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원공업기지

Search Result 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昌原機械工業基地와 昌原技術人會의 發足

  • 박승덕
    • Journal of the KSME
    • /
    • v.22 no.3
    • /
    • pp.165-168
    • /
    • 1982
  • 창원기계공업기지와 창원기술인회의 발족 1. 창원기계공업단지의 태동 2. 대단위기계공업단지의 뜻 3. 오늘의 현황 4. 창원기계공업단지의 기적 5. 창원기술인회

  • PDF

회원작품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8 s.149
    • /
    • pp.57-70
    • /
    • 1981
  • PDF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Development of Changwon Industrial Complex: A Geopolitical Economy Approach (지리정치경제학적 관점에서 본 창원공단 설립 전사(前史))

  • Choi, Young Ji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9 no.2
    • /
    • pp.178-199
    • /
    • 2014
  • Changwon Industrial Complex is commonly framed as the best example of strong initiative of the Korean developmental state. And this explanation has been given in the theoretical frame of 'neo-Weberian accounts' i.e., strongly 'national-territorial' and state-centric terms of the predominant. I argue that a geopolitical economy approach focusing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development of Changwon Industrial Complex will shed light on crucial sociospatial dimensions of the Korean developmental state's industrial complex success. I examine, in particular, the multi-scalar processes through which the changes of the industrial complex building plans for the promotion of machine industry in 1960's have been influenced by the complex and dynamic interactions among social actors acting at diverse geographical scales. I show that the formation of the industrial complex in Korea was more heavily influenced by the interactions, contestations, and collaborations among social actors, acting in and through the state, rather than by the state initiative.

  • PDF

기능대학 설립법안 의결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10 no.6 s.97
    • /
    • pp.14-17
    • /
    • 1977
  • 과학기술처가 마련한 기능대학 법안 전문30조와 설립계획안이 6월2일 경제장관회의에서 의결되었다. 고급기능 관리자인 기능장의 의성을 위해 세워질 기능대학과 대학부설 기능대학은 수업년한 2년이며 기능대학은 창원기계공단등 정부가 지정하는 곳에 설치되며 대학부설 기능대학은 국공립 대학이나 사립대학에 설치할 수 있다. 과기처는 우선 창원기계공업 기지내에 기능대학 1개를 설립하기로 하고 서독차관140만달러 포함 내외자 36억원을 들여 시범교를 운영하기 위해 추경예산에 부지조성비로서 4억8천만원을 요청 연말까지는 정식발족시키기로 하였다. 과기처는 건물과 시설을 79년까지 갖추고 기계, 금속, 전기전자등 주로 중화학공업분야 과목 신입생을 모집 이수자에게는 기능자아 자격을 수여하게 된다. 다음은 기능대학 설립 추진 경위와 설치 계획 전모이다.

  • PDF

Technology Development Strategy of Machine (기계공업의 기술개발전략)

  • Lee, Gyeong-H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3 no.1
    • /
    • pp.9-12
    • /
    • 1986
  • 우리나라 기계공업은 해방후 40 여년의 역사를 갖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그 면모를 갖춘 시기는 60 년대 중반부터라고 할 수 있다. 이렇듯 일천한 경험과 미약한 기술축적에도 불구하고 오늘날과 같은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룰 수 있었음은 매우 경이로운 사실이라 하겠다. 그러나 돌이켜보건대 우리나라 기계공업은 급속한 산업의 근대화 와중에서 체계적인 발전 방향없이 양적팽창 을 거듭해온 관계로 많은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다. 다만 1973 년 중화학공업선언, 1974 년 창원기계 공업기지건설, 1979 년 기술도입 자유화등 일련의 기반을 구축하는 데는 성공하였으나 외형적 성장 전략으로 인한 기초부품산업의 상대적인 위약과 기술의 해외의존 심화 및 투자배분의 불균형 등은 오늘날 기계공업계가 해결해야할 1차적인 숙제가 되고 있다. 즉 이러한 기계공업의 발전과정에서 비롯된 허약점은 제품의 국제 경쟁력 제고에 커다란 장애요인이 되고 있으므로 향후 우리경제의 질적, 양적 발전에 일익을 담당하기 위해서는 현 기계공업에 대한 냉철한 분석과 반성이 있어야 할 것이다.

  • PDF

우리나라 정밀기계공업의 현황과 전망 -공작기계공업을 중심으로-

  • Yun, Yeong-Se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 no.1
    • /
    • pp.20-22
    • /
    • 1984
  • 공작기계는 "기계를 만드는 기계 (Mother Machine)" 로서 기계공업 발전을 주도할 뿐만 아니라그발전수준을 가늠하는 척도로 인식되고 있다. 우리나라 공작기계공업은 70 년대 이후 정부의 강력한 중화학공업육성정책과 함께, 특히 방위산업과 관련된 전략산업으로 그 육 성이 본격화되기 시작하였고, 뒤이어 창원기계공업기지 건설과 같은 기계공업부문의 시설투자가 활발해 짐으로써 발전이 가속화되었다. 그간 업계에서는 선진국과의 기술협력을 확대하고 고급 기술인력을 육성하는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 70 년대 후반에는 NC화 할 수 있게 되어 부분적 으로는 선진국 수준에 도달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렇듯 우리의 공작기계공업은 일천한 역사에 비해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하였으나 국내시장이 협소하고 주변 요소기술이 미약하여 아직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우리는 우선 기존제품의 생산성향상, 원가절감, 품질 고급화를 기하여 국내외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나아가서는 새로운 기술개발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 치열 해져가는 국제경쟁에 대처해야 할 시점에 있다. 할 시점에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