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참조집단변화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참조집단의 변화를 통한 효율적인 항만의 순위측정방법:DEA 접근 (A Study on the New DEA Ranking Measurement for the Efficient Seaports based on Changing the Reference Set)

  • 박노경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03-408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Jahanshahloo et al (2007)가 새롭게 제시한 모형을 이용하여 2004년도, 국내 26개 항만들을 대상으로 2개의 투입변수(접안능력, 하역능력)와 3개의 산출변수(수출화물처리량, 수입화물처리량, 입출항척수) 가 있는 경우의 CCR[Charnes, Cooper, Rhodes(l978)]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효율성이 1인 효율적인 항만들을 제거하는 방법과 나머지 항만들의 효율성을 평균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항만들의 정확한 순위를 측정하였다. 실증분석의 핵심적인 결과를 살펴보면, 가장 효율적인 항만의 순위는 옥포, 삼척, 울산, 대산, 부산, 고현항의 순위로 나타났다. 10개의 컨테이너항만을 제외한 16개 일반 항만들 중에서는 삼척항이 가장 강력한 효율적인 항만으로 나타났다. 정책적인 함의는 항만정책당국이 본 논문에서 사용한 분석방법과 더 장기적인 기간을 대상으로 효율성 분석을 시행하고 효율적으로 판명된 항만들에 대해서는 정확한 순위를 파악하고 그러한 결과를 차후 항만투자와 개발 시에 반드시 고려하고 반영해야만 한다는 점이다.

외환위기 이후 국내건설회사의 효율성 분석 (Analyzing the Technical Efficiency of Korean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Firms after the Financial Crisis)

  • 김건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151-161
    • /
    • 2005
  • 본 연구는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 DEA)을 이용하여 국내 건설회사를 대상으로 효율성을 측정하고 효율성의 연도별 추이를 파악하며 개별기업 및 산업차원에서 비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CCR모형 및 BCC모형을 적용하여 기술적 효율성 및 순수기술적 효율성을 측정하였고 Window분석을 통하여 연도별 효율성의 변화 추이를 파악하였다. 또한 비효율적인 기업을 대상으로 효율적인 기업이 되기 위한 목표치와 참조집합을 예시하였으며 수익성과 효율성의 시계열자료를 이용하여 효율성 측면에서의 선도기업을 도출하였다.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기업집단의 소속여부에 따른 효율성 차이를 검증하고, 매출액 중 건축비중, 토목비중, 외주비율 등과 효율성과의 상관관계를 식별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은 개별 기업의 효율성에 관한 벤치마킹 및 전략목표설정에 기여하며, 산업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바람직한 정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다.

발전국가와 사회정책과정의 동태성 (The Developmental State and Social Policy-making Dynamics - Political Economy of the National Welfare Pension Scheme in the 1970s Korea -)

  • 김순양
    • 사회복지연구
    • /
    • 제39호
    • /
    • pp.189-219
    • /
    • 2008
  • 본 논문은 한국의 발전국가 하에서의 사회정책 결정과정 및 정책산출의 동태성을, 1970년대 초반의 국민복지연금제도의 입안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정책결정과정, 외적 제약요인으로서의 정책맥락(policy context), 그리고 정책결정의 산물로서의 정책산출(policy outputs)을 연결하는 과정지향적 관점에서 통합적인 분석틀을 구성하였다. 이론적 논의와 관련해서는 정책네트워크 모형을 주로 참조하였다. 구체적 분석변수로서는 우선 정책맥락의 경우는 정치, 사회, 경제적 환경의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사회정책결정 및 정책네트워크와 관련해서는 i) 창도자, 동기, 촉발장치 ii) 참여자의 수 및 핵심적 행위자 iii) 참여자의 이해(interests) iv) 갈등하는 집단 및 이들의 주장 차이 v) 참여자들 간의 상호작용이라는 다섯 가지 변수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정책산출은 '주로 반영된 이해'와 '의도한 정책내용의 변화'를 통하여 고찰하였다.

임신과 갑상선 기능의 평가 (Evaluation of Pregnancy and Thyroid Function)

  • 박창은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10
    • /
    • 2018
  • 갑상선의 기능적 발달 이전인 임신초기에 갑상선자극호르몬은 갑상선 장애 및 임신 동안 매우 민감한 지표이다. 임신동안 정상수준은 감소 변화를 보이는 것은 모체로부터 태아가 받는 갑상선호르몬의 영향이다. 갑상선자극호르몬과 유리 티록신의 농도는 임신동안 및 검사실간에 다양하게 보고된다. 갑상선자극호르몬의 참고치는 비임신군에 비하면 상한값과 하한값의 참고범위의 감소가 임신동안 보인다. 각 실험실은 임신 중에 다른 결과를 산출하는 호르몬 분석법과 일부 자체 기준에 맞는 혈중 농도를 산출한다. 따라서, 혈청 유리 티록신 분석에 사용되는 자동화 된 면역 분석법은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고려할 사항이 있다. 집단 기준, 삼분위 기간별 특이적 참고범위 사용은 문제해결의 최상의 방법이다. 임신 7~12주에 발생하는 호르몬의 하향은 7주 이전에는 보이지 않아 참고범위의 개별적 정량적으로 상승 및 하강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집단별과 임신 특이적 갑상선 매개 변수의 참조범위에 대한 산출 중요성을 강조한다. 정밀의학 의 도래에 있어서 많은 개체의 유전적, 생물학적, 심리사회학적, 환경적 변수를 수집하고 분석이 필요하다. 이러한 논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전향적인 무작위 통제 연구가 필요하다.

청동기시대 함정유구의 구조분석과 성격 검토 - 울산, 춘천 지역 유적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Structural Analysis and Characterization of Hunting Pit in the Bronze Age - Focusing on Relics in Ulsan and Chuncheon Area -)

  • 최수형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6권2호
    • /
    • pp.166-185
    • /
    • 2013
  • 본고는 청동기시대의 함정유구를 대상으로 입지, 배치, 내부구조, 형태 등을 분석한 후 유형을 설정하고, 유형화된 함정에 대해 검토해보고자 작성되었다. 함정유구를 분석한 결과, A~C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문헌, 민족지적 사례, 발굴조사 자료를 참조하여 유형별 함정의 사냥방법, 설치목적, 성격에 대해 검토하였다. A유형은 소규모로 이루어지는 고정적인 사냥방법으로 단순히 생업을 위해 설치되었다. 그러나 B유형은 조직적이고 집단적으로 행해지는 몰이식 사냥방법으로 부족한 식량을 조달하기 위하여 행해지지만, 대규모 수렵을 통한 전술 연마로 전쟁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거나 공동체의 협동을 통하여 집단 조직력을 강화하기도 한다. C유형의 수렵함정은 적으로부터의 침입을 막기 위한 방어적 목적, 마을 내의 사람과 가축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 그리고 최근 발굴조사 자료에 기초하여 마을과는 떨어진 농경지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 등 크게 세 가지로 유추하였다. 이상으로 청동기시대는 농경 생산성이 확대되고 수장이 출현하는 등 사회 경제적 분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와 더불어 함정유구 또한 구조, 목적, 성격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함정이 본격적으로 설치, 확산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영화 <찰스 디킨스의 비밀 서재> (A Commentary on the Film <The Man Who Invented Christmas>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 신동준;이한성;박충만;김인수;손훈성;신용욱
    • 심성연구
    • /
    • 제34권1호
    • /
    • pp.39-76
    • /
    • 2019
  • 영화 <찰스 디킨스의 비밀 서재>는 찰스 디킨스가 『크리스마스 캐럴』을 쓰는 동안 겪는 내면의 변화를 그리고 있다. 『크리스마스 캐럴』은 도시 빈민이 늘어나고 크리스마스 전통이 잊혀 가던 빅토리아 시대에 쓰인 책이다. 찰스 디킨스의 이 책은 사람들에게 가족과 이웃을 생각하는 마음의 소중함을 불어넣었고 흩어졌던 가족이 모여 함께 식사를 하는 오늘날의 크리스마스 풍경을 만들었다. 본 논문은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영화 <찰스 디킨스의 비밀 서재>를 분석하여 영화의 주인공 찰스의 개인적 삶의 위기와 그림자 인식 과정을 다루었다. 또한 찰스 디킨스의 전기와 시대적 배경을 참조하여 자본주의 사회의 집단적 문제가 찰스 개인의 삶에서 어떤 방식으로 작용하는지 살펴보았다. 크리스마스는 죽음과 재탄생의 상징적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영화는 크리스마스를 통해 찰스가 자신의 마음 속 어둠을 인식하고 새로운 인격으로 탄생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오늘날의 사람들에게도 크리스마스는 여전히 시대를 초월한 보편적인 상징으로 작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