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참여형 설계절차

Search Result 2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IPTV Participational Broadcasting Technology (IPTV 참여형방송 기술)

  • Oh, S.H.;Park, I.K.;Ko, S.K.;Lee, B.T.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4 no.1
    • /
    • pp.69-74
    • /
    • 2009
  • 본 고에서는 참여형 서비스 기술 동향을 먼저 소개하고 IPTV에서 시청자가 방송 영상에 실시간으로 참여할 수 있는 IPTV 참여형방송 기술에 대하여 기술한다. 본 기술은 IPTV가 가지고 있는 방송 특징과 양방향성을 고려하여 도출된 다음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설계한 기술이다. 방송을 위한 방송예약 기능을 지원해야 하며 IPTV 시청자의 참여를 제어할 수 있는 절차가 잘 정의되어야 하고 이를 제어할 수 있는 호처리 프로토콜이 잘 설계되어야 한다. 끝으로 실시간 참여형방송 서비스를 위해서는 서비스 지연시간이 짧아야 한다. 이런 기능 및 성능 요구사항을 반영한 IPTV 참여형방송 시스템을 설계하고 실제 제품으로 개발 여 그 성능을 확인하였다.

Designing a Model for Developing Participatory Labor Archives as Locality Archives (로컬리티 아카이브로서 참여형 노동 아카이브 개발 모형 설계)

  • Hyun, Moonsoo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41
    • /
    • pp.3-38
    • /
    • 2014
  •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model for developing participatory labor archives as locality ones. First, it proceeded the literature reviews and expert interviews, so that revealed the needs for participations in building labor archives, participating agents/agencies and the type of participation, especially in industrial labor archives. After examining domestic and foreign labor archives, the way of participation was analysed. Based on the analysis the model for developing participatory labor archives in terms of the principles, the procedure and the participation methods were proposed.

A Study on the Practical Design of Citizen Participatory Appraisal (시민참여형 평가의 실천적 설계를 위한 연구)

  • Lee, Kyong R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20 no.2
    • /
    • pp.21-40
    • /
    • 2020
  • Citizen participatory appraisal is a methodology of record practice that draws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evaluation process in various forms based on evaluation documentation. This study aims to address practical concerns about what kind of citizen participatory appraisal can be used locally and what specific design can be drawn. To this end, this study designs specific measures for citizens to recognize and monitor the responsibility of the national archives in the domestic record appraisal environment, focusing on thorough appraisal documentation and disclosure, the introduction of public consultation, and the initiative of citizen agenda.

Study on DQI Process of User Involved in U.K. (영국의 사용자 참여형 DQI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 Kim, Seung-Je;Kang, Tae-Woong;So, Kab-Soo;Yun, Yong-Gib;Kim, Jong-H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 /
    • v.17 no.2
    • /
    • pp.23-30
    • /
    • 2010
  • At present, the necessity of new design guidelines, evaluation and operation system for school facilities are on the rise according to re-edition of school curriculum in Korea. Moreover, it is necessary to procedure of the design, an institutional device and an ex post facto evaluation system for school facilities as a public building with the space planning that is suitable for various situations, which are able to collect users' various demands and opinions. Under the present situation, England has introduced and operated DQI system for the users' participation design of its. The present study will derive the meaning DQI system of England and how to operate it, and percuss the possibility of the application of design procedure of the education facilities in Korea.

The Instructional Model of Web Courseware Using Multi-Learner Simulation Game (다중 학습자 시뮬레이션 게임형 웹 코스웨어의 수업 모델)

  • 구덕회;김영식;백두권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235-240
    • /
    • 2000
  • 현재 웹 코스웨어의 대부분은 하이퍼텍스트 문서들간의 비선형적인 연결에 의한 학습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나, 이는 단순한 페이지 링크형 학습으로서 그리 커다란 교육 효과를 발휘하기에는 어렵다는 한계를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다중 학습자가 동기적으로 참여하는 시뮬레이션 게임 방식은 웹 코스웨어의 현재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는 하나의 교수·학습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다중 학습자가 동기적으로 참여하는 시뮬레이션 게임 방식의 웹 코스웨어에 대한 수업 모델을 제안하고 있다. 이 수업 모델은 Atkinson의 체제적 접근 방식의 게임 설계, Alessi와 Trollip의 시뮬레이션의 구조와 절차, Reigeluth와 Schwartz의 시뮬레이션에서의 학습자 역할에 대한 분석 연구를 기반으로 설계하였다.

  • PDF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n Ontology for Public Participation GIS (시민참여형 GIS를 위한 온톨로지 설계 및 구현)

  • Park, Ji-Ma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4 no.3
    • /
    • pp.372-394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ontology-based public participation GIS(PPGIS). The major reason that ontology-based GIS has attracted attention in semantic communication in recent year is due to the wide availability of geographical variable and the imminent need for turning such recommendation into useful geographical knowledge. Therefore, this study has been focused on designing and implementing the pilot tested system for public participation GIS. The applicability of the pilot tested was validated through a simulation experiment for history tourism in Guri city Gyeongi-do, Focused on the methodology, the life cycle model which involves regional statues and user recognition, can be viewed as an important preprocessing step(specification, conceptualization, formalization, integration and implementation) for recommended geographical knowledge discovery by axiom. Focusing on practicality, ontology in this study would be recommended for geographical knowledge through reasoning. In addition, ontology-based public participation GIS would show integration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approach, and be utilized as an index which is connected with semantic communication. The results of the pilot system was applied to the study area, which was a part of scenario. The model was carried out using axiom of logical constraint in the meaning of human-activity.

A Design of Active Questionnaire System Based on Web Standards (웹표준 기반 능동형 설문 시스템 설계)

  • Jang, Seon-Ah;Yang, Jae-Gun;Bae, Jae-Hak J.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777-779
    • /
    • 2011
  • 현재의 컴퓨터 설문 시스템은 지필형 설문에 비해 여러 가지 이점이 있지만 처리절차 또는 규칙들이 시스템에 하드 코딩(Hard Coding)되기 때문에 설문이 변경되면 설문처리 엔진을 수정 또는 재구현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기존에 능동문서를 도입한 컴퓨터 설문 시스템인 능동문서 기반의 웹 설문 시스템(WINAD: The Web Interview System with Active Documents)을 구현하였다. 하지만 WINAD 시스템은 응답자의 참여도를 높이거나 응답률을 최대화할 수 있는 플래쉬, 플랙스, 실버라이트 등 인터렉티브한 설문지 작성 환경을 제공하지 않는다. 브라우저 상호호환성과 웹접근성 문제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WINAD 시스템을 모바일 및 다양한 브라우저 환경에서 동작가능 하도록 HTML5 기술을 적용한 웹표준 기반 능동형 설문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A Study on Design Method of Web Based Multimedia Education Contents (웹 기반 멀티미디어 교육 컨텐츠의 개발절차모형에 관한 연구)

  • Lee, Hyeon-Joo;Jung, Cheon-Bok;Hwang, Sun-M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c
    • /
    • pp.1953-1956
    • /
    • 2002
  • 웹 기반 컨텐츠는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학습자 스스로 수준별 학습이 가능하며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현재 많은 분야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웹 컨텐츠를 개발하여 학습에 활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웹 기반 멀티미디어 교육 컨텐츠 개발 전략으로 사용자의 이벤트에 반응하는 대화형 웹 교육 컨텐츠의 개발 과정을 설계하였다.

  • PDF

A Study on Managing Industrial Professional Practice(IPP) at University Education (대학교육에서 강화된 장기현장실습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Lee, Woo Young;Cho, Se Hyoung;Seol, Jin-Soo;Son, Deuk-Soo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or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4 no.1
    • /
    • pp.99-10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Industrial Professional Practice(IPP) at university education as a way of innovation strategy in order to effectively respond industrial needs in dynamic environment. A Industrial Professional Practice model was developed by using a structured on the job training model and had a 7 steps which were "planning Industrial Professional Practice, selecting enterprises and students, matching enterprises and students, job analysis, design and development program, implementation, evaluation and feedback. Based on the Industrial Professional Practice model, the direc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as discussed.

  • PDF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SPS (단체표준(SPS) 소개와 개발 프로세스)

  • Tae Hyeong Kim;Se Hyun Park;Dae Sung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6-6
    • /
    • 2023
  • 국토교통부는 R&D 사업인 '분산공유형 건설연구인프라구축사업(2004년~2009년, 6종)'과 '국토교통기술실험인프라 2단계 구축사업(2013년~2019년, 6종)'을 통해 첨단 연구시설·장비를 전국에 분산 구축하여 실험시설이 부족한 중소기업·대학 등이 공동활용할 수 있도록 총 12종의 건설분야 대형실험시설을 구축하였다. 국토교통 R&D 성과(기술·제품)의 품질 및 신뢰성 확보를 통해 개발기술의 상용화 촉진을 위해서는 이러한 국토교통 대형실험시설·장비를 활용한 표준화된 성능평가 시험기반(표준실험절차, 단체표준 등)을 구축하여 연구인프라의 공동활용을 촉진하고 기술개발 성공률 제고와 함께 건설분야 시험인증 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국토교통 대형실험시설을 활용하여 건설분야 기술·제품에 대한 성능평가 기반의 실험절차를 표준화함으로써 성능평가 결과의 신뢰성 확보 및 기술시험서비스 역량 제고를 위한 '건설분야 기술·제품의 검증을 위한 성능기반 표준실험절차 개발(연구기간: '17.06~'22.06, 연구비: 총99억원, 주관기관: 국토교통연구인프라운영원)' 과제가 성공적으로 수행 완료되었다. 이 과제를 통해 총 53개의 표준실험절차서와 20개의 단체표준이 제정되었다. 이어서, 2단계 대형실험시설 준공완료에 따라 '건설분야 성능기반 표준시험절차 개발 사업(연구기간: '21.04~'25.12, 연구비: 총143.8억원)이 수행되고 있다. 현재, 국토교통연구인프라운영원은 이 사업 내 국제융합수리(주관기관: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극한성능(주관기관: 서울대학교) 및 기상환경재현(주관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표준실험절차 개발 과제에 공동기관으로 참여하여 단체표준 개발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체표준 소개 및 현황에 대해 설명하고, 1단계 표준실험절차 개발과제를 통해 정립되었고 현재 2단계 표준실험절차 개발과제에도 적용되고 있는 시험관련 단체표준(안) 개발 프로세스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개발된 단체표준은 건설관련 실험·시험시설을 보유한 기관(대학, 공공기관, 산업체 연구소 등)의 성능검증 시험, 신기술 및 신제품 인증 표준절차에 활용가능하며, 시방서와 설계기준에 KS표준과 같이 시험 및 검사방법에 있어 참조표준으로도 활용 가능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