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업시기

Search Result 67,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n Analysis of Factors on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s: Focused on the Motivation and Intended Startup Time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창업동기 및 창업계획시기를 중심으로)

  • Kim, Jong-woo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9 no.1
    • /
    • pp.79-87
    • /
    • 2014
  • This paper aims to identify determinant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among college students of a university in Daejeon. We have used a revised Entrepreneurial Intention Questionnaire including personal trai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three factor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motivations to startup and planned startup tim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e analysis shows that there are strongly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three TPB factor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of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students' motivations to create a firm such as independence and self-achievement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their entrepreneurial intentions, while the students who want to start their business right after their graduation have significantly higher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an those who want to create a firm after doing a salaried job. Furthermore, students whose parents have created or operated a firm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others, and parents' startup business typ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ir sons and daughters' interested areas of business.

  • PDF

Entrepreneurship Policy Changes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y Paradigm (정책 패러다임 관점에서 살펴본 창업정책 변화)

  • KIM, Mansu;KANG, Jae Wo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6 no.3
    • /
    • pp.43-58
    • /
    • 2021
  • This study analyzes the entrepreneurship policies of the previous Korean administr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olicy Paradigm by Hall(1993). A total of 195 newspaper articles and 202 government documents were examined to identify policy paradigm shifts through an analysis of policy objectives, policy instruments, and changing quality of policy instruments by each administration. The first paradigm was built during the 5th and 6th Republic, where 'Support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 Establishment Act' was enacted in 1986 to promote and support start-ups in the manufacturing sector. Next is the so-called 'people's government' period where 'Act on Special Measures for the Promotion of Venture Businesses' was enacted to tackle the challenges posed during the 1997 Asian financial crisis. A new policy goal was set to promote and nurture venture companies seeking subsequent means to achieve it. The third paradigm shift took place during President Moon's administration in order to effectively respond to the issues stemming from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COVID-19 pandemic. Through the overall revision of the 'Support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 Establishment Act', the scope of startups were expanded, new industries and technology startups were supported and promoted, and venture investment-related laws were streamlined. In addition,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was promoted as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enabling them to take initiative in implementing startup policies. Particularly,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low survival rate of startup companies and the revitalization of private investment as rising policy issues for recent startups, and suggests the improvement direction due to startup policy paradigm shift.

ICT기반 창업자의 기업가정신과 기술혁신이 기술개발성과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Yang, Seon-A;Hwang, Bo-Y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04a
    • /
    • pp.23-28
    • /
    • 2019
  •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는 창업자들의 경우 대부분 창업자가 보유한 기술을 기반으로 ICT관련 기술을 활용한 사업을 시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ICT창업의 경우 보유한 기술에 대한 가치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보유한 기술의 수준이 높으면 기술성과가 높을 것이라는 막연한 생각을 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ICT창업의 경우도 다른 창업과 다르지 않게 많은 성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요인이 필요합니다. 본 연구는 ICT기반 창업자의 기업가정신과 기술혁신역량이 기술개발성과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을 통해 ICT창업자가 갖추어야할 역량과 다양한 요인에 대해 밝히고자 합니다. 기존연구는 일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다수였으며 최근 급속도로 늘어난 ICT기반 창업자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그렇기 때문에 ICT기반 창업자에 대한 적용은 시기적절한 연구라 할 수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다양하게 정의된 기업가정신 및 기술혁신역량의 구성요인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였고 이를 독립변수로 하여 기술개발성과와 경영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대해 실증 연구하였다.

  • PDF

창업보육센터의 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 조직문화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김보윤;황보윤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11a
    • /
    • pp.187-192
    • /
    • 2023
  • 1990년대 후반 정부는 경기부양의 일환으로 창업보육센터(Business Incubatir: BI)를 전국에 설치·운영하도록 지원하였다. 창업보육센터를 통해 벤처기업이 스스로 자생력을 갖출 수 있는 시기까지 시설, 기술, 행정, 경영지원 뿐만 아니라 입주지원까지 다양한 지원 역할을 수행해오고 있다. 특히 창업보육센터의 교육프로그램은 입주업체들의 기업 성장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창업보육센터의 교육프로그램이 기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최근 조직문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조직문화는 스타트업을 움직이는 심장이며 그 영향력은 실핏줄을 타고 회사의 가장 사소한 결정에까지 미친다. 조직문화마저 없다면 스타트업은 제품, 브랜드 무엇 하나 제대로 갖추지 못한 그저 꿈을 쫓는 집단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본 연구는 창업보육센터의 교육프로그램 서비스품질 구성요인 인 유형성, 신뢰성, 반응성과 스타트업에게 중요한 원동력이 되는 실천중심설계가 교육만족, 조직문화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아울러 교육만족이 조직문화에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고 가설을 검증함으로써 학문적, 실무적으로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A Plan for Startup of Optical Shop by Ophthalmic Optics Students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안경원 창업예정도)

  • Lee, Ok-Jin;Jung, Se-Hoon;Shin, Jin-Ah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13 no.4
    • /
    • pp.31-36
    • /
    • 2008
  • Purpose: To investigate optical shop startup awareness of ophthalmic optics students as a basic source for startup education. Methods: Total of 287 students from three ophthalmic optics college in kyung-gi region was surveyed and analyzed using SPSS analysis. Results: Optical shop startup business plan of ophthalmic optics students was very high (80.1%). For startup timing, over 6yrs of employe (37.0%) was most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p<.001) and optician family present (p<.05). For startup type, single startup type (37%) was most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 (p<.01). For startup unit of space, 30 pyong (43.5%) was most, Seoul metropolitan area and kyung-gi region (54.4%) was most for startup region, and station area (40.8%) was most for startup location. The reason of non-startup was eye hospital and glass related company employe (35.7%) was most and optical shop employe (35.7%) was most for non-startup planner's way. Conclusions: Startup business plan was very high and need to have startup education for there startup provision.

  • PDF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시대 창업아이템과 하이퍼스케일업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비즈니스 피벗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Han, Hyang-Won;Ha, Gyu-S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04a
    • /
    • pp.27-32
    • /
    • 2021
  • 최근 산업계 전반은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빠른 속도로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이 가속화 되고 있다.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의 비즈니스 모델은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데,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서의 가능성은 기업의 성과와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산업생태계 자체가 디지털 기술로 인해 재구성되는 디지털 변혁 시대 스타트업의 하이퍼스케일업(Hyper-Scaleup)이 중요해지고 있다. 코로나 대유행시기 동안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으로 인해 스타트업은 많은 손실을 경험하였고,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비즈니스 피벗이 필요하며 비즈니스 전환은 필수이다. 물리적 제한이 없는 디지털 세계에서 변화하는 고객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해야 하고 이러한 변화 대응력을 높여야 하는 벤처 생태계를 중심으로 피벗이 중요한 비즈니스 전략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첫째, 스타트업의 새로운 가치창출을 위해 창업아이템, 하이퍼스케일업, 비즈니스 피벗의 개념을 분석하였다. 둘째, 창업생태계의 디지털 전환 시점에서 창업아이템과 하이퍼스케일업이 창업성과와의 실증 분석을 통해 유의한 영향 관계를 규명하였다. 셋째, 창업아이템과 하이퍼스케일업이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칠 때 비즈니스 피벗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스타트업 관점에서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을 바르게 이해하고,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Building the University Entrepreneurial Ecosystem towards Hub Universit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Korea (서울대 창업생태계의 형성과정과 허브 대학으로의 변화)

  • Soyeong Jung;Yangmi Koo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5 no.4
    • /
    • pp.469-483
    • /
    • 2022
  •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and why the rol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as evolved through the formati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s entrepreneurial ecosystems (SNUEEs). To identify this, we used secondary data on SNU entrepreneurship and did in-depth interviews with 17 student entrepreneurs and supportive actors in the ecosystems. First, the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policy and the first start-up boom in the late 1990s gave rise to the first generation of SNUEEs. They entered the second generation with the second start-up boom in 2010. The third generation emerged through the government's start-up support policy and the venture investment market revitalization in 2017. Second, SNUEEs have experienced transformations of the university's role from an 'ivory tower' to a 'feeder of knowledge and labor' and have become a 'hub of knowledge networks.' Third, hub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were established and supported by government policies, and networks of SNUEEs have been embedded in these hub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SNUEEs as a hub university are evolving through the formation of a voluntary entrepreneurial culture by student entrepreneurs, the supportive policy at the university level, and the establishment of linkages with the region where the university is located.

Research for Key Success Factors about Technological Entrepreneurs - Case in Korea (연구개발 기업에 대한 창업 성공 요인 분석 - 국내 사례를 중심으로)

  • Shin, Yu-Sub;Choi, Myeong-Gil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554-560
    • /
    • 2009
  • 연구개발 자원을 활용하여 창업하는 경우 초기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물적, 인적 자원 등의 투입 여부, 규모와 시기, 방법의 적절성 등이 성공적인 창업 단계로 발전 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또한 세계적인 기술의 흐름과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여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제품과 서비스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창업 단계로의 성공적인 발전에 대한 확률이 높아 질 수 있을 것이다. 이 밖에도 관련 있는 여러 요소가 있을 수 있다고 가정한다면, 이 여러 가지 요인들 중 초기 단계의 연구개발 기업의 경우 성공적인 창업단계에 이를 수 있는 주요한 요소들의 특성과 외부의 환경적인 영향이라 할 수 있는 변수들은 무엇이며 각 요소 및 변수들의 성공적인 창업 단계로의 발전과의 상관, 인과 관계를 연구, 고찰해 보며 주요한 요소들 각각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여 이를 토대로 초기 단계의 연구개발 창업 기업에 있어서 성공적인 창업 단계로의 발전에 대한 주요 성공 요인을 해외에서의 창업 성공 요인에 대한 비교 연구와 국내의 사례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고찰하여보고자 한다.

  • PDF

경력단절여성의 자기지각, 사회적지지 및 대처행동이 취창업의지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Park, Jeong-Ok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04a
    • /
    • pp.75-78
    • /
    • 2019
  • 통계청의 '2018년 경력단절여성 현황'을 보면, 지난해 4월 기준으로 15~54세 기혼여성 가운데 경력단절여성은 184만7000명으로 전년 대비 1만5000명(0.8%) 늘었다. 경력단절여성의 비중도 20.5%로 1년 전보다 0.5%포인트 상승했다. 2015년 21.7%, 2016년 20.5%, 2017년 20.0%로 점차 떨어지다가 다시 반등세로 돌아섰다. 경력단절여성의 경우 재취업 성공도 힘들었다. 지난해 경력단절 후 다시 취업한 기혼여성은 1년 전보다 50만7000명(19.6%) 줄어든 208만3000명으로 2014년 통계작성 이후 가장 적었다. 경력단절 후 다시 취업한 이들의 비중도 지난해 23.1%로 최저였다. 경제활동을 시작하는 20대부터 경력을 쌓아가는 30대, 40대는 노동자의 생산성이 증폭되는 시기인데, 정작 여성은 이 연령대에 결혼 임신 출산 육아로 인해 경력이 단절되는 현실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경력단절여성의 자기지각, 사회적지지 및 대처행동이 취창업의지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 최근의 정부정책에 있어서 이슈가 되고 있는 사항들을 연구할 예정이다.

  • PDF

스타트업의 벤처캐피탈 선택에 미치는 요인 연구

  • Kim, Jin-Su;Bae, Tae-Jun;Lee, Sang-Mye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06a
    • /
    • pp.39-44
    • /
    • 2020
  • 지금까지의 투자 의사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는 벤처캐피탈 관점에서 이루어져 왔다. 벤처캐피탈이 투자할 만한 가치가 있는 스타트업을 선정하는 요인이 무엇인가 하는 것이 기존의 연구의 핵심이었다. 하지만, 최근 우수한 스타트업의 경우, 많은 벤처캐피탈이 투자를 하기를 원하면서, 오히려 능력 있는 스타트업들은 벤처캐피탈을 선별해서 투자를 받고 있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우수한 스타트업이 벤처캐피탈을 선택하는 결정 요인을 알아봐야 하는 시기가 된 것이다. 본 연구는 창업 초기단계(Series A) 창업가 4명, 중기단계(Series B/C) 창업가 3명을 인터뷰하여 스타트업이 벤처캐피탈을 선정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스타트업이 벤처캐피탈을 선정하는 주요 요인으로는 1) 계약내용, 2) 벤처캐피탈 명성(reputation), 3) 투자 심사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초기 및 중기 단계의 스타트업 모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은 계약내용으로, 구체적으로는 가치평가 (valuation)와 우호적인 투자조건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벤처캐피탈의 명성 (reputation)의 경우, 벤처캐피탈이 지금까지 투자해 왔던 회사들의 면면 (portfolio)과 투자한 후, 후속 투자를 하는 경향 (Follow-on)을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벤처캐피탈을 선정할 때, 창업 초기 단계에서는 상대적으로 투자심사역의 영향이 컸고, 창업 중기 단계 이후로 갈수록 투자심사역 개인보다는 회사 차원의 벤처캐피탈의 영향력이 커짐을 발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