings are that SW fusion HRD, revitalization of SW venture ecosystem, Job Creation through revitalization of SW start-up, Creation of coexistence between SW large enterprises and SMEs, creativity-oriented university education in the field of software, and global education and exchange are presented in order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policy priority.

Analysis of Groundwater Recharge Change using Water Table Fluctuation Method by Subbasins in Geum, Yeongsan, Seomjin River Watersheds (지하수위 변동법을 활용한 금강 및 영산·섬진강 권역 표준유역 별 지하수 함양량 변동 분석)

  • Jae Beom Lee;Jeong-Seok Yang;Amos Agossou;Yeong Jin Jeong;Min Seong 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77-377
    • /
    • 2023
  • 기후변화로 인한 국내 수문기상 환경의 변화는 기존의 강수 패턴의 변화를 야기하고, 이는 수문학적 측면에서 유역 내 지하수 함양량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 상시 취수가 가능한 대규모 하천 인근 지역 외의 지역은 가용 수량의 확보를 위하여 생·농·공 용수 확보를 위하여 지하수를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유역의 수자원 관리를 위하여 하천, 저수지, 댐 등으로 대표되는 지표수자원의 관리와 함께 지하수자원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지하수자원의 관리를 위해서는 기존 지하수 이용시설의 지하수 이용량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지하수 함양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물수지 분석, MIKE, SWAT 등 모형을 이용한 분석 등 다양한 평가 방법이 있으나 유역의 지하수 함양에 영향을 줄수 있는 수문환경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권역 내 표준유역 전반에 대한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위 관측자료와 강수량 관측자료를 이용한 지하수위 변동법을 적용하여 표준유역 별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였다. 최근 5년간의 자료를 이용하여 표준유역 별 지하수 함양량 산정 결과를 제안함으로써 표준유역 단위 수자원 관리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표준 유역 별 가뭄 대응 방안을 도출하는데 기초 자료로써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of Upcycling Fashion Design through Demolition and Recombination of Waste Clothing (폐의류의 해체와 재조합을 통한 업사이클링 패션디자인 개발)

  • Jeong Huigyeong;Huh Jungsu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10 no.3
    • /
    • pp.605-611
    • /
    • 2024
  • The study explores the growing interest in up-cycling within the fashion industry, driven by concerns over environmental degradation caused by mass production and fast fashion. Emphasizing the ethical dimension, the research focuses on recombination processes. Departing from traditional up-cycling concepts, the study introduces new expression methods by altering the position, function, and role of clothes. The target audience is women in their 20s and 30s, with the designs incorporating various materials and re-purposing frequently discarded items like jackets, suits, jeans, and bags. The goal is to offer diverse expressions of uphigh-dimensional clothing designs using waste material dismantling and recycled clothing while addressing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in fashion design.

융합환경하의 중소기업 육성방향

  • Hyeon, Chang-Hui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5 no.11
    • /
    • pp.48-52
    • /
    • 2008
  • 기술혁신은 끝없이 지속적, 반복적으로 발생하지만, 최근의 기술혁신은 자체적인 혁신의 한계에 직면하고 있는 것처럼 보여진다. 국가경제의 발전은 개별적으로 진행되어 온 기술혁신에 크게 의존하지만, 이제 개별적인 혁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이종간 기술 및 산업융합이 활발하게 모색되고 있다. 융합이라는 새로운 환경은 개별적인 기술이나 산업에 다양한 기회와 위험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융합이라는 것이 단지 하나의 영역에 머무르는 개념이 아니라 여러 분야에 걸쳐서 대단히 광범위한 영역에서 발생하게 될 것이라는 점에서 그렇다. 이미 초기적인 융합의 현상들은 도처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이제 이를 더욱 확대 발전시키고 심화시켜 나가기 위한 노력들이 진행중이다. 융합을 가속화시키고 심화시켜 나가는데 필요한 요인은 무엇일까? 다양한 방법과 수단들이 거론될 수 있겠지만, 융합 발생의 광역성이라는 측면에서 개인의 창의력이 대단히 중요하다. 제한적인 인간의 역량으로 모든 분야에서 창의력을 발현한다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나라 전체 기업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중소기업의 역할은 대단히 중요하다. 국민소득 3만불 이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육성을 위하여 다양한 정책을 입안하고 집행하여 왔지만, 중소기업의 경쟁력은 아직도 취약한 것이 회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개인의 역량과 창의력 발현이 중시되는 융합환경에서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정책은 기존의 물적자원 중심의 지원방식과는 달리 다양한 협력네트워크의 구축과 네트워크 기반의 정보 공유 및 활용을 위한 방향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 정보의 공유와 활용을 통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의 발현이 더욱 확대되고 심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WeDo 2.0 in Elementary School as a Tool for Robot Education Based on Constructivist Learning (구성의 학습원리에 기반한 초등 로봇 교육 도구로서의 WeDo 2.0 활용가능성 탐색)

  • Park, Hyeran;Yi, SoYul;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7.08a
    • /
    • pp.179-182
    • /
    • 2017
  • 로봇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2019년부터 초등 실과 교과에 로봇 교육이 포함된다. 그러나 일부 초등학교에서 현행되고 있는 로봇 교육은 학습자가 완성된 형태의 로봇을 조작하는 데 그친다는 점에서 구성주의 학습원리에 어긋난다. 구성주의 학습원리에 따르면 학습자는 각자에게 의미 있는 독창적인 모델을 중심으로 자신만의 세계를 만들고 그 속에서 지식을 구성해 나가야만 진정한 학습이 일어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성주의 학습원리에 기반한 초등 로봇 교육의 도구로서 WeDo 2.0을 소개하고 로봇 교육 도구로서 WeDo 2.0이 갖는 활용가능성을 탐색하였다. WeDo 2.0은 학습자에게 첫째, 자발적 학습환경, 둘째, 창의적 학습환경, 셋째, 체계적 학습환경, 넷째, 통합적 학습환경, 다섯째, 구성주의 학습환경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향후 초등 로봇 교육에서 WeDo 2.0을 활용한 구체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 PDF

A Case Study of project-based learning strategy in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혼합 학습(Blended learning) 환경에서 프로젝트 학습법 실천 사례)

  • Lee, YoungMin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v.31 no.1
    • /
    • pp.129-14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the project-based learning strategy in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to raise and enhance scientific thinking skill,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skills to students who would be teachers of an elementary school in the future.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n action research based on an educational university. The study included 25 participants in a clas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 surveys, interview and students' artifacts. Results indicated the project-based learning strategy in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allowed students to raise problem solving skill, critical thinking skill, and creativity. Finally implications of this study, obstacles to conduct this study, and recommendations to implement this strategy mor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were presented.

Fluency in Technology for Mathematics Education (수학교육에서 컴퓨터 환경이 지니는 유창성의 의미)

  • Kim, Hwa-Kyung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9 no.2
    • /
    • pp.229-248
    • /
    • 2006
  • In creative society, fluency in technology means the ability to reformulate knowledge, to express oneself creatively and appropriately, to produce and generate information in computer environment. Fluency in technology is essential for mathematics education with a point of constructivist view. In this paper, we study the meaning of fluency in technology, related to mathematics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suggest Papert's constructionism as a theoretical background and consider the principle of 'Learning through design' for fluency in technology. And we consider some principles for designing a mathematical microworld and implement a mathematical microworld for fluency in technology. With this microworld, we consider the after-school-program where students have participated a design activity.

  • PDF

The Layout of STEAM Program for Girls' Engineering Experience (여학생 공학경험을 위한 STEAM 교육 프로그램 틀 설계)

  • Choi, Jeong-Won;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7a
    • /
    • pp.209-210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공학에 대한 흥미, 태도, 성취가 낮은 여학생에게 공학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공학 분야의 여성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한 공학 중심 STEAM 프로그램의 틀을 설계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여학생의 특성을 분석하고 여학생 친화적인 환경을 구축하였으며 여학생 친화적 환경에 부합하는 e-textile이라는 도구를 활용하여 STEAM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은 학습자가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Learning by Doing, Learning by Design의 전략을 사용하도록 하였으며 교육 프로그램 전 과정을 학습자 스스로 창의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해나가도록 하고 교사는 조력자, 안내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