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창업분야선택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5초

창업자의 다중지능 영역별 발달 특성이 창업 행동 및 창업 분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이선희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1-34
    • /
    • 2018
  • 다중지능은 하워드 가드너가 제시한 개념으로, 지능이 단일한 지적 능력을 나타내는 구조(construct)이라기 보다는 다차원적인 복수의 하위 능력들로 구성된 것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Gardner는 다중지능의 구성을 음악지능이나 신체운동지능, 논리수학지능, 언어지능, 공간지능, 인간친화지능, 자기성찰지능 그리고 자연친화지능 등과 같은 상호독립적 능력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각 개인은 각 능력 영역에서 다른 발달 수준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창업자의 다중지능의 영역별 발달 특성이 창업 실행 행동, 창업 분야, 창업 성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통해 예비 창업자들이 본인의 적성과 재능에 적합한 분야에서의 창업 가능성을 탐색하도록 돕는 지도자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하고, 향후 창업가 육성 프로그램의 구성 개선안을 마련하는 데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8년 중소기업진흥공단 청년창업사관학교에 입교한 만 39세 이하의 청년창업자 200인을 대상으로 다중지능검사와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창업 특성에 대해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Pearson 상관계수 및 다변량분산분석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할 예정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가설은 다음의 3가지이다. 가설 1. 창업자의 다중지능 영역별 발달 수준과 창업 실행에는 정적인 상관이 있을 것이다. 가설 2. 창업자의 다중지능 영역별 발달 수준에 따라 창업자가 선택한 창업 분야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3. 창업자의 다중지능 영역별 발달 수준에 따라 창업자의 창업 성과 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PDF

창업가의 예상된 후회가 창업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기 충족적 예언과 열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원치운;배태준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7-112
    • /
    • 2020
  • 많은 사람들은 미래에 발생할 일에 대한 결정을 내리기 전 수 많은 생각과 심리적 변화를 겪게 된다. 특히 우리 삶에서 자신의 직업과 같은 경제적 및 사회적 측면에 대한 고려와 함께 중요한 선택을 하게 되는 상황에서 그 선택은 미래에 경험하게 될 후회의 정도에 따라 현재의 행동이 결정된다. 이러한 심리적 기제는 이미 심리학과 마케팅 분야에서는 감정 및 정서적 요인들이 의사결정 과정에 직접적이고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에 공감하며 관련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이처럼 창업 분야에서도 예비창업가들이 창업을 결정하기 위한 중요한 심리적 요인으로 후회라는 감정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많은 창업가들의 의사결정에서 발생되는 예상되는 후회(anticipated regret)가 창업 행동(entrepreneurial behavior)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와 아울러 창업가의 예상되는 후회가 창업 행동에 영향을 미칠 때, 창업가의 자기 충족적 예언(self fulfilling prophecy)과 창업가적 열정(entrepreneurial passion)의 수준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창업가의 예상되는 후회와 목표지향성, 그리고 창업가적 열정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함으로써 가설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창업가 145명을 대상으로 두 차례에 걸쳐 설문을 실시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우리나라 자영업자는 어떻게 자영업자가 되었을까?

  • 김종성;박선영;신지만;김수진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65-169
    • /
    • 2022
  • 연구의 목적은 𐩒𐩒은행-N사의 SME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자영업을 시작하게 된 동기와 경로를 규명해보는데 있다. 본 연구는 자영업자의 노동시장 및 노동경험 등에 따라 자영업 진입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심층 인터뷰 자료를 활용하였는데, 연구참여자의 선정에 있어 이론적 표본 추출방식을 사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대상자를 선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영업자가 자영업에 진입하게 된 동기는 ① 전 직장의 근로조건 불만족과 본인 사업을 향한 꿈의 실현을 위해 자영업에 진입하였고 ② 취업에 대한 대안으로 자영업을 선택하였으며 ③ 가족과 지인의 창업에 대한 권유와 도움으로 자영업을 선택하게 되었다. 둘째, 자영업자가 진입하게 된 유형은 ① 임금노동자 경험 후 자영업자 창업 ② 임금노동자 경험 후 경력을 활용하여 유관분야 자영업 창업 ③ 임금노동자 퇴사 후 자영업 승계 ④ 본인의 자영업 창업 경험 이후 가업 승계 과정에서의 자영업으로 진입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SWOT 분석을 활용한 음악 엔터테인먼트 분야 청년 창업의 성공 전략 연구 (A Study on Success Strategy of Youth Entrepreneurship in Music Entertainment Field Using SWOT Analysis)

  • 김민우;이민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405-406
    • /
    • 2021
  • 1990년 대 이후 대한민국의 음악 엔터테인먼트 컨텐츠는 동서양을 넘어 각 대륙으로 수출되며 다양한 부가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직업과 진로의 선택에 있어 젊은 층의 높은 선호를 받고 있지만 업계의 외형적 성장에 비해 내부의 직업적 환경과 만족도는 열악한 상황으로 90년 대 이전 '도제 방식'이라는 미명 하에 이어져 온 텃세와 관행 등은 업계 종사자와 신규 창업자를 이탈시키고 있다. 산업의 선순환과 지속 가능성 제고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청년 창업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제 창업현장에서의 효과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SWOT 모델을 이용하여 음악 엔터테인먼트 분야 청년 창업의 강점과 약점, 창업 환경에 따른 위기와 기회를 분석한 후 음악 엔터테인먼트 분야 청년 창업의 시사점을 제시하고 성공 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혁신취업·창업을 위한 스마트멘토링 플랫폼 활용

  • 홍창영;차상현;노창균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7-169
    • /
    • 2021
  • 친환경 스마트 선박 핵심인력 양성 및 사업화 기술개발의 취업·창업 산학연결 플랫폼, 민간 전문가가 직접 멘토로 참여하도록 유도한다. 멘티는 취업하고자 하는 분야의 전문가를 매칭 또는 선택을 통한, 효과적인 멘토링 실현하고 이해관계 자간의 멘토링을 통해서, 취업과 창업으로 바로 연결될 수 있도록 활성화 시킨다. 멘토·멘티간의 멘토링 지식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AI 스마트 멘토링 제공하고 멘토와 멘토의 맞춤/화상/AI 멘토링, 멘토링 성과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 PDF

문화예술분야의 진로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Factors of Career Choice in Culture Arts)

  • 정재엽;최명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8호
    • /
    • pp.383-390
    • /
    • 2017
  • 본 연구는 문화예술 전공자를 대상으로 진로선택요인이 무엇인지 규명하고 이중 가장 영향력이 높은 요인이 무엇인지 연구하였다. 또한 진로선택의 요인과 진로장벽으로의 외부환경요인이 취업자와 창업자에 따라 다르게 인지되는지, 성별에 따라 다르게 인지되는지 연구하였다. 경기도 소재 문화예술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233부를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t-test, M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문화예술전공자의 진로선택요인을 규명하였으며 취창업 선택 시 고려하는 진로선택요인을 서열 순으로 확인하였다. 문화예술 전공자들의 취창업그룹간, 성별간에 진로선택요인의 차이가 있었으며 두 요인간의 상호작용효과도 일부 요인에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문화예술분야 전공자의 진로선택에 대한 이해를 높여주어 향후 진로교육과 상담 등의 기초자료로 사용가능하며 취창업교육에 활용이 가능하다.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강성일;하규수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9-44
    • /
    • 2020
  • 본 연구는 농촌융복합산업에 관심이 있는 예비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인들의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의도 발현에 대한 영향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농촌융복합산업 예비창업자들이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이라는 의사결정을 하는데 미치는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영향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농촌융복합산업 창업도 창업의 한 형태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이라는 관점에서 논의를 전개하였으며, 이를 위해 창업연구 분야에서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에 사용되는 연구분석틀을 응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잠재적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자들인 예비농업인들의 창업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관련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예비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자들이 현재의 환경 하에서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을 고려할 때 창업의도에 미치는 요인들로서 개인적요인과 외부적요인으로 귀농지역적 요인, 정책적요인을 선정하였다. 이후 선행연구 및 정책적 자료들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해 이론적인 개념을 정립하고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선택된 연구의 변수들인 내적 개인특성, 외부 환경요인, 정책적요인,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의도들 간의 관계를 실증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의미 있는 이론적 및 정책적 시사점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인 농촌융복합산업 예비창업자 개인적 요인과 외부적인 지역적요인, 정책요인을 변수로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표본의 일반적 특성과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의도와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할 것이다. 연령, 현재 회사에서 맡고 있는 업무분야, 기업규모, 성별, 학력, 농촌융복합산업 유형, 근무경력 등 인구통계적 특성이 개인의 농업·농촌 관심도와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집단간 비교분석을 통해 알아볼 것이다.

  • PDF

보건계열 대학생의 창업가 특성이 창업교육과 창업지원제도에 따라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이강임;정화영;김명숙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9-112
    • /
    • 2017
  • 성공적인 창업을 위해서는 창업자 개인의 기본적인 역량뿐만 아니라 체계적인 창업교육과 학습을 통해 창업자가 되기 위한 필요역량을 습득해야 한다(최서윤, 2017). 대학생의 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를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의 학문적 특성을 고려하고 그들의 전공 및 학문적 특성을 고려하여 창업교육 및 창업지원을 통해 대학생의 창업의지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이우진 김진수 김용태, 2013). 창업의지는 창업에 대한 행위적 태도를 의미하며, 창업이라는 긴 과정의 첫 단계이고, 개인의 태도와 경험을 창업이라는 행동으로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윤방섭, 2004). 대학이 학생들에게 창업교육 및 창업공간, 멘토링, 컨설팅, 사업화를 위한 창업지원을 하고, 대학생들은 이러한 창업교육 및 창업지원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일수록 창업의지가 높아져 취업이 아닌 창업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조사대상은 전국의 보건계열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이다. 자료수집 방법은 보건계열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메일 설문지가 발송되었고, 자기보고식 작성방법에 따라 설문조사 되었다. 총735개의 설문지가 발송되었고 그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을 제외한 총 675개의 설문을 최종 설문으로 사용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10월 9일부터 2017년 10월 18일까지 10일간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2.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창업가 특성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창업교육과 창업지원제도는 기업과 특성과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보건계열대학생의 창업가 특성인 성취욕구, 자기효능감, 위험감수성 중 위험감수성만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업교육, 창업지원제도인 대학창업지원활동, 정부창업지원정책 중 창업가 특성과 창업의지 간의 관계에서 대학창업지원제도만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스타트업 활성화를 위한 대학생 스타트업 교육 방향 및 사례

  • 김재군;송용준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1-56
    • /
    • 2022
  • 오늘날의 4차산업혁명시대에서는 전통적인 대기업보다는 신속하게 사업을 추진하는 스타트업이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스타트업은 문제 해결에 도전하는 활동을 수행하는 프로젝트 조직으로서, 개인사업자 또는 법인 등 법적으로 인정되는 기업을 설립하는 단계인 창업과는 분명히 구분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스타트업 활동을 통해 일정 수준 이상의 사업성을 검증하는 준비 단계의 창업 전 스타트업과 그 결과로 창업 과정을 거친 창업 후 스타트업으로 구분해야 한다. 또한, 현재 대부분의 대학교에서는 다양한 창업 교육교과/비교과 프로그램들을 진행하고 있는데, 실제 대학생 졸업 후 취업률 대비 창업률은 비율이 극히 낮은 실정이다. 이를 감안할 때 대학생에게 창업을 목표로 하기 보다는, 도전적인 창업가 정신을 함양하고 스타트업 활동 중심의 교육을 통해 자신의 진로 적성을 찾고, 그 분야의 스타트업에의 취업을 우선 목표로 하는 교육이 스타트업의 인력난 문제를 해결한다는 측면에서 볼 때 스타트업 생태계 발전에 보다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캠퍼스 스타트업 문화 확산을 위한 교육 방향으로 스타트업 관련한 '경험 확대 - 진로 선택 - 실무 체험 - 진로 실행' 단계별 지원을 제안한다. 다음으로 실제 대학교에서 개설하고 운영한 일련의 교육 프로그램으로서 진로 지도, 스타트업 활동 이해, 스타트업 활동용 디지털 리터러시, 스타트업 협력 프로젝트, 스타트업 인턴 준비 교육 과정 및 결과들을 사례로 소개한다.

  • PDF

창업학의 정의와 연구과제에 대한 탐색적 연구 (Reflection on the Definitions and Research Tasks for the Startup Studies)

  • 정헌배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3호
    • /
    • pp.77-85
    • /
    • 2016
  • 창업학은 다양한 학문의 종합적 결정체이자 학제적(學際的; Interdisciplinary) 연구영역을 갖는다. 경영학, 교육학, 심리학, 사회학, 경제학, 공학 등의 이질적 학문으로부터 이론적 체계나 실천적인 방법론 등을 흡수하면서도 전혀 새로운 학문생태계를 형성해오고 있다. 그리고 창업에 대한 사회적 중요성과 활용규모에 비해 이를 논리적으로 뒷받침해야할 창업학의 현실은 너무도 척박하다. 아직도 창업학의 정의가 공론화되어있지 못하고 있으며 창업학의 정체성에 대한 학문적 합의 역시 요원한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창업학의 발전을 위한 논리적 기틀을 마련하기 위하여 창업(創業)은 개인적 인생을 통해 선택하게 되는 다양한 업(業)중의 하나이며 사회 및 경제활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직을 구성하고 운영하는 활동"으로 그리고 창업학을 창업을 대상으로 하는 학문(學問)으로 새롭게 정의하면서 창업학의 정체성을 뒷받침하는 핵심 연구 및 교육분야를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