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참고사서

Search Result 119,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formation and Library’ Subject and a Prospect for School Libraries (초ㆍ중등학교 ‘정보와 도서관’ 교과와 학교도서관 전망 연구)

  • 함명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2.11a
    • /
    • pp.7-20
    • /
    • 2002
  • 학교도서관은 그 어느 때보다도 높은 관심 속에서 발전하고 있다. 그림에도 불구하고 학교도서관을 운영할 사서교사의 배치는 난관에 부딪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도서관의 고유한 역할인 참고봉사의 기능을 학교 교육과 연계시켜 한가지 해결책을 제시한다. 도서관 업무의 꽃이라고 하는 참고봉사는 기본 2대 기능이 정보와 교육에 있다. 이중에서 교육 기능의 측면에서 어떻게 사서교사를 학교도서관에 배치할 수 있는가하는 점에 초점을 두고 이 논문을 전개한다. 또 본고에서는 국내외 정보이용 교육과정, 초ㆍ중등학교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의 구성과 기반 이론, 향후 현장 학교도서관과 학계에 미칠 교과교육학의 영향,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의 정책 방향 등에 대해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developing the guidelines for the Collaborative Digital Reference Service in Academic Libraries (국내 대학도서관의 협력형 디지털참고정보서비스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연구)

  • Ko, Ah-Reu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0.08a
    • /
    • pp.111-116
    • /
    • 2010
  •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의 협력형 디지털참고정보서비스가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필요한 조건 중 가장 근본이 되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그동안 가이드라인이 필요하고 성문화되어야 한다고 지속적으로 논의되어왔지만 아직까지 체계화되지 못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 협력형 디지털참고정보서비스를 제공할 참고사서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 및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국내 상황에 맞는 가이드라인 요소를 파악하고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가 제시한 국내 대학도서관의 협력형 디지털참고정보서비스 가이드라인은 향후 서비스 계획 및 운영에 있어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Building a Model of Digital Reference Services (디지털참고봉사 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 Kim, hwi-Choo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5 no.3
    • /
    • pp.117-133
    • /
    • 2001
  • This study presented the necessity of the development of a digital reference service systems as a method for direct information service in the library on the interne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commonalities for building a model of digital reference service. This study used qualitatives methods(elite interviews and document analysis) to extract accumulated knowhow from fourteen expert services sites which are similar with reference services in the library. For effective management of the digital reference service, it is necessary to have a digital reference service librarian who is well versed in the inner workings of the service and in the knowledge the service deals with.

  • PDF

미국의 사서직 윤리강령

  • Kim, Jeong-Geun
    • KLA journal
    • /
    • v.9 no.8
    • /
    • pp.21-22
    • /
    • 1968
  • 전문직의 특징을 우리는 두가지로 말할 수 있다. 첫째 전문직이 수행하는 일의 성격이 관례적이며 일상적인 것이 아니고 지적인 판단력을 요하는 것이라는 점이다. 둘째 전문지그이 일은 그 목적이 개인의 금전적 이익에 있지 아니 하고 대사회봉사에 있다는 점이다. 바로 이 점이 전문직단체에서 윤리강령을 표방하게 되는 소이이다. 그래서 어떤 이들은 전문직의 특징을 말할 때 첫째 일의 성격이 지적이란 것과 둘째 직업윤리강령을 갖고 있다는 것을 들기도 한다. 지금 우리나라에서는 사서직이 전문직으로서 그 기반을 굳히려고 안간힘을 쓰는 중에 있다. 여러 가지 방면의 노력이 요구되겠지만, 외국의 선예에 따라 한국사서직의 윤리강령을 제정하는 일이 우리 앞에 놓인 한가지 중대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우리가 이 작업을 시작할 때 참고가 될까싶어 미국의 사서직윤리강령을 번역ㆍ소개하는 바이다. 여기에 싣는 전문을 포함하여 28조목에 걸친 내용은 1938년 ALA에 의하여 채택된 이래 지금까지 통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현재 미국에서는 본강령에 대한 개정안이 제시되어 관계인들에 의하여 검사중에 있음을 부기하여 둔다.

  • PDF

A Study on Developing a Model of a Liaison Training Program for Academic Librarians in Korea (대학도서관 리에종사서 교육훈련 프로그램 모형 개발)

  • Park, Soo-Hee;Jeong, Dong-Yo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6 no.4
    • /
    • pp.311-33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of a liaison training program for academic librarians in Korea. The liaison training program model has been developed based upon the literature review and surveys about liaison training practices in foreign countries Expert interviews and case analyses were conducted to demonstrated its feasibility and applicability. This study found that this model identifies core competencies of academic liaison librarians and it helped developing guidelines by the level of each task: basic and advanced exercises, references, and worksheets.

A Study on Help-Desk Knowledge Management (Help-Desk 지식관리에 관한 연구)

  • Chang, Woo-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4.08a
    • /
    • pp.141-145
    • /
    • 2004
  • Help-Desk 서비스는 도서관 현장에서 사서가 이용자와 직접 대면하는 서비스로 이용자가 도서관을 이용할 때 일어나는 커뮤니케이션이다. 이는 최초의 지식관리활동이다.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다양하게 제공되고 발생되는 Help-Desk 서비스는 이용자 질문-해답서비스, 이용자 교육서비스, 참고정보서비스, 전자우편서비스, 전자게시판, 개인정보관리, SDI, 공개자료, 교수연구지원서비스 등이다. 이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의 Help-Desk 서비스 실태를 조사·분석하여 사서와 이용자 사의의 바람직한 지식관리유형으로서 Help-Desk 지식관리를 제시하고자한다.

  • PDF

A Study on the Digital Reference Service using Electronic Bulletin Boards in Academic Libraries through Content Analysis (내용분석을 통한 대학도서관 디지털 참고정보서비스(전자게시판) 활성화에 관한 연구)

  • Park, Hee-Jin;Park, Sung-J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0 no.4
    • /
    • pp.175-193
    • /
    • 2013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digital reference services using electronic bulletin boards in Korean academic libraries and to suggest improvements. Through the examination of 205 academic library websites, 56 libraries were identified to use electronic bulletin for digital references. The digital reference service questions and responses from four libraries were further analyzed: the types of reference question, the structure and accuracy of answers, and digital reference completion tim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lie in its provision of a systematic way to design practical guidelines for virtual reference services.

A Study on the Cooperation Model for Virtual Reference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공공도서관 가상참고봉사 협력모형개발을 위한 연구)

  • Cha, Mi-Kyeong;Kim, Soo-J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0 no.4
    • /
    • pp.367-383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actical model for enhancing cooperative virtual reference services of public libraries in the nation. The research methods include an examination of model cases from Europe and the V.S. and also an electronic questionnaire survey of 375 public librarians (73% response rate). The study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a collaborative virtual reference room' which consists of the collaborative reference database, virtual reference desk, guidance and instruction designed by age groups and/or subjects.

도서관 운영에 있어서의 시스팀 접근법의 응용

  • Kim, Du-Hong
    • KLA journal
    • /
    • v.13 no.12
    • /
    • pp.16-21
    • /
    • 1972
  • 시스팀 분석은 사서들이 할 수 있으며, 반드시 정밀한 기술적 작업을 내포하고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시스팀 분석과 플로우차아트 기법의 장점은 , 분석자에게 제 과정을 차근차근 분석하고, 결함과 이중적 노력을 확인하여 제거하도록 강요하는데 있다. 본기에서 분석된 비교적 단순한 하부 시스팀(참고실)에서는, 그 주된 결함이 확인되었으며, 한 권의 필요한 참고도서를 검색하는 데 고객이 2분을 절약할 수 있는 개선된 시스팀을 시사하고 있다. 개선된 시스팀을 실시하게 되면 $ 152의 착수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되며, 유지비는 무시할 정도이고, 연간 $ 2,000에 상당하는 고객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 PDF

Using Value-Added Processes to Assess the Value of Information (참고 업무의 전문가 대체 시스템에 관한 시험적 연구)

  • Sin, Eun J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6 no.1
    • /
    • pp.71-92
    • /
    • 1989
  • The spectrum of values stretches from intrinsic value to practical value, consisting of exchange value anduse value. Because of its own nature and perspective in assessing information, there are some problems ofassessing its value. As a framework of assessing value of lnformation, Taylor developed the value-addedmodel of information. Although the model has sl~ortcomings which do not apply measures and scales tomformation value, it can be a framework in assessing the value of mform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