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착화

검색결과 832건 처리시간 0.03초

GIS를 이용한 영동지역의 부위별 산불위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moke Release for Architectural Surface Material)

  • 박영주;이해평;이시영;황미정;이형석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401-40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산불위험도를 예측하기 위하여 GIS를 이용하여 산불위험지도를 작성하였다. 산불위험지도 작성을 위한 자료 수집은 수종별 및 부위별 착화시간과 착화 후 화염지속시간 데이터, 강원도 삼척시 식물군락명 속성정보가 이용되었다. 연구결과, 가지와 수피부위는 유사한 구역에서 착화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착화 후 화염지속시간이 긴 것으로 분류되어 산불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엽의 경우는 동일 구역에서 착화위험성은 높으나 화염지속시간이 짧은 상반되는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라산 분포수종의 착화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gnition Characteristics of Several Species on the Distribution in Mt. Halla)

  • 박영주;오진열;이시영;이해평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530-53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한라산 산림 연료의 산불발생에 대한 위험성을 고찰하고자 16종의 고도별 분포수종 생엽을 대상으로 발화온도시험기와 콘칼로리미터 시험기를 이용하여 착화특성을 분석하였다. 함수율을 측정한 결과, 98~248% 정도의 범위 내에서 수종별로 차이가 나타났으며, 무염착화온도는 $251{\sim}383^{\circ}C$ 온도구간에서 수종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선정된 시료들 가운데 조릿대의 함수율과 발화온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릿대, 털진달래, 개서어나무들은 발염착화가 일어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조릿대는 다른 수종들에 비해서 가장 빠른 시간에 착화가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점화안전장치용 격벽 착화모듈 설계 및 신뢰도 분석 (Design and Reliability Analysis of the Through Bulkhead Initiation Module for Arm-Fire-Device(AFD))

  • 장승교;차홍석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8년도 제31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73-276
    • /
    • 2008
  • 오링을 사용하지 않고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점화안전장치용 격벽 착화모듈을 설계하였다. 격벽 착화모듈은 도우너 화약에 의해 발생한 충격파가 격벽을 통해 억셉터 화약에 전달되었을 때 동작한다. 격벽 착화모듈의 구조적 안전성을 구조해석을 통해 확인하였고 점화 성능은 10cc 밀폐용기 시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동작시험 결과를 토대로 통계적 처리방법인 Probit Method를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을 하였다. 신뢰도 분석 결과를 통하여 격벽 착화모듈의 중요한 설계변수인 격벽두께를 결정하였다.

  • PDF

액적 배열의 증발과 착화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Study of Evaporation and Ignition of in-line Array Liquid Droplets)

  • 김충익;송기훈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37-47
    • /
    • 1999
  • 부유중인 분진의 화재 및 용기 또는 파이프의 미세한 균열에서 비산되는 가연성 액체의 분무화재의 위험성은 착화후의 고속 확산과 높은 열방출율로 인하여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한 연구는 주로 실험적으로나 또는 거시적인 관점의 해석으로 제한되어 왔다. 본 연구는 미시적인 관점의 해석으로서 분진 및 분무를 가연성 미세 액적으로 가정하여 그의 증발과 착화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첫 단계로서 일열의 액적 배열을 계산영역으로 하여, 비정상 이차원 보존방정식들을 적용하였다. 수치해석은 일반화된 비직교 좌표계를 사용하였고, 화학반응은 Arrhenius의 법칙에 의하여 반응속도가 제어되는 일단계 반응을 고려하였다. 계산결과는 액적 주위의 온도와 반응물질의 농도분포를 시간에 따라 보여준다. 주위의 산소가 증발하는 액적의 연료와 섞이기 시작하고 착화 조건에 다다르면, 급격한 발열반응이 예혼합된 가스로부터 일어나기 시작한다. 최대온도 영역은 점차적으로 액적 표면으로 이동하며 최대온도는 착화이후 급격히 상승한다. 연료와 산소의 농도는 최대온도 영역 근처에서 최소값을 보인다. 따라서 착화순간에는 예혼합연소의 양상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에는 예혼합 가스의 소멸로 확산연소의 양상을 띠게 된다. 액적간의 거리는 중요한 요소로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부터 액적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착화지연 시간이 줄여들어 착화가 빨리 일어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착화 후에는 최대온도 영역이 일열의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중심부근의 산소가 먼저 소모되고 외부로부터의 산소공급도 화염에 의해 차단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번 연구로 미세적인 착화현상에 대한 이해를 높이게 되었고 추후 복잡한 배열에 대한 연구도 가능할 것이다.

  • PDF

8배위 터븀 (III) 착화합물의 합성과 Photoluminescence 특성 (Photoluminescence properties of eight coordinated terbium(III) complexes)

  • 윤명희;김연희;최원종;장주환;최성호
    • 분석과학
    • /
    • 제24권6호
    • /
    • pp.451-459
    • /
    • 2011
  • 3종의 8배위 터븀 착화합물 [tris (2-pyrazinecarboxylato) (phenanthroline) terbium (III), tris (5-methyl-2-pyrazinecarboxylato) (phenanthroline) terbium(III) 및 tris (2-picolinato) (phenanthroline) terbium (III)]을 합성하고, 이 화합물을 FT-IR, UV 및 XPS 사용하여 특성평가 하였다. 또한, PL 스펙트라를 통하여 합성된 터븀 착화합물은 강한 녹색 형광을 방출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시간 분해 분광분석기를 통하여 합성된 터븀 착화합물의 형광 반감기가 0.87 ms 및 1.0 ms임을 알았고, 열분석을 통하여 합성된 터븀 착화합물의 열안정성은 $333-379^{\circ}C$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CV를 통하여 합성된 터븀 착화합물의 경우 HOMO-LUMO 에너지 차이가 4.26~4.41 eV를 나타냈는데, 이것은 UV-visible 스펙트라에서 얻은 값과 유사한 값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제조된 터븀 착화합물은 초록색을 발광하는 디바이스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Dowex 21K XLT 수지를 이용한 산업폐수 내의 금-시안 착화합물의 선택적인 연속흡착 및 회수 (Selective Continuous Adsorption and Recovery for Gold-Cyanide Complex in Industrial Wastewater Using Dowex 21K XLT Resin)

  • 전충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35-39
    • /
    • 2015
  • Dowex 21K XLT 수지를 이용하여 산업폐수 내에 존재하는 금과 납-시안 착화합물에 대한 연속흡착 및 회수 특성을 조사하였다. 충전층에 충진된 Dowex 21K XLT 수지는 0.5mL/min의 유입유속에서 금-시안 착화합물을 520 bed volume까지 95% 이상 연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지만, 납-시안 착화합물은 전혀 제거할 수 없었다. Dowex 21K XLT 수지에 흡착된 금-시안 착화합물은 HCl과 Acetone을 7:3의 비율로 섞은 혼합액을 탈착제로 이용하였을 때, 8 bed volume 내에서 96% 탈착되어졌다. 또한 두 번 재사용된 Dowex 21K XLT 수지의 금-시안 착화합물에 대한 bed volume이 490을 유지하여 향후 금 이온을 포함하고 있는 산업폐수 처리공정에 충분히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유사 화재에 대한 방염처리 합판의 착화 지연효과 연구 (A Study on the Ignition Delay Effect in the Reduced-Scale Fire by Flame-Resistant Treated Plywood)

  • 이승현;김황진;이성은;오규형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80-187
    • /
    • 2011
  • 본 논문은 다중이용업소와 목조건축물에 자주 사용되는 미송합판에 방염처리를 하여 유사 화재를 구현하고, 그 화염 세기에 따른 방염의 실효성을 실험한 것이다. 방염처리를 하면 화재 시 가연물의 초기착화시간을 지연시켜 화재성장속도를 늦출 수 있고, 원활한 소화활동을 가능하게 해준다. 하지만 어느 정도 화재가 진행되어 화염이 거세지면, 45도 연소시험을 통한 방염기준을 충족하여도 그 성능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한다. 따라서 45도 연소시험 시 사용되는 65mm의 불꽃보다 큰 화염상태(초기착화 이후의 상태)에서 방염처리한 내장재(미송합판)의 방염성능이 유지되는지의 여부를 실제로 입증하고 그 근거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실험에서는 화재의 규모(화염의 세기)를 달리하여 각기 다른 종류의 방염제로 방염 처리한 미송합판의 착화 시 화염온도, 복사열 유속 그리고 착화지연시간을 파악하였으며, 45도 연소시험과 관련하여 방염성능을 분석하였다. 45도 연소시험의 경우 실험에 사용한 방염 처리 합판은 방염성능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규모 유사 화재로 직경 10cm 연소용기를 사용한 연소실험에서는 방염 처리한 합판의 착화지연시간이 평균적으로 대규모 유사 화재실험보다 길어 어느 정도는 방염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규모 유사 화재로 1단위 유류화재 연소용기를 사용한 연소실험의 경우 열방출율이 커 형성된 탄화막이 무분별하게 박리되고 발화가 일어나 착화지연시간의 차이를 구별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방염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 PDF

격벽착화기 노화특성 연구 (Study on Aging Characteristics of Thru-Bulkhead Initiator)

  • 강원규;장승교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43-51
    • /
    • 2020
  • 고폭화약을 이용한 격벽형 착화기를 가속노화 후 성능시험을 수행하여 노화특성을 확인하였다. 격벽형 착화기는 마이크로 착화기에서 발생한 충격파가 격벽을 통해 엑셉터 화약과 점화 화약에 전달되어 동작한다. 제품에 대한 수명평가를 위해 수명연한에 따른 가속노화 조건을 설정하고, 매 주기마다 시료에 대한 점화 성능을 10cc 밀폐용기 시험을 통해 작동지연시간과 최대압력을 측정하여 요구규격 만족여부를 확인하였고, 분산분석을 통해 노화여부를 판단하였다.

격벽착화기 화약의 충격파와 민감도 분석 (Analysis on Shock Wave and Sensitivity of Explosives in Through-Bulkhead Initiator)

  • 장승교;황정민;백성현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6-43
    • /
    • 2017
  • 격벽착화기의 최적 설계를 위하여 여폭약에 의해 생성되는 충격파의 감쇄 특성과 수폭약의 민감도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충격파의 감쇄 특성은 레이저 광간섭계인 VISAR를 이용하여 측정한 격벽의 자유 표면 속도로부터 유도하였고 수폭약의 민감도는 SSGT (Small Scale Gap Test) 결과로부터 구하였다. 격벽착화기의 기폭시험을 통하여 SSGT로부터 구한 화약의 민감도가 격벽착화기와 같이 소량의 화약을 사용하는 시스템에는 충격파 지속 시간이 상이하여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아미노 치환 피리딘-물 착화합물의 수소결합에 대한 DFT 연구 (DFT Studies on Hydrogen Bonding in Water Complexes of Amino-substituted Pyridine)

  • 이갑용;김옥주
    • 대한화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96-103
    • /
    • 2003
  • 피리딘-물 착화합물을 포함한 아미노 치환 피리딘-물 착화합물의 수소결합 상호작용에너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Density Functional Theory(DFT) 계산을 수행하였다. 아울러 피리딘 및 아미노 치환 피리딘 분자들의 몇가지 평형구조의 성질을 B3LYP/aug-cc-pVDZ 수준에서 구하였다. 그 결과 피리딘의 아미노 치환은 피리딘의 양성자 친화도를 증가시키고 수소결합을 안정화시킴을 알았다. 물과의 착화합물 형성에 따른 안정화 정도는 아미노기의 수와 치환 위치에 따라 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