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참여형 개선기법

Search Result 3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Effectiveness of Participatory Action-Oriented Training (PAOT) Methods for the Management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Manufacture Workers for Three-years (제조업 남자 근로자의 대사증후군 관리를 위한 참여형 개선기법(PAOT) 프로그램을 적용한 3년간의 효과분석)

  • Lee, Jungsuk;Kam, Sin;Yoon, Seongyong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 /
    • v.25 no.4
    • /
    • pp.384-393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Participatory Action-Oriented Training (PAOT) programs in korean manufacture workers with metabolic syndrome for three years. Methods: A total of 890 workers with risks of metabolic syndrome were recruited from one workplace. The experimental group (n=51) received PAOT program for the preventive management on metabolic syndrome, while the control group (n=51) received conventional program. Resul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PAOT program, percentage of achieved action plans was 73.4% at three months, 75.8% at six months, 82.8% at three years. After three years, the rate of risk factor in the experimental group h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1.94{\pm}1.77$ to $0.76{\pm}1.25$ for moderate exercise, and from $1.72{\pm}2.01$ to $1.04{\pm}1.59$ for the strenuous exercise.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h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125.06{\pm}11.83$ to $117.65{\pm}19.94$, from $83.45{\pm}13.38$ to $76.39{\pm}8.09$ mmHg. In addition, risk factor score also decreased from $3.31{\pm}0.61$ to $1.41{\pm}0.89$. Conclusion: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PAOT program for the management of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there is a need to continue implement programs and analyze the long-term effects are required in the workplace.

<Field action report>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articipatory Action Oriented Training(PAOT) for Improvement of Agricultural Working Environment in Korea (<사례보고> 농작업 환경개선을 위한 한국형 참여형 개선활동 교육(PAOT)의 개발과 실제 적용 사례)

  • Kim, J.S.;Woo, K.H.;Min, Y.S.;Kim, B.K.;Choi, K.S.;Park, K.S.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35 no.4
    • /
    • pp.417-427
    • /
    • 2010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the Participatory Action Oriented Training (PAOT) program and training materials for improvement of agricultural working environments. Methods: The PAOT manual and checklist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original English version of the training materials, a questionnaire survey of agricultural health and safety professionals, and a brainstorming conference. Good example pictures were collected through visits to agricultural workers' houses, and an easily understandable picture was drawn by an animation specialist. A PAOT action manual and five types of action checklists were developed for use in different agricultural environments. Each action checklist contained six categories and 38 items of agricultural health and safety principles; the six categories were material storage and handling, work stations and tools, machine safety, physical environment, working schedule and organization, and basic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Incorporating these training materials, a one-day Korean PAOT program was developed. Results: Among 307 candidate agricultural workers from four rural Korean villages, 94 workers (59 males, 35 females) participated in a PAOT from July 2007 to Oct 2008. The PAOT program was successful and the mean self-estimated satisfaction score of the participants was greater than 90%. Conclusions: A Korean PAOT program and training materials were successfully developed and applied to Korean agricultural workers. Although more studies are needed, it is expected that PAOT will greatl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agricultural working conditions and health and safety through the use of agricultural workers' self initiatives.

Study on establishment of a governance for agricultural NPS pollution management (농업비점오염 관리를 위한 참여단위 거버넌스 구축 연구)

  • Jang, Jeong Ryeol;Um, Han Yong;Park, Hyeong Min;Jo, Young J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9-29
    • /
    • 2016
  • 새만금호의 목표수질 달성과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해서는 비점오염 관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새만금호 상류 유역은 농경지 비율이 38%로서 높아 농업활동에서 유래하는 농업 비점오염원의 효과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농업비점오염 저감기술의 개발하는 물리적 기술적 접근만이 아니라 농업인과 지역주민의 참여와 함께 행정적인 지원을 포함하는 사회 경제 문화적 접근을 포함하는 통합적인 접근 즉, 거버넌스가 요구된다. 이러한 거버넌스를 새만금유역의 농업비점 관리에 적용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새만금유역 농업비점오염관리 거버넌스구축 사업모델 개발"에 대한 연구를 2015년부터 2016년까지 2년간 추진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농업비점오염 관리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과 운영에 필요한 요소들을 도출하고 각각의 요소별 추진 프로세스를 개발하고 최종적으로 이를 상호 연계하여 운영하는 기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농업비점오염관리 거버넌스 구축의 접근 방향으로는 신규구축형과 기존정책사업연계형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된다. 거버넌스 시스템은 참여단위와 행정단위, 그리고 이것을 연계 지원하는 '중간지원조직'의 다층적 거버넌스 구조로 제안하였다. 참여단위 거버넌스는 공동체단위와 개별 농가단위의 참여 프로그램으로 설계하였다. 특히, 참여단위 거버넌스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커뮤니티비즈니스 육성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1차년도(2015년)에는 신규구축형을 중심으로 진행을 위하여 전라북도 부안군 백산면 용계리를 연구대상 지구로 선정하였다. 참여단위 거버넌스 구축을 위하여 연구대상 지구에서 우리 마을과 물 이야기, 우리마을회의 등 통하여 주민이 생각하는 지역의 역사와 문화 등 잠재자원을 발굴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침체된 마을 공동체를 마을길을 연결하여 다시 활성화 하고, 물이 흐르는 마을도랑으로 가꾸고, 단절된 이웃간 마음을 연결하기 위한 "마을길-물길-마음길 연결" 커뮤니티 비즈니스 프로젝터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거버넌스구축 프로그램의 정보의 공유와 확산을 위하여 커뮤니티 비즈니스 안내판을 설치하고, 마을소식지(청파)를 제작배부하고 거버넌스구축 과정을 담은 마을영상다큐 제작을 진행하였다. 2차년도에는 커뮤니티 비즈니스 심화과정을 운영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농촌지역의 비점오염관리를 위한 거버넌스구축 등 정책 및 제도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ideo Metadata Player for Mobile Environment (모바일 환경을 위한 메타데이터 비디오 플레이어 설계 및 구현)

  • Lee, Don-Su;Hong, Seung-Pyo;Shin, Jung-Hun;Lee, Sa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a
    • /
    • pp.128-130
    • /
    • 2011
  • 동영상 데이타는 2차원의 이미지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3차원의 데이타로 볼 수 있으며, 동영상 내에 등장하는 객체 등의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검색하고 브라우징 하는데 복잡한 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메타데이터가 포함된 동영상을 모바일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브리우징 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대규모 메타데이터의 효율적 전송을 고려한 저장 구조 및 전송 방법을 개선하여 불필요한 네트워크 트래픽을 줄임으로서 네트워크 대역폭의 제약이 큰 모바일 환경에서도 어려움 없이 사용자 참여형의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한다.

Analysis of Perception Changes of Residents According to the resident competency education in Non-Point Source Contaminated Areas (주민역량교육에 따른 비점오염관리지역 농민들의 인식변화 분석)

  • Jeongha Lim;Minhwan Shin;Nayeong Yu;Hyunjung Lee;Dongji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65-465
    • /
    • 2023
  • 집중호우시 농경지에서 발생하는 흙탕물은 수질 및 수생태계를 오염시키며, 환경오염에 따른 사회·경제적 문제를 지속적으로 초래하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는 흙탕물 발생이 심각한 지역을 '비점오염원관리지역'으로 지정·고시하여 흙탕물 저감사업을 추진하였으나, 뚜렷한 성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정부의 흙탕물 저감사업은 저감시설 설치 등과 같은 구조적 방법에서 발생원관리 중심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다. 농경지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의 발생원관리를 위해서는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나, 아직까지 주민들의 비점오염원에 대한 인식이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민참여 거버넌스를 구축하여 주민들의 인식을 개선하고, 주민들의 참여를 유도하여 농촌지역 실정에 맞는 주민참여형 농업비점오염 관리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강원도 비점오염원관리지역인 가아지구 내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가아2리 마을일원으로, 본 연구의 참여농가는 총 10농가, 참여농지 면적은 21.81 ha이다. 참여농가를 대상으로2022년 10월 9일, 10월 16일, 10월 23일 총 3회에 걸쳐 주민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주기적인 설문조사를 통해 교육 진행에 따른 주민 인식 변화를 측정하였다. 설문조사는 교육참여자를 대상으로 3회 실시하였으며, 농업비점오염 개념, 최적관리기법의 이해, 비점오염저감 활동참여 의지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 점수에 대한 기준은 전혀아니다(1점), 그렇지않다(2점), 보통이다(3점), 그렇다(4점), 매우 그렇다(5점)로 선정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농업비점오염원의 대한 이해도는 1차 62점, 2차 66점, 3차 80점, 최적관리기법의 이해도는 1차 59점, 2차 64점, 3차 75점, 비점오염저감 활동참여 의지도는 1차 61점, 2차 73점, 3차 80점으로 나타났다. 1차 설문조사 결과 대비 3차설문조사 결과 농업비점오염의 개념 및 최적관리기법의 이해도는 22.5, 21.3% 증가하는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비점오염저감 활동참여 의지도는 23.8%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사 결과와 같이 교육을 통해 주민들의 인식이 전환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비점오염원 저감활동에 대한 의지가 표준 이상으로 나타나 주민 참여 거버넌스 구축 연구를 통해 실질적인 농촌 비점오염 관리가 가능할 것이라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and improvement of 'Integrated Type' teaching method for Adult Learners (Adult Learners를 위한 'Integrated Type' 교수법 적용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Cho, Woo-Hong;Jang, Young-Eun;Byon, Kil-Hee;Yun, Kyoung-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181-18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학습자 교과과정 '융합형' 교수법을 통해 학습자 특성에 맞는 수업방법을 적용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교수법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4차에 걸쳐 진행되었다. 1차 '융합형' 교수법 적용 탐색, 2차 교수법 적용 지도법 논의, 3차 교수법 적용 및 보완, 4차 학습자 만족도 조사 및 분석 체계로 이루어졌으며, '융합형' 교수법 적용으로 아동(보육) 관련 교과목, 청소년 관련 교과목 위주의 공통 융합지도(하브루타 교수법, PBL 교수법)가 담당교수 별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융합형 교수법'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현장연계 교과목 수업에 연계(아동, 청소년) 관련 기관과의 협력이 필요하다. 셋째, 학습자 전체가 참여할 수 있는 (토론회, 공청회) 등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다양한 자료, 기술, 기법을 통해 학습자의 동기유발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