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의적 태도창의성 평가

Search Result 3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과학영재학교 교육과정 운영실태와 학생 반응분석

  • 문경근;박일영;박수경;정권순;추봉욱;곽미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3.11a
    • /
    • pp.165-166
    • /
    • 2003
  • 2002년 3월부터 영재교육법 시행령이 적용됨에 따라 과학기술부에서는 교육인적자원부, 부산광역시 교육청과의 협약을 통하여 부산과학고등학교를 과학영재학교로 지정하였으며 2003년 3월 신입생 입학 이후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과학영재를 조기에 발굴하여 맞춤식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천함으로써 지식기반 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창의적인 과학영재를 육성하려는 과학영재학교의 설립목적에 부합되도록 계획, 운영, 평가되기 위해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운영 전반에 대하여 점검 및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과학영재학교 운영상의 주요 측면인 교육과정 운영 분야에 대하여 그 실태와 학생 반응을 분석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과학영재학교의 교육과정 기본 방침은 과학 분야에 대한 깊은 이해와 논리적,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과 태도를 통하여 지식을 창출하는 자기 주도적 탐구자의 양성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교육과정 편제는 교과, 자율연구, 위탁교육 및 특별활동으로 구성되어있다. 교과에는 국어, 사회, 외국어, 예체능을 포함하는 보통교과와 수학, 과학, 정보과학을 포함하는 전공교과가 있다(과학영재학교 교수요목안내서, 2003). 본 연구에서 교육과정 편제, R&E, 교수학습 및 평가의 하위 영역별로 그 실태와 각 영역별 학생 설문 결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학교 교육과정 편제 및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심화 선택과목의 학점 비중을 더 높여야한다는 의견과 보통교과의 학점을 줄이고 전공교과의 학점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상 학생들이 과학영재학교 선발과정에서 수학, 과학 각 분야별 우수자로 선발된 경우가 많아 학생 개인적으로 자신감을 가지는 과목만 집중적으로 학습하고자 하는 의도의 반영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영재교육과정의 운영지침(이상천, 2002)에 의하면, 대학 수준의 내용을 그대로 도입하는 속진보다 창의성과 사고력 계발에 보다 충실할 수 있도록 내용의 폭을 넓히고 접근방법을 달리하는 심화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운영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현재 개발된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은 창의성 교육의 구현보다는 압축형 속진 교육과정의 특성이 강하여, 이와 같은 운영지침을 실현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므로 교육과정 편제의 개선이나 운영지침에 적합한 교육내용의 개발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R&E(Research & Education)는‘연구를 통한 교육’,‘교육을 통한 연구’를 의미하며 과학영재교육과정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자율연구와 위탁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 PDF

Observation Assessment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정보과학 영재교육에서 관찰 평가)

  • Won, Seo Seong;Kim, Eui-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10a
    • /
    • pp.595-598
    • /
    • 2009
  • 최근 영재 및 영재교육에 관련된 연구가 다방면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초기에 수학 및 과학 분야 위주로 이루어졌던 영재교육은 정보, 발명, 인문, 예술 등의 기타 분야로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다. 사회적으로는 고도화된 정보화 사회로의 진행과 더불어 정보과학에서도 영재교육데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정보과학의 학문적 역사가 짧고 그 범위의 설정이 어려운 만큼 정보과학 분야의 영재교육에 있어서도 대상자의 선발과 교육이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특히 영재교육 대상자의 선정과 교육에 필수적인 평가 방식에 대한 학문적 연구가 부족하여 교육 방식의 보완과 창의적인 대상자 선발에 있어 개선에 대한 목소리가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러 형태의 평가 방식 중 관찰평가가 평가도구로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다면 평가의 측면에서 지필평가와 보완적 작용을 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2년간의 학습자들의 지필평가 성적과 관찰평가 중 리커트 척도 방식의 체크리스트와 서술형 관찰 기록지 사이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 하였다. 또한 항목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체크리스트와 서술형 관찰기록지의 하위 항목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체크리스트의 하위항목 분석을 통해서는 태도와 문제해결 능력 간의 상관관계, 수학적인지영역과 문제해결 능력 간의 유의미한 상관 관계를 알 수 있었으며, 서술형 관찰 기록지 분석을 통해서는 투입 프로그램 적응 능력이라 할 수 있는 과정적 영역은 정의적 영역과 인지적 영역의 상관 관계가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평가 방식간의 상관 관계는 지필 평가와 관찰 평가의 유의미한 연관성이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즉, 정보과학 분야 영재교육 학습자의 잠재 능력이나 사회성, 창의성, 문제해결력 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지필평가와 더불어 관찰평가가 반드시 필요하며 다면평가의 측면에서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 PD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formal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program utilizing Local Resources in Yeongheung Island (영흥도 지역자원을 활용한 학교 밖 영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 Ock, Seong-Hyun;Choi, SunYoung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38 no.2
    • /
    • pp.356-375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informal education based elementary gifted education program utilizing local resources in Yeongheung island for enhancing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science process skills, scientific attitudes. This program was totally consisted 36 lessons and 3 part. For this purpose, 7 weeks' informal gifted education program utilizing local resources was treated to a class students who were 5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in Yeongheung isl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change of scienc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in the gifted class was foun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Second, science process skills were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Third, scientific attitudes were not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Fourth, the student responses about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s were generally positive. Therefore, the gifted education programs showed meaningful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number of studie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will be needed.

  • PDF

An Analysis of the Job and Competency of Healthy Family Supporter for Culture Work (문화사업 담당 건강가정사 양성 및 보수교육을 위한 직무와 역량 분석)

  • Lee, Yoon-J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4
    • /
    • pp.485-496
    • /
    • 2011
  • The aims of this article are analyzing the job of healthy family supporter for culture work and understanding their core and development competency. As a result, the primary job of healthy family supporter for culture work is planning culture and volunteer work with family program, their core competencies are understanding of daily life and culture, interpersonal skills, creative thinking, problem-solving and social skills and development competencies are planning and evaluation program, word processing skill,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solving.

Development of Design thinking-based AI education program (디자인 씽킹 기반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개발)

  • Lee, Jaeho;Lee, Seu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5 no.5
    • /
    • pp.723-731
    • /
    • 2021
  • In this study, the AI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developed and applied by introducing the design thinking process, which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A design thinking-based AI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in the stages of Understanding AI, Identifying sympathetic problems, Problem definition, Ideate, Prototype, Test and sharing, and the development program was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4th-6th grade. As a result of pre- and post-testing of students' computational thinking skills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computational thinking skills increased by grade level, and students experienced a process of collaboration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based on insights gained from sympathetic problem finding.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get a glimpse of the attitude of using AI technology to solve problems, and it was confirmed that ideas were generated in the prototype stage and developed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eam members. Through this, the design thinking-based AI education program as one of the AI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guarantees the continuity of learning and confirms the possibility of providing an experience of the creative problem-solving process.

Analysis of Media Literacy Evaluation Items in Early Childhood Animation (유아동 교육 애니메이션의 미디어 리터러시 평가항목 요구도 분석)

  • Jang, Eunyo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5
    • /
    • pp.365-373
    • /
    • 2021
  • This work aims to derive data-based requirements by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media literacy in early childhood animations.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on parents with young children after drawing questions of assessment items through expert focus group interviews (FGI). The analytical instruments, Borich Needs Formula formulation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used together to improve accuracy. Based on the result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recognized the demand of the inmates for children's education animation and prepared systematic indicators for it.

Development of a Measure for the Dance Giftedness (무용영재성 판별도구 개발)

  • Lee, Jin-Hyo;Lee, Jin-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3
    • /
    • pp.161-170
    • /
    • 2012
  • Based on the qualitative analysis, 4 factors of dance giftedness were operationally defined and test items were initially developed accordingly. The preliminary test data obtained from 206 dancers was analyzed, using item analysis and a series of reliability analyses. In order to dancer the construct validity, four exploratory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for 54 items, resulting in 20 items of 4 factors; physique, dance attitude Expressiveness and creativity, movement ability.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ducted for 292 dancers to test the goodness-of-fit of 4 factor model revealed a satisfactory level of $x^2$, Q, root mean square residual(RMR), goodness of fit index(GFI), Tucker-Lewis index(TLI), comparative fit index(CFI),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RMSEA). The concurrent and cross validity indices proved the validity of 20 items of 4 factors.

수학적 창의성과 개방형 문제(open ended problem)

  • Gwon, O-Nam;Jo, Yeong-Mi;Park, Jeong-Suk;Park, Ji-Hyeon;Kim, Yeong-Sil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6
    • /
    • pp.217-218
    • /
    • 2003
  • 제7차 교육과정의 기본방향인 '21세기의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 육성'에서 볼 수 있듯이, 새로운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의 창의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교과별 교육과정이나 재량활동 운영 등을 제시한 바 있다. 수학교육에서도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발맞추어 수학적 창의력의 신장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동안 이론적인 측면과 실제적인 측면에서 수학적 창의성에 대한 성과가 축적되었다. 이론적인 측면에서 볼 때, Haylock(1987)등에 의해 창의력과 수학적 창의력의 구분되었으며, 특히 '수학적' 창의력에 대한 다양한 정의가 제안되었다. 실제적인 측면에서도 수학적 창의력을 측정하려는 평가 도구들이 그 동안 여러 가지로 개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수학적 창의력에 관한 전반적인 연구는 종국적으로 교실 수학수업에 반영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리 만족스럽지 못한 상황이다. 특히, 교실에서 수학수업을 실제로 담당하는 교사들이 수학적 창의력을 위한 수업을 하고자 하더라도 당장 가까이에서 구할 수 있는 교수 학습 자료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물론 그 동안 교실 수학수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창의력 개발 프로그램이 전무한 것은 아니다. 그런데 그들 대부분은 게임이나 퍼즐을 이용한 것으로 그 수준이 단순 흥미유발에 그치고 있거나 소수의 영재아를 위한 소재를 중심으로, 특히 수학적 사고 과정을 따르기보다는, 시행착오를 거쳐 원하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이 많으며, 수학과의 연계성이 불분명한 채로 단순놀이에 그치는 경우가 적지 않아, 수업과 연관되어 창의력의 신장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적용하기 어려운 사례가 많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는 데 기여하고자, 현재 교과교육공동연구 지원사업의 하나로 한국 학술 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개방형 문제(open-ended problems)'를 중심 소재로 한 '수학적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개방형 문제라 함은 명백한 정의가 어렵지만 Pehkeon(1995)는 개방형문제의 정의를 명백히 하기위한 시도로서 그 반대로 닫힌 문제에 대한 정의로부터 시작하여, 어떤 문제가 닫혀있다고 하는 것은 그 문제의 출발 상황과 목표 상황이 닫혀 있는 것, 즉 명백히 설명되어있을 때라면 개방형 문제는 이와 반대의 개념임을 시사하였다. Silver(1995)는 개방형 문제를 문제 자체가 다른 해석이 가능하거나 서로 다를 인정할만한 답을 가질 수 있는 문제 또는 풀이과정이 다양한 문제, 자연스럽게 다른 문제들을 제안하거나 일반화를 제시할 수 있는 문제라고 정의하였다. 따라서 개방형 문제란 출발상황이나 목표 상황의 일부가 닫혀있지 않을 때를 말하고 문제의 조건을 만족하는 해답이 여러 가지로 존재하는 문제를 뜻한다. 수학적 창의력을 개발하는 데, 다른 문제 유형보다도, 개방형 문제가 유리하다는 점은 이미 여러 학자들에 의해 주장되어왔다. 미국 국립영재교육센터(NRCG/T)는 기존의 사지선다형이나 단답형 문제와 질문들은 학생들의 사고 능력에 관한 정보를 거의 알려주지 못하기 때문에 한 가지 이상의 답을 요구하는 ‘open-ended' 또는 ’open-response' 문제와 질문을 가지고 수학 분야에서의 창의적 사고 능력과 표현능력을 측정해야 한다고 하였고, 개방형 문제가 일반적으로 정답이 하나인 문제보다 고차원적인 사고를 요구하게 하는 문제 형태라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개방형 문제의 유형을 다양한 답이 존재하는 문제, 다양한 해결 전략이 가능한 문제, 답이 없는 문제, 문제 만들기, 일반화가 가능한 문제 등으로 보고, 수학적 창의성 중 특히 확산적 사고에 초점을 맞추어 개방형 문제가 확산적 사고의 요소인 유창성, 독창성, 유연성 등에 각각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20주의 프로그램을 개발,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수학적 창의력 신장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장 학교에 실험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는 본 연구는 창의력 신장에 비중을 두는 수학과 교수-학습 과정에 실제적인 교수 학습 자료를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교사들에게는 수학교실에서 사용 가능한 실제적인 활용방안을, 학생들에게는 주어진 문제를 여러 가지 각도에서 생각하면서 다양한 사고를 경험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어, 수학을 보는 학생들의 태도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PDF

Effect Measurement of Government and Public Service Advertising: Focused on Acceptance Process of Government and Public Service Advertising (정부광고와 공공광고의 효과 측정: 정부·공공광고의 수용과정을 중심으로)

  • Kim, Byoung Hee;Son, Yeong-Gon;Jo, Chang-Hwan;Lee, Hui-Jun
    •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 /
    • v.28 no.6
    • /
    • pp.7-34
    • /
    • 2017
  • The debate surrounding advertising effectiveness is not to be overstated as a major source of advertising research.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discussion on the model for measuring the effects of government and public service advertising. This study focuses on this point and develops an index model that can evaluate government advertising.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survey of 800 respondents in 7 major cities. Based on the creativity evaluation factors (originality, clarity, and appropriateness) of government advertising and the evaluation factors (interest, avoidance, and relevance) of policy contents, a causal model that affects the cognition, attitude, and behavioral responses of the audience was set up. As a result of analysis, originality, clarity, interest, and relevance except for appropriateness and avoidance were meaningful variables for creating government advertising effect such as policy understanding, audience attitude, word of mouth intention of policy. In addition, policy understanding and audience attitude were the main mediating variable influencing the word of mouth intention of policy. Based on research results, this paper discussed the direction for creating effective government and public service advertising in the future.

A Study on the Effect of Small Maufacturing Businesses' Company Cultur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중소제조업의 기업문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Kim, Young Il;Kim, Kwang Su;Kim, Ki Wan;Lim, Sang Ho
    •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
    • v.1 no.2
    • /
    • pp.27-32
    • /
    • 2016
  •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small maufacturing businesses' company cultur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personal culture(one's organizational commitment) positively affected job satisfaction and improving creativity. Organizational culture(harmony of organization) and environmental culture(importance of environmental factors) didn't significantly affected organizational perfirmance. Also,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varied by employee's position, harmony of organization was varied by age, education and continuous service year, job satisfaction and creativity was varied by education. This study provided implications for analyzing the importance of personal organizational environmental factors and dicovering individual diffrences of the employe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