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착염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초

Imidazole 및 그유도체의 금속착염에 관한 Polarograph 연구 (II) (Polarographic behavior of Cd(II) and Ni(II) ions in the presence of imidazole groups(II))

  • Kim, Joon Yong;Shin, Joung Hee
    • 약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73-84
    • /
    • 1972
  • 단백질과 전이금속 이온들과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단백질중의 이미다졸기 및 아미노산의 반응성은 중요하다. Cd(II)-2-메틸이미다졸 착물들의 경우 이미다졸 분자중의 결합측은 "피로올"형 보다 오히려 "피리딘" 질소임을 알 수 있다. 이 착물들의 환원파는 가역적이며 2전자반응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이미다졸 존재하의 Ni(II) 이온은 촉매파를 나타내며 Ni(II) 이온만의 환원파는 불가역성인 것에 비해 가역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그 반파전위는 Ni(II) 이온만의 반파전위보다 수백 mV 양전위로 이동된다. 이러한 성질은 전극 반응에 관여한 주물질이 전극 표면에서 흡착되어 환원되기 때문이다. 이미다졸 농도의 대수값에 대해 반파전위를 도시했을 때 그 기울기가 30mV로써 이론치와 일치한다. 한편 $Cd(II)-2CH_{3}Im$의 단계적 생성항수 $pK_{1},pK_{2},pK_{3},pK_{4}$는 각각 2.68, 4.01, 4.90, 5.36이었다.4.01, 4.90, 5.36이었다.

  • PDF

금속-Ligand 착염형성에 의한 중금속(重金屬) 제거(除去) 방법(方法)에 관한 연구(硏究);유기 Ligand의 종류와 농도(濃度) 영향(影響) (Application of Principle in Metal-Ligand Complexation to Remove Heavy Metals : Kind and Concentration Effects of Organic Ligands)

  • 양재의;신용건;김정제;박정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43-252
    • /
    • 1992
  • 금속-유기리간드 착염형성반응을 이용한 중금속 제거 방법을 연구하기 위하여, 리간드의 종류 및 농도가 침전형성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부식산의 처리농도 증가는 금속과의 복합체 형성을 통해 Cu, Pb의 제거효율을 높였으나, 부식산의 일정 농도에서 최대의 침전형성을 보였다. 최대의 침전을 형성할 수 있는 부식산의 농도는 Cu의 경우 $53{\sim}289$, Pb의 경우 $42{\sim}315mgC/L$로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제거 효율은 금속을 $200{\sim}1000{\mu}\;M$ 처리시 Cu가 $13{\sim}65%$인데 반해, Pb은 $70{\sim}95%$로 높았다. l00mg의 부식산으로 제거할 수 있는 최대량은 Cu가 7.5mg($11.8{\mu}\;mol$)이었고, Pb은 34.1mg($16.5{\mu}\;mol$) 정도였다. 훌브산의 농도와 중금속과의 복합체형성의 관계는 Cu는 Freundlich model에 Pb는 Langmuir model에 유의성있게 부합되었다. 훌브산은 용액중의 Pb을 거의 100% 제거할 수 있었으나 Cu의 제거효율은 $13{\sim}29%$에 불과했다. 중금속 제거효율을 비교해 볼때. 부식산, 훌브산 모두는 Cu보다는 Pb를 효율적으로 제거 하였다. 유기리간드의 종류를 비교해 볼때 Cu의 경우 부식산, Pb의 경우 훌브산에 의한 제거효율이 유의성있게 높았다. 실험결과를 통해, 중금속-리간드 복합체형성반응은 유기리간드의 종류, 농도, 중금속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복합체 형성 후 분리방법 등에 관한 연구 보완이 이뤄진다면, 유기리간드를 이용하여 수용액으로부터 중금속을 제거할 수 있는 가능성은 크다고 사료된다.

  • PDF

Ni-Monoethanolamine 착염의 폴라로그라피- (A Polarographic Study of Nickel-Monoethanolamine Complex)

  • 손병영;양재현
    • 대한화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21-123
    • /
    • 1965
  • Ni(II)-Monoethanolamine(MEA)錯鹽의 水銀電極表面에 있어서의 還元反應의 反應機構를 폴라로그라프법을 써서 解明하였다. 이 錯鹽의 電極環元의 可逆程度를 直流 및 交流 폴라로그람으로 檢討하였더니 pH가 9.0보다 낮은 範圍에서는 錯鹽의 反應電流로 推測되는 非可逆性波를 나타니고 pH $9.5{\sim}11.0$ 사이에서는 Cd(II)波에 相當하는 比較的 可逆的인 well defined wave를 얻었다. MEA의 濃度와 pH를 變함으로서 얻은 波를 檢討한 結果 還元波는 이를 ligands와 빠른 平衡에 있는 Ni錯鹽에 基因하고 이 錯鹽의 化學式은 $Ni(MEA)_3OH$이고 總安定度常數는 約 $10^{20}$임을 밝혀내었다.

  • PDF

2-Methoxy-5-Nitrophenol 금속착염의 화학적 성질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operties of 2-Methoxy-5-Nitrophenol Complex Salts)

  • 김선덕;우세홍;김명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1-27
    • /
    • 1974
  • This work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emical properties of the chelate compounds which were produced with 2-methoxy-5-nitrophenol(MNG) and metal salt such as copper nitrate and manganese nitrate. And obtained results were as in the followings. 1) The binding ratio of the chelate compounds formation were determined by using the molar ratio concentration method and their chemical structures were identified by IR-spectrum. 2) In the absorbance measuring, 2-methoxy-5-nitrophenol coordinated with manganese and copper showed the maximum absorbance at $430 m\mu$ and $410 m\mu$ respectively. 3) The binding ratio of chelated compounds were measured by molar ratio method and continuous variation method with spectrophotometer, which was identified as 1:2. 4) The conditional formation constant(log Kn value) of manganese and copper chelate compounds were 6.70, 6.75,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equation of $log\frac{A-AM\circ n MNG}{AMm MNG-A}=n log (M\circ)+log Kn$ 5) The dissociations degree of manganese and copper chelate compound were $2, 300{\times} 10^{-7}$, $2, 346{\times} 10^{-7}$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molar calculation method.

  • PDF

세척을 통한 중금속(Cd, Zn)으로 오염된 토양의 정화 (Remedi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by Washing Process)

  • 백정선;현재혁;조미영;김수정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5-54
    • /
    • 2000
  • 본 연구는 중금속(Zn, Cd)으로 오염된 토양을 여러 세척 용제(물, mineral acid, chelating agent, organic acld)를 가지고 탈착시켜 제거하는 실험으로 pH와 농도에 따라 회분식과 연속식 실험을 병행하였다. 물과 NaOH에 의한 세척 효과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HCI, EDTA, Oxalic acid에 의한 세척 효과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HCI에 의한 세척효과가 가장 높은 이유는 낮은 pH에 의한 중금속의 이온화 현상에 의한 것으로 사료되며 EDTA, Oxalic acid의 효과가 높은 것은 용해도를 증가시켜 중금속 이온과 많은 착물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또한 Zn이 Cd보다 대체적으로 탈착율이 좋았으며 일반적으로 제거 경향은 pH가 낮을수록, 세척 용제의 농도가 높을수록 탈착율이 증가하였다.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 복원시 Zn의 세척 용제로는 HCI 과 EDTA를, Cd의 세척 용제로는 HCI과 Oxalic acid를 가지고 세척을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정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전기화학처리와 HClO 처리를 통한 폐수중 COD, 총인, 총질소의 저감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duction of COD, Total Phosphorus and Nitrogen in Wastewater by Electrolysis and HClO Treatment)

  • 김태경;송주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36-442
    • /
    • 2017
  • 합성폐수 내의 유기물(COD), 질산성 질소, 인산이온을 제거하기 위한 폐수처리 시스템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COD는 HClO의 산화 반응에 의해 거의 100 % 제거되었으며 전기화학적 처리에 의해 질산성 질소가 암모니아성 질소로 환원되지만, 암모니아성 질소는 HClO 처리에 의해 질산성 질소로 재 산화 되었다. 암모니아성 질소는 가열 증발 처리에 의하여 거의 100% 제거 되었으며 HClO 처리를 하여도 재 산화되는 암모니아성 질소는 나타나지 않았다. 인산 이온은 pH에 따라 금속 착염을 형성함으로써 침전 처리에 의해 제거할 수 있었으며 전기화학적 처리와 HClO 처리를 통하여 COD 99.5 % 이상, 질소 97.3 %, 인 91.5 %의 제거 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활성탄에 의한 구리(II) 암모니아 착염이온의 흡착 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Ammonia Complex of Copper(II) on Activated Carbon)

  • 홍완해;김정규;나상권
    • 공업화학
    • /
    • 제8권1호
    • /
    • pp.23-28
    • /
    • 1997
  • 활성탄에 의한 암모니아 구리착물의 흡착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활성탄 비표면적을 BET 흡착장치에서 측정하였고, 암모니아수용액에서 암모니아 착물을 이용하여 Cu(II)이온 제거 특성과 활성탄에 의한 착물흡착에서 암모니아착물 형태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실험 결과 비표면적 크기는 mesh No.가 감소할 수록 증가하였고, 활성탄에 의한 Cu(II)이온 흡착은 pH 6 범위가 적합함을 알았다. 또한 암모니아수용액에서 암모니아 구리착물이 활성탄에 흡착되는 형태는 $[Cu(NH_3){_2}]^{2+}$$[Cu(NH_3){_3}]^{2+}$로 흡착됨을 알았으며, 암모니아 농도는 $2.25{\times}10^{-4}{\sim}2.25{\times}10^{-3}(mol/{\ell})$ 범위에서 검토하였다.

  • PDF

$H_2O_2$에 노출된 신장 근위 세뇨관 세포에서의 세포 사망 및 DNA 손상에 대한 단삼의 효과 (Effect of Salviae Radix on Cell Death and DNA Damage in Renal Proximal Tubular Cells Exposed to $H_2O_2$)

  • Sung-Dae, Kim;Ji-Cheon, Jeong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1-30
    • /
    • 2001
  • 목적 : 이전 연구에서 단삼 추출액이 강력한 항산화 작용이 있음을 확인한 바 있어 단삼 추출액이 신장세뇨관 세포에서 oxidant에 의한 세포사망 및 DNA 손상을 방지하는 지를 조사하고 이러한 효과가 지질의 과산화를 억제하는 효과에 기인하는 지를 시험하였다. 방법 : 신장 근위세뇨관 세포 유래 세포주인 opossum kidney (OK)세포를 이용하여 세포 사망은 frypan blue exclusion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DNA손상 정도는 double stranded DNA의 파괴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Oxidant 약물 모델로는 $H_2O_2$를 사용하였다. 결과 : $H_2O_2$는 적용시 간과 농도에 비례하여 세포 사망을 유도하였다. 단삼 추출액은 0.05% 농도에서 $H_2O_2$에 의한 세포사망 및 DNA 손상을 방지하였다. 이러한 방지효과는 $H_2O_2$ 제거 효소인 catalase와 철 착염제인 deferoxamine에 의해서도 나타났다. 그러나 강력한 항산화제인 DPPD는 $H_2O_2$에 의한 세포 사망이나 DNA손상을 방지하지 못하였다. $H_2O_2$는 세포내 ATP 농도를 감소시켰으며. 이러한 감소는 poly (ADP-ribose) polymerase억제제인 3-aminobenzamide에 의해 방지되었으나 단삼 추출액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3-aminobenzamide는 $H_2O_2$에 의한 세포 사망을 방지하였다. $H_2O_2$는 지질의 과산화를 증가시켰으며, 이러한 변화는 단삼 추출액과 DPPD에 의해 방지되었다 결론 : OK 세포에서 $H_2O_2$에 의한 세포사망과 DNA 손상에는 지질의 과산화가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으며, 단삼 추출액의 $H_2O_2$에 의한 세포 사망과 DNA 손상 방지 효과는 항산화 작용이 아닌 다른 기전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도금폐수내 유리시안과 착염시안 및 중금속의 처리특성 (I) (Treatment Characteristics of Plating Wastewater Containing Freecyanide, Cyanide Complexes and Heavy Metals (I))

  • 정연훈;이수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979-983
    • /
    • 2009
  • The mean pH of wastewater discharged from the plating process is 2, so a less amount of alkali is required to raise pH 2 to 5. In addition, if sodium sulfite is used to raise pH 5 to 9 in the secondary treatment, caustic soda or slaked lime is not necessary or only a small amount is necessary because sodium sulfite is alkali. Thus, it is considered desirable to use only $FeSO_4{\cdot}7H_2O$ in the primary treatment. At that time, the free cyanide removal rate was highest as around 99.3%, and among heavy metals, Ni showed the highest removal rate as around 92%, but zinc and chrome showed a low removal rate. In addition, the optimal amount of $FeSO_4{\cdot}7H_2O$ was 0.3g/L, at which the cyanide removal rate was highest. Besides, the free cyanide removal rate was highest when pH value was 5. Of cyanide removed in the primary treatment, the largest part was removed through the precipitation of ferric ferrocyanide: $[Fe_4(Fe(CN)_6]_3$, and the rest was precipitated and removed through the production of $Cu_2[Fe(CN)_6]$, $Ni_2[Fe(CN)_6]$, CuCN, etc. Furthermore, it appeared more effective in removing residual cyanide in wastewater to mix $Na_2SO_3$ and $Na_2S_2O_5$ at an optimal ratio and put the mixture than to put them separately, and the optimal weight ratio of $Na_2SO_3$ to $Na_2S_2O_5$ was 1:2, at which the oxidative decomposition of residual cyanide was the most active. However,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on the simultaneous removal of heavy metals such as chrome and zinc.

(펜타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 비스(포스핀)루테늄의 염화물과 수소화물 유도체 (Chloro- and Hydrido Complexes of (Pentamethylcyclopentadienyl) bis(phosphine)ruthenium)

  • 이동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48-254
    • /
    • 1992
  • 에탄올 용매 중에서, 착물 $[({\eta}^5-C_5Me_5)RuCl_2]_2$ (1)에 대하여 과량의 포스핀을 반응시켜 비스(포스핀)루테늄 유도체$({\eta}^5-C_5Me_5)Ru(PR_3)_2Cl(PR_3=PMe_3,\; PMe_2Ph,\;PEt_3,\;PMePh_2$, 1/2DPPE, 1/2DPPB) (2a${\sim}$2f)를 합성하였다. 이 유도체들은 에탄올 용매 중에서 $NaBH_4$와 반응하여 상응하는 황색의 착수소화물 $({\eta}^5-C_5Me_5)Ru(PR_3)_2Hl(PR_3=PMe_3,\;PEt_3,\;PMePh_2$, 1/2 DPPE, 1/2DPPB) (3a${\sim}$3e)을 생성한다. 착염화물 (2a${\sim}$2f)와 착수소화물 (3a∼3e)는 모두 결정으로 얻어졌으며, IR, $^1H-NMR$ 그리고 원소분석으로 동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