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업태도

Search Result 145,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사업에 대한 태도 및 위험인지가 창업 및 사업유지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분석

  • Ha, Gyu-Su;Kim, Do-Hyeon;Kim, Dae-Ho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8a
    • /
    • pp.263-28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사업자와 사업을 운영하지 않고 있는 잠재창업자인 20세 이상 남녀를 조사대상으로 사업에 대한 태도 및 위험인지가 여러 특성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어떤 변수들에 의해 영향 받는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태도 행동 모델과 소비자의사결정 모델을 응용하여 사업태도와 위험인지 변수가 창업 및 사업유지의사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정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분산분석결과 남성, 비전문직 종사자, 부모가 창업경험을 가진 경우 사업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취업하지 않은 경우, 연령이 40대 이상인 경우, 과거 사업경험이 있는 경우 사업에 대한 위험인지 수준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남성, 부모가 창업한 경험이 있는 경우, 자아실현의 창업동기를 갖는 경우 창업의사가 강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사업실패경험이 없는 경우, 101억부터 1천억 사이의 매출액을 갖고 있는 사업체 운영자, 긍정적인 사업태도를 가진 경우 사업유지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성, 비전문직에 취업한 경우, 사업경험이 있는 경우 사업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연령이 높은 경우, 취업하지 않은 경우, 사업경험이 있는 경우 사업에 대한 위험인지 수준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끝으로, 남성, 취업하지 않은 경우, 사업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경우, 부모가 창업을 한 경험이 있는 경우 창업에 대한 의사가 강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긍정적인 사업태도, 사업실패경험이 없는 경우 사업유지의사가 강한 것으로 드러났다.

  • PDF

The Effects of Uncertainty Tolerance on Attitude toward Business Start-up Trying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창업시도태도에 미치는 영향)

  • Ha, Hwan Ho;Byun, Chung Gyu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0 no.4
    • /
    • pp.167-175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the linkage between uncertainty tolerance and attitude toward trying business start-up. Uncertainty tolerance can classify by degrees of uncertainty as risk and ambiguity. We examined the effects of risk tolerance and ambiguity tolerance on attitudes toward trying success and failure. And we also examined the effect of attitudes toward trying success and failure on business start-up try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se relationships using 173 under graduate students. The result of analysis indicated that the risk tolerance had positive effects on attitude toward trying failure, but it had not any effect on attitude toward success and process. The ambiguity tolerance has positive effects on attitude toward trying failure and trying process, but it had not any effect on attitude toward success. The attitudes toward trying success, trying failure, and trying process had positive effect on attitude toward business start-up trying. Then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uncertainty(risk and ambiguity) tolerance showed a role of antecedent of attitudes toward trying success and failure. Finally, this study concluded with a discussion of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PDF

예비창업자의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Kim, Su-Jin;Lee, Sang-Mye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180-18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예비창업자의 심리적 특성 중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계획된 행동모델의 변수들을 매개로 하여 미래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창업의도와 관련된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많이 있었으나 주로 창업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창업의도를 높이는 요인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기업가적 활동을 수행함에 있어 본질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연구에서는 소홀하게 다루어졌던 것에 주목하여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측정하는 PFAI(Performances Failure Appraisal Inventory) 척도를 사용, 예비창업자의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창업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행동의도 등을 매개로 하여 실증하였다. 또한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상쇄시키는 역할로써 창업교육의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시내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패에 대한 두려움은 창업에 대한 태도와 주관적 규범에 각각 부(-)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창업에 대한 태도와 주관적 규범은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셋째, 실패에 대한 두려움은 창업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계획된 행동모델의 구성요소인 창업에 대한 태도와 주관적 규범을 매개로 하여 각각 영향을 미쳤다. 넷째, 창업교육이 실패에 대한 두려움과 창업의도와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분석한 결과 창업교육을 수강한 집단에게서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창업에 대한 태도와 주관적 규범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 PDF

The Effects of Business Startup Attributes on the Overconfidence of Business Startup and Entrepreneur's Attitude in Foodservice Industry (외식산업 창업속성이 창업 과잉자신감과 창업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 Song, Kyong-Su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3
    • /
    • pp.414-42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business startup attributes on the overconfidence of business startup and entrepreneur's attitude in foodservice industry.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arried out to 300 entrepreneurs in the foodservice industry through October 1 to October 30, 2012.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ntrepreneur's characteristics, funds for business startup, locations and produc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overconfidence of business startup(p<.05). Second, funds for business startup, locations and produc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s' attitude(p<.01). Third, the overconfidence of business startu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s' attitude(p<.001). The findings stated above mean that knowledge or experience related to specialized management mind as entrepreneur's characteristic factors are just as important, and customers' use and choice of restaurants are also connected to stable management when the floating population of them are located to a suitable place in combination with product characteristics in enough financing and preparation based on this, showing entrepreneur's positive attitude through stable management along with confidence.

The Effects of Positive Cognitive Bias on Attitude toward Success(Failur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긍정적 인지편향이 창업시도 성공과 실패에 대한 태도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Ha, Hwan Ho;Byun, Chung Gyu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9 no.4
    • /
    • pp.145-153
    • /
    • 2014
  • This study examined the linkage between positive cognitive bia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Self-enhancement, unrealistic optimism, and illusion of control have been collectively referred as positive cognitive bias. We examined the effects of positive cognitive bias on attitudes toward success and failure. And we also examined the effect of attitudes toward success and failure on entrepreneurial intens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se relationships using 240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 of analysis indicated that the self-enhancement bias and unrealistic optimism bias had positive effects on attitude toward failure, but it had not any effect on attitude toward success. The illusion of control bias has positive effects on attitude toward success, but it had not any effect on attitude toward failure. The attitudes toward success and failure had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sion. Then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gnitive biases showed a role of antecedents of attitudes toward success and failure. Finally, this study concluded with a discussion of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PDF

사업경력 유무에 따른 사업에 대한 태도의 차이에 관한 연구

  • Ha, Gyu-Su;Kim, Sang-Beom;O, Seong-Bae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8a
    • /
    • pp.163-19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조사대상자의 사업경력, 즉 사업운영경험이 있는지의 여부, 사업실패경험이 있는지, 현재 사업을 하고 있는지에 따라 사업 및 가족기업창업과 관련한 태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사업 및 가족창업 관련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어떤 것인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이 여성보다 사업운영경험, 사업실패경험이 많았고, 현재 사업을 운영할 가능성이 많았다. 사업을 운영한 경험이 있는 경우 그리고 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경우 대학원 졸업자의 비중이 많아 사업자가 고학력자임을 알 수 있었고, 연령이 평균 45세로 비사업자보다 연령이 높았으며, 부모가 창업한 경험이 있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사업운영경험이 있는 경우, 사업실패경험이 있는 경우, 현재 사업을 운영하는 경우 대체로 사업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었고, 사업실패후처리 평가 시스템에 대해 부정적 태도를 보였으며, 사업실패두려움이나 사업실패위험에 대해 강하게 인지하고 있었고, 가족창업에 대해 적극적인 태도를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성 그리고 사업경험이 있는 경우 사업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남성, 사업실패위험에 대해 강하게 인지할수록, 사업실패경험이 있는 경우 사업실패에 대해 더 두려워하고 있었다. 끝으로, 남성, 부모가 창업한 경험이 있는 경우, 사업운영경험이 있는 경우 가족창업의지가 적극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 PDF

창업팀의 다양성이 학습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다양성 수용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Park, Jae-Hwan;Jeon, Hye-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153-158
    • /
    • 2018
  • 국내외 창업 교육 및 창업 현장에 있어 창업자 개인이 아닌 팀 단위의 역량을 중요시하고 있다. 다양한 창업지원 사업에서 팀의 구성에 따라 당락을 결정할 정도로 팀은 창업 초기에 빠르게 나아가기 위한 원동력이자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창업팀의 활동을 통해 구성원들의 역량이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에 실패를 용인하고 재도전할 기회를 주는 등 사회 분위기도 개선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따라 기존의 창업가(entrepreneur) 중심에서 창업팀(entrepreneurial team) 단위의 연구로 흐름이 변화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더욱이 국내 연구에 있어 창업팀에 대한 연구는 초기 단계로 해외의 연구 결과에 의존하고 있어 한국의 창업환경에 맞는 창업팀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의 부족은 창업팀이라는 연구 대상이 한정되어있다는 점, 시간의 부족을 겪고 있는 창업 팀원들에게 의미 있는 자료를 끌어내기 어려운 점 등도 애로사항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업팀의 특성 중 학습 행동을 유발하는 요인을 찾기 위해 창업팀의 지각된 다양성과 그 다양성을 수용하는 태도에 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팀원들의 지각된 사회범주 다양성과 지각된 정보다양성이 높을수록 다양성을 수용하고자 하는 의지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정보 다양성과 가치 다양성을 수용하는 태도가 좋을수록 자발적인 학습 행동이 더 많이 발생했다. 셋째, 단순히 다양한 사람들을 섞어 팀을 구성하는 것 자체로만은 학습 행동을 유발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지각된 사회범주다양성은 정보다양성의 수용태도를 매개로 자발적인 학습 행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지각된 정보다양성은 정보다양성과 가치다양성 수용태도를 매개로 학습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팀은 긍정적인 영향과 함께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도하여 구성원간의 갈등을 야기시키며 창업실패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 본연구는 이러한 팀의 특성을 살펴봄으로서 향 후 창업팀의 육성과 지원 시 팀의 구성원간의 문제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고 팀의 특성과 관련한 연구의 확산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 PDF

The Effects of Regulatory Focus and Psychological Distance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자기규제초점과 심리적 거리가 창업태도 및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Ha, Hwan Ho;Byun, Chung Gyu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1 no.2
    • /
    • pp.1-8
    • /
    • 2016
  • Self Regulatory Focus Theory explained two different self-regulatory systems(promotion focus and prevention focus) to achieve a goal. According to this theory, people have different type of goal(approach pleasure and avoid pain) and use different type of strategy to achieve the goal. Promotion focus targets their attention to positive outcomes and the achievement of gains. On the other hand, prevention focus targets attention more to negative outcomes and the avoidance of losses. Also, promotion focus tends to use approach and eager strategy to achieve the goal and prevention focus tends to use avoidance and vigilant strategy.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elf regulation focus on attitude and intention toward business start-up. We proposed that promotion focused people will respond more positively to the attitude and intention toward business start-up than prevention focused people. This likely because promotion focused people tend to focus more ideals and gains, where prevention focused people tend to focus more safety and risk. And also we proposed that these effect will be influenced by psychological distan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se relationships using 186 under graduate students. The result of analysis indicated that promotion focused people responded more positively on the intention toward business start-up than prevention focused people. But it had not any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 business start-up than prevention focused people. Self regulation focus and psychological distance turns out to be a significant factors that influence attitude and intention toward business start-up. Finally, we concluded with a discussion of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PDF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무형식 학습 및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Ga, Hye-Yeong;Jeon, Hye-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04a
    • /
    • pp.143-148
    • /
    • 2019
  • 시대적 변화에 따른 경력성공의 관점이 변화하고 있지만 다수의 연구들은 창업과 취업을 분리하여 연구되어 왔다. 또한 환경의 변화뿐만 아니라 개인 가치관의 변화에 따라 평생 직장의 개념이 사라졌으며 전 생애에 걸친 학습의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다. 학습의 형태는 기존의 지식을 전달하는 형태에서 다양하게 변화해왔다. 교실 수업의 형태는 팀활동과 미디어 활용을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교실 밖 수업에서는 자율적인 동아리 활동이나 커뮤니티의 참여 등을 통해 역량을 향상시키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개인의 경력은 인생에 걸친 학습과 일에 관련된 경험 및 행동과 연관된 태도로부터 발생한다. 이러한 경력을 이끌어가는 태도는 새로운 환경속에서 즉각적인 요구를 받아들이는 적응학습과 새로운 행동 및 지식을 유발하는 생성학습, 그리고 상호작용 패턴 인식을 통해 새로운 시도를 하는 전환학습을 지속적으로 일으킨다. 또한 이러한 무형식 학습들은 취업과 연계 될 뿐만 아니라 창업의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자기주도성과 가치지향성을 척도로 하는 프론티언 경력태도가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확인함으로서 기존의 취업역량과 연결시켜왔던 연구에 새로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무형식학습 활동을 매개변인으로 투입하여 학습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학습의 효과를 확인하여 변화된 교육형태의 중요성을 확인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에 더해 스마트미디어를 활용하는 능력인 스마트미디어 리터러시와 팀 학습을 지향하는 팀학습 선호도를 조절효과로 보아 분석함으로서 스마트미디어활용 학습과 팀학습의 형태로 변화하고 있는 교육 현장의 특성을 함께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9년 3월부터 6월까지 교육과 경력 환경의 변화의 중심에 서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

The Effect of Relational Support on Entrepreneurial Capacity and Entrepreneurial Attitude of University Students - Comparison Study between Korea and China (관계적 지원이 대학생들의 기업가적 역량과 창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 한·중 비교연구)

  • Yang, Jun-Hwa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12
    • /
    • pp.138-149
    • /
    • 2018
  • The objective of this cross-cultural study is to assess the effects of relational support on the entrepreneurial capacity and entrepreneurial attitude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nd China. Another focal point is to identify an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role of relational support between these two countries. Three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both countries. 224 Korean sample and 216 sample from China were used i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report that relational support has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with entrepreneurial attitude and entrepreneurial capacity in both Korea and China. In addition, entrepreneurial capacity had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attitud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relational support on entrepreneurial activity between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Finall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