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참싸리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8초

싸리류(類)의 재생능력(再生能力) (제(第)1보(報)) (Reproductive Capacity of the Genus Lespedeza(1))

  • 한영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5-38
    • /
    • 1974
  • 싸리류(類)에 대(對)하여 매년(每年) 베어서 이용(利用) 하였을 때 재생능력(再生能力)을 조사(調査)검토 하고저 싸리 조록싸리, 풀싸리, 늦싸리, 참싸리 종자(種子)를 1969년(年) 봄 $m^2$당 4g씩 난괴법에 의하여 6반복 파종하고 당년 10월말(月末) 성적을 조사(調査)한 후 지상부(地上部)를 베어 주고 1970년(年) 봄에 $m^2$당 6주(株)씩 난괴법에 의하여 6반복 식재(植栽)하였다. 1970년(年)부터 1972년(年)까지 10월말(月末) 건장(乾長) 근원경(根元徑) 및 맹아본수(萌芽本數)를 조사(調査)하고 매년(每年) 11월(月) 지상부(地上部)를 베어 주고 근주(根株)만 남겨 놓았다. 1. 건장(乾長) 근원경(根元徑)의 재생능력(再生能力)은 품종별(品種別) 주령별(株齡別) 1%가 넘는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있었으며 싸리, 풀싸리, 참싸리, 조록싸리, 늦싸리의 순위로 좋았다. 2. 맹아본수(萌芽本數)의 재생력(再生力)은 조록싸리, 늦싸리, 풀싸리, 싸리, 참싸리의 순위로 나타났으며 특(特)히 참싸리가 저조한 맹아력(萌芽力)을 나타내고 있음은 건장(乾長) 근원경(根元徑)의 순위(順位)와 차이(差異)가 있었다. 3. 싸리류(類)는 주령(株齡) 4년(年)까지는 매년(每年)베어서 이용(利用) 하드라도 퇴화하지 않고 재생력(再生力)을 가지고 주령(株齡)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건장(乾長) 근원경(根元徑) 주당(株當) 맹아(萌芽) 본수(本數)가 증가(增加)하였다.

  • PDF

참싸리 겹둥근무늬병균 Grovesinia moricola 동정 (Identification of Grovesinia moricola Causing Zonate Leaf Spots on Lespedeza cyrtobotrya in Korea)

  • 박지현;정복남;이상현;신현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69-74
    • /
    • 2020
  • 2017년 9월 춘천의 오봉산에서 참싸리 잎에 겹둥근무늬가 생기고 조기낙엽이 일어나는 등 큰 피해가 발견되었다. 병든 잎의 뒷면에는 원뿔형의 흰색 포자과가 다수 발견되었다. 2019년 9월 횡성의 태기산에서도 참싸리 잎에서 유사한 증상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증상에서 발견된 포자과의 형태적 특징으로 보아 이 곰팡이는 Grovesinia moricola와 일치하였다. 확보된 두 균주(KACC48417 및 KACC48934)의 IT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동정을 확인하였다. 이 곰팡이의 병원성은 상대습도 100%와 15±2℃의 조건에서 인공접종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이는 한국에서 참싸리와 G. moricola의 관계를 연구한 최초의 보고이다.

Bacillus subtilis가 함유된 목질계 인공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이 참싸리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ignocellulosic Artificial Soil Containing Bacillus subtilis on the Growth of Lespedeza cyrtobotrya)

  • Kim, Ji-Su;Jung, Ji young;Ha, Si Young;Yang, Ja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4호
    • /
    • pp.393-40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Bacilluls subtilis가 함유된 목질계 인공토양(피트모스:펄라이트:폭쇄처리된 참나무:미생물제형=3:1:3:3, w/w/w/w)을 제조 하였으며, 이를 대조구토양과 0%, 25%, 50%, 75% 및 100% 비율로 혼합하여 참싸리 종자 파종 후 소규모 야외포트 현장적용 하였다. 현장적용에 따른 대조구토양, 혼합토양(대조구토양+인공토양) 및 인공토양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고 참싸리 줄기 및 뿌리생장을 비교하였다. 혼합토양에서는 $0.04g/cm^3$ 이하의 용적밀도, 85 % 이상의 공극률, pH 4.3 - 4.7, 0.5 dS/m 이하의 전기전도도, 15.0 - 26.5의 탄질비, 23.6% - 43.2%의 유기물 함량 및 $157{\times}10^6CFU/g-624{\times}10^6CFU/g$의 미생물밀도를 나타냈다. 인공토양이 25% 및 50% 함유된 혼합토양에서는 참싸리 줄기 및 뿌리생장이 대조구토양보다 높게 나타났고 참싸리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토양 인자는 용적밀도, 공극률, 수분보유력, 탄질비, 유기물함량 및 미생물함량으로 나타났다.

염화칼슘과 친환경 제설제가 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lcium Chloride and Eco-Friendly Deicer on the Plant Growth)

  • 신승숙;박상덕;김호섭;이규송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87-498
    • /
    • 2010
  • 기존 제설제인 염화칼슘($CaCl_2$)과 유기산 제설제 EFD(Eco-Fridendly Deicer)가 식물의 생존과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도로주변의 주요 자생종인 소나무와 참싸리 그리고, 재배종인 열무와 강낭콩 유식물에 대하여 제설제의 농도 구배에 따른 생존과 생장반응을 분석하였다. 네 종중에서 참싸리는 제설제에 가장 민감한 생존반응을 보였다. 소나무의 생장은 제설제 종류와 농도변화에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참싸리와 강낭콩의 경우는 $CaCl_2$와 EFD1의 3%이상의 농도에 생장저해를 보였으나, EFD2에 대해서는 생장이 양호했다. $CaCl_2$에 대한 생존 및 생장반응으로 확인된 염에 대한 내성이 있는 식물은 열무와 소나무이었고, 민감한 식물은 참싸리와 강낭콩이었다. 화학약품으로 제조한 EFD1은 식물생장의 저해영향이 컸지만, 음식물쓰레기를 활용한 EFD2는 염에 내성이 약한 식물들에게도 생존 및 생장의 피해가 적음을 확인하였다.

싸리류(類)의 삽목시험(揷木試驗) (The Cuttings of the Genus Lespedeza)

  • 한영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5-50
    • /
    • 1973
  • 싸리류(類)에 대(對)한 선발된 우량개체 및 앞으로 육성(育成)될 신품종(新品種)에 대(對)하여 무성번식의 방법을 구명(究明)코져 조록싸리, 참싸리, 늦싸리, 싸리, 털근록싸리, 풀싸리를 공시재료로 하여 4월(月) 상순(上旬) 삽목직전 1년지(年枝)를 채취하여 삽수길이 15~20cm, 삽수굵기 3~4mm, 삽수상하단을 동일하게 타원형으로 조제하여 1,000배액의 "우수프론"으로 소독한 삽상길이 150cm의 모래상에 삽목하였으며 삽목후 해가림 관수를 하였다. 그 결과 교배에 의한 신품종 및 선발개체(選拔個體)에 대(對)한 무성번식이 가능함을 인정할 수 있었으며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싸리류(類)의 삽목발근율은 50.3~69% 로 품종간 차이를 인정할 수 있었으며 털조록싸리, 조록싸리의 발근율이 제일 높고 풀싸리가 제일 낮았다(유의 수준 1%). 2. 생육상황(生育狀況)은 조록싸리, 싸리가 좋았으며 풀싸리가 가장 불량했다. 3. 본당(本當) 뿌리수는 길이 5cm 이상만을 측정하였으며 털조록싸리가 6.4개로 제일 많고 풀싸리가 1.3개로 제일 적었다(유의수준 1%). 4. 본당(本當) 뿌리의 총연장은 털조록싸리 279.8cm, 조록싸리 200.1cm로 가장 길고 풀싸리는 41.1cm로 가장 짧았다(유의 수준 1%). 5. 본당(本當) 근류착생수는 직경 1mm 이상만을 조사하였으며 털조록싸리 34.4개, 조록싸리 27.1개로 제일 많고 풀싸리는 4.6개로 제일 적었다.

  • PDF

땅찌만가닥버섯균(菌)의 접종(接種)이 참싸리 묘목(苗木)의 균근형성(菌根形成)과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Lyophyllum shimeji Inoculation on the Mycorrhizal Formation and Seedling Growth of Lespedeza cyrtobortya)

  • 이상용;정주해;이종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3호통권160호
    • /
    • pp.146-152
    • /
    • 2005
  • 훼손된 비탈면의 조림에 균근균의 이용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하여, 땅찌만가닥버섯(Lyophyllum shimeji)의 배양학적 특성 및 인공접종에 의한 참싸리(Lespedeza cyrtobotrya)에서의 균근 형성 특성을 조사하였다. L. shimeji는 MP (1% malt extract, 0.1% peptone, 1% glucose, 1.5% agar)배지에서 균사 생장이 가장 왕성하였으며, 균사 최적 배양 온도 및 pH는 각각 $25^{\circ}C$ 및 pH 6 이었다. 인공접종에 의한 참싸리에서의 균근 형성 특성을 조사한 결과, L. shimeji는 Hartig net을 형성하는 외생균근의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균근 접종 실생 묘목 뿌리의 생장율은 대조구에 비하여 우수하였다. 균근 접종 실생 묘목을 비탈면에 이식하였을 때의 생존율 및 건중량은 각각 62% 및 850 mg/본 이었으나, 균근을 접종하지 않은 실생 묘목의 생존율 및 건중량은 각각 11% 및 430 mg/본 이었다.

정색반응(呈色反應)에 의(依)한 싸리속(屬)의 분류학적(分類學的) 연구(硏究) (Taxonomic Study of the Genus Lespedeza by Means for Colour Reactions)

  • 박종열;이창복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1-31
    • /
    • 1972
  • 화학약품(化學藥品)에 의(依)한 목재(木材)의 정색반응(呈色反應)을 이용(利用)하여 지피조성용(地被造成用), 사료자원, 밀원자원, 공예자원, 및 섬유자원으로서 중요시 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싸리 속(屬) 중에서 다음 7 수종(樹種)에 대한 분류상(分類上)의 식별점(識別點)을 조사(調査)하였다. (1) Lespedeza bicolor Turcz 싸리 (2) Lespedeza bicolor var. melanantha(Nak.) T. Lee 쇠싸리 (3) Lespedeza cyrtobotrya Miq. 참싸리 (4) Lespedeza japonica var. intermedia Nakai 풀싸리 (5) Lespedeza maritina Nakai 해변싸리 (6) Lespedeza maximowiczii Schneider 조록싸리 (7) Lespedeza maximowiczii var. tomentella Nakai 털조록싸리 처리 방법(方法)은 시료분말을 직접 염산에 처리하여 나타나는 정색반응을 검토하는 방법과 목재분말(木材粉末)의 methanol 침출액에 각종 시약을 적하한 후 그 정색반응을 관찰하는 두가지 방법을 적응했으며 시약으로는 $K_2Cr_2O_7$, $FeSO_4{\cdot}7H_2O$, $FeCl_3$, $KMnO_4$, $KH_2PO_4$, $NH_4OH$, HCl의 7 가지 시약을 사용하였다. 본 실험을 통하여 구명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 검색표와 같다. 1. 침출액에 $K_2Cr_2O_7$ 적하반응에서 chrome lemon으로 정색했다${\cdots}{\cdots}$2 1. 침출액에 $K_2Cr_2O_7$ 적하반응에서 sun flower yellow색으로 정색했다${\cdots}{\cdots}$털조록싸리 2. $KH_2PO_4$ 용액의 적하반응에서 oyster white, $FeCl_3$ 용액을 적용반응하면 golden yellows로 정색한다${\cdots}{\cdots}$3 2. $KH_2PO_4$ 용액을 적하반응시키면 cream 색을 정색한다${\cdots}{\cdots}$6 3. $NH_4OH$ 용액의 적하반응에서 oyster white, $FeSO_4{\cdot}7H_2O$ 적하반응에서 corn 색을 정색한다${\cdots}{\cdots}$4 3. $NH_4OH$ 용액의 적하반응에서 cream 색을 정색한다 ${\cdots}{\cdots}$5 4. $KMnO_4$ 용액의 적하반응에서 van dyke brown, HCl 주가가열반응에서 sea shall pink 로 정색한다${\cdots}{\cdots}$풀싸리 4. $KMnO_4$ 용액의 적하반응에서 sepia, HCl 주가가열 반응에서 honey 색을 정색한다${\cdots}{\cdots}$해변싸리 5. $FeSO_4{\cdot}7H_2O$ 용액의 적하반응에서 golden rod, 분말(粉末)에 직접 HCl을 첨가하여 andover green 색을 정색한다${\cdots}{\cdots}$쇠싸리 5. $FeSO_4{\cdot}7H_2O$ 용액의 적하반응에서 yellow ochre, 분말에 직접 HCl을 첨가하여 sand warm gray 색을 정색한다 6. $FeCl_3$ 용액의 적하법에서 amber graw 색을 정색한다${\cdots}{\cdots}$참싸리 6. $FeCl_3$ 용액의 적하법에서 leather brown 색을 정색한다$\cdots}{\cdots}$조록싸리.

  • PDF

참싸리 부위별(部位別) 과산화(過酸化) 동위효소형(同位酵素型)의 변이(變異) (Variation in the Pattern of Isoperoxidase Bands in the Four Parts of Lespedeza cyrtobotrya Miq.)

  • 한영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2-49
    • /
    • 1976
  • 참싸리 부위별 과산화동위효소형의 변이를 알고저 전기영동법에 의하여 효소형을 조사한 바, 동일 개체에서 동시에 채취한 동일부위의 과산화동위효소형의 변이는 없었으며 공동출현 "밴드"는 부위별로 차이가 있어 잎, 인피, 세근에서는 7번"밴드"자방에서는 35번"밴드"가 나타났으며 부위별 개체별 과산화동위효소형의 변이가 있었고 성숙된 잎을 제외하고는 개체간 과산화동위효소형의 색정농도에 차이가 있었다.

  • PDF

암반비탈면에 있어서 천공기법에 의한 녹화공법의 개발 - 참싸리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Revegetation Measures using Boring Technique in Rock Slopes - Focus on Lespedeza cyrtobotrya -)

  • 마호섭;강원석;박진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4호
    • /
    • pp.558-564
    • /
    • 2011
  • 암반비탈면에 천공기법을 이용하여 녹화기반을 조성한 후 배양토 및 토양처리별 식생플랜트를 설치하고 녹화식물의 초기 생육특성을 조사하여 암반비탈면의 녹화 공법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였다. 녹화기반 조성 후 배양토별 참싸리(L. cyrtobotrya)의 배양토에 따른 발아량은 산림부식토 23개체(19.2%), 산림표층토 22개체(18.3%), 혼합토 12개체(10.0%), 일반상토 1개체(0.8%)의 순으로 총 58개체가 나타났다. 월별 생장량의 변화 결과, 비탈면 방향은 북서방향, 배양토는 혼합토, 토양처리는 미생물처리가 참싸리의 생장량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었다. 생존 개체수와 생장량의 주 효과는 비탈면 방위, 배양토, 토양처리이며, 각 요인 간 상호작용 효과는 비탈면 방위 ${\times}$ 배양토, 비탈면 방위 ${\times}$ 토양처리, 배양토 ${\times}$ 토양처리가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탈면방위 ${\times}$ 배양토 ${\times}$ 토양처리의 상호작용 효과도 매우 커 참싸리의 월별 생장량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암반비탈면의 효과적인 녹화를 위해서는 천공지점의 선정이 매우 중요하고, 식생플랜트내 배양토 및 종자의 유실을 보호하고 조기 발아를 위하여 미생물 및 멀칭처리 등도 매우 필요하였다.

싸리류(類)의 재생(再生) 능력(能力) (II) (Reproductive Capacity of the Genus Lespedeza (II))

  • 한영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5-18
    • /
    • 1977
  • 싸리류(類)에 대(對)하여 매년(每年) 베어서 이용(利用)하였을 때 재생능력(再生能力)을 조사(調査)하고저 싸리, 조록싸리, 풀싸리, 늦싸리, 참싸리 종자(種子)를 1969년(年) 봄 $m^2$당(當) 4g씩 난괴법에 의하여 6반복 파종(播種)하고 당년(當年) 10월말(月末) 성적(成績)을 조사(調査)한 후(後) 지상부(地上部)를 베어주고 1970년 봄에 $m^2$당(當) 6주(株)씩 난괴법에 의(依)하여 6반복(反復) 식재(植栽)하였다. 1970년(年)부터 1976년(年)까지 10월말(月末) 간장(幹長) 근원경(根元徑) 및 맹아본수(萌芽本數)를 조사(調査)하고 매년(每年) 11월(月) 지상부(地上部)를 베어주고 근주(根株)만 남겨 놓았다. 1. 간장(幹長) 주당맹아본수(株當萌芽本數)의 재생능력(再生能力)은 품종별(品種別) 주기별(株畿別) 통계적(統計的) 유의성(有意性)을 인정(認定)할 수 있었으며 간장(幹長)의 재생능력(再生能力)은 싸리가 주당맹아본수(株當萌芽本數)은 조록싸리가 가장 좋았다. 2. 싸리류(類)를 매년(每年) 벌채(伐採)하였을 때 간장(幹長) 주당맹아본수(株當萌芽本數)의 재생능력(再生能力)의 극대치(極大値)는 주령(株齡) 5년(年)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