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차원계수방식

Search Result 9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Measurement of Multidimensional Poverty by Counting Approach (차원계수방식에 의한 다차원적 빈곤 측정)

  • Choi, Gyun;Suh, Byung-Soo;Kwon, Jong-Hee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3 no.1
    • /
    • pp.85-111
    • /
    • 2011
  •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measure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in Korea by the counting approach which was theorized by Alkire and Foster to overcome problems of unidimensional approach, union method and intersection method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multidimensional poor. By the counting approach applying to Welfare Panel in Korea during 2006-2008, the head-count ratio of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was measured. When 3 dimensions are applied as a dimension poverty line, the multidimensional poverty rate was 20% in 2008. It was due to broad deprivations in assets, social securities, income and health. Vulnerable classes such as single parent families, low-education level group, the aged, economically non-active population were among the severe poverty rates, which were reaching around 50%. The analysis reveals the possible alternative to change the present public assistance program to the robust approach of multidimensional poverty measurement, the counting approach. Social policies to reduce poverty in Korea would gain expected positive outcome with the various approaches based on the concepts of multidimensional poverty.

  • PDF

Truncation and Recovery of Transform Coefficients for Coding Arbitrarily-Shaped Image Segments (임의 형태 영상 영역 부호화를 변환 계수의 삭제 및 복원)

  • 김지홍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237-242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임의 형태 영상 영역에 대한 새로운 변환 부호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영상 영역을 구성하는 각 열의 화소들을 변환 블록의 상단으로 이동시킨 후, 비어 있는 부분을 각 열의 화소 평균값으로 외삽한다. 그리고 수직 방향 1차원 변환을 실행한 후 외삽된 부분의 변환 계수들을 삭제한다. 수평 방향 1차원 변환은 각 행의 변환 계수들을 변환 블록의 좌측단으로 이동시킨 후, 수직 방향 1차원 변환에서와 동일한 과정을 실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복호화를 위해서는 먼저 삭제된 변환계수들을 복원한 후에 수평 방향 1차원 역변환 과정을 수행하며, 역변환 계수들 중 복원된 부분의 계수들을 삭제한다. 그리고 수평방향의 1차원 역변환 과정은 수직 방향 1차원 역변환 과정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한다. 역변환으로 만들어진 재생 영상은 변환 계수와 함께 전송된 형태 정보를 이용하여 원 위치로 이동된다. 모의 실험 결과는 제안된 방법의 압축 성능이 낮은 비트율에서 특히 우수함을 보여준다.

  • PDF

Estimation of roughness coefficient for 1D flow modeling in vegetated channel (식생하도의 1차원 흐름모의를 위한 조도계수 산정)

  • Jiwon Ryu;Un Ji;Eun-kyung Jang;Inhyeok 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524-524
    • /
    • 2023
  • 하천 내 식생의 분포는 흐름저항의 증가와 수위상승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이다. 동일한 단면정보를 가졌더라도 식생이 분포하는 하도는 식생이 없는 하도에 비해 흐름저항으로 인해 유속이 현저히 느려져 홍수위 상승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식생의 종류, 크기, 분포 형태, 잎의 밀도 등에 따라 흐름저항계수를 정량화하며 흐름을 정확히 예측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019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실험센터에서 진행된 식생하도에 대한 실규모 실험의 조건과 지형정보를 HEC-RAS(Hydrologic Engineering Center's River Analysis System) 1차원 수치모형에 입력하고, 식생 패치의 분포를 고려한 Manning's n의 공간적 분포 및 적용방식에 따른 수면 경사 재현 정확도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상단 폭 11 m, 경사 1:2(V:H)의 사다리꼴 단면을 가진 실규모 수로에서 70 m 길이의 구간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실험 구간 내 6개의 압력식 수위계를 설치해 수위 측정 및 수면 경사 산정을 실행하였다. 실험 조건으로 적용된 인공 식생패치의 분포 및 밀도 조건은 3가지로 큰 패치와 작은 패치로 구성된 조밀한 조건, 단일 패치로 구성된 조밀한 조건, 단일 패치로 구성된 성긴 조건이었으며, 모두 정수(emergent)상태로 진행되었다. 적용된 패치의 형상은 내성천에서 조사된 자연 형태의 식생패치 형태를 참고하였으며, 버드나무 종을 모사하였다. 실험 조건에 따라 유량은 각각 평균 1.5 cms와 2.7 cms로 공급하였으며, 평균 수심은 약 1 m로 측정되었다. 위 실험 내용을 바탕으로 수치모의를 위한 경계조건과 지형정보를 수립하였으며 모의 케이스는 크게 두 가지로, 수로 내 식생의 분포를 종방향으로 고려한 케이스와 횡방향으로 고려하여 조도계수를 적용한 케이스로 분류하였다. 모의에 적용된 조도계수는 실험에서 획득한 데이터와 베르누이 방정식을 활용하여 산정되었으며, 두 케이스에 대한 모의 결과는 실험에서 관측된 수위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 따르면 여러 개의 식생패치가 정수상태로 존재하는 하천에 대한 1차원 수치모의 시 식생의 분포를 종방향으로 고려하여 하나의 구간조도계수를 적용하는 방식이 종횡단면의 식생패치 위치를 고려한 조도계수를 세분화하여 적용하는 방식에 비해 수위 계산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arthquake Resistant Design of a Steel Framed Structure in Low Seismic Regions Based on the Dynamic Behaviour (동적거동에 기초한 약진지역 철골뼈대구조물의 내진설계)

  • 국승규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5 no.2
    • /
    • pp.59-66
    • /
    • 2001
  • 구조물 내진설계의 개념은 기존요구조건이라는 조항으로 시방서에 규정되어 있으며 구조물이 지진발생시에 안전성과 경제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으며 비선형시간 이력해석을 수행하여 자진시의 동적거동을 기술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내진설계에 보편적으로 적용하는 응답스펙트럼해석법은 선형해석법으로 구조물의 비선형동적거동의 영향을 거동계수로 반영하므로 파괴메카니즘 및 기본 요구조건의 만족여부를 거동계수를 구하는 과정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내진설계방식에 의해 설계된 약진지역에 의한 화학공장건물의 모델인 3차원 철골뼈대구조물을 선정하고 거동계수를 결정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지진시의 동적거동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현 시방서의 응답스펙트럼해석법에 적용되는 거동계수는 강진지역의 구조물의 경우 기능성 및 안정성 한계를 제시하지만 약진지역 구조물의 경우는 실제 동적거동과 무관하다는것과 약진 지역에 위치한 구조물의 내진설계에는 시방서가 제시한 내진설계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주요한 사항임을 확인하였다.

  • PDF

Applicability of Spectral/Spatial Characterization and Classification using Multi-Spectral Satellite Imagery based on 3D Wavelet Approach (3차원 웨이블릿 접근 방식에 기반한 다중분광영상의 분광 및 공간 특성 분석과 분류의 적용성 연구)

  • Yoo, Hee-Young;Lee, Ki-Won;Kwon, Byung-Doo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14-19
    • /
    • 2007
  • 2차원 웨이블릿이나 3차원 웨이블릿 변환은 주파수 방향으로 나타나는 분광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다중분광 영상에서 3차원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하여 분류한 연구사례는 발표되거나 보고된 사례가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전통적인 분류기법에 의한 처리결과를 제시하고 3차원 웨이블릿 변환 계수와 에너지 변수량들을 이용한 분류 처리결과를 분류 정확도 측면에서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3D 웨이블릿의 경우 공간적인 변화양상과 주파수에 따른 분광정보의 변화 양상을 동시에 알려주는 계수로 표현되기 때문에 본 연구의 처리 기법은 다양한 분광특성을 지니는 객체들이 조밀하고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도시지역의 고 해상도 위성영상자료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 PDF

Estimation of Discharge Coefficients of Overflow Formula for Submerged Structures (수중구조물 월류공식의 유량계수 산정)

  • Yoon, Sung-Bum;Lee, Sang-Min;Kwon, Kab-Keun;Bae, Jae-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408-412
    • /
    • 2006
  • 단면평균 1차원 수치모형의 수중구조물 표현방식으로 흔히 사용되는 월류공식의 유량계수를 범용 난류유동 수치모형인 FLUENT를 사용하여 완전월류와 불완전월류의 전구간에 걸쳐 구하고 공식화한 결과를 제시한다. 수중구조물은 고무댐과 Ogee형 월류보의 2가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alculation of the Area through the Three Dimensional Terrain Model (3차원 지형모델을 이용한 면적산출에 관한 연구)

  • 강인준;장용구;김상석;김윤수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0 no.2
    • /
    • pp.111-118
    • /
    • 2002
  • These days, surveying instruments are developing rapidly and the precision is improving continuously. The building of three dimensional terrains of high precision are possible and the calculation of the areas or the volumes have high precis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technique of the spatial information system using computer. But actually, in construction site they calculate two-dimensional area using the traditional method, plate table surveying, planimeter, and then get three-dimensional area through multiplying two-dimensional area by the slope correction factor. In this study, we show the defect and inefficiency of the calculation of area by the traditional methods and survey the area with Electric Distance Measurement and GPS instrument. With this data, we made the three dimensional terrain model and calculated two-dimensional area, three-dimensional area. After that, we compared areas that calculated by algorithm of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and analysis of grid method with standard area that calculated by the traditional method. Finally, this paper suggested more effective and precious method in calculating three-dimensional area.

Numerical analysis of rock behavior with crack model implementation (균열모형을 이용한 암석거동의 수치해석)

  • 전석원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9 no.1
    • /
    • pp.56-63
    • /
    • 1999
  • Rock behaves in a complex way due to the discontinuities. To describe the complicated failure and deformation behavior of rock, many researches were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crack models. This study discusses the validity of the sliding and shear crack model to systematically fractured rock, i.e. coal. The model was also implemented into a numerical analysis. For that, a finite element program was modified in several ways. To describe the transverse isotropy in two-dimensional analysis, the stress-strain relationship was modified for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symmetry. Also, the changes of the effective elastic moduli according to the crack growth were calculated. A simple example of two-dimensional laboratory uniaxial compression test was analyzed. The results coincided with the observations obtained from the laboratory tests.

  • PDF

DCT Domain Separable Symmetric 2-D Linear Filtering (DCT 영역에서의 2차원 분리 대칭 선형 필터링)

  • 임창훈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8 no.5C
    • /
    • pp.461-467
    • /
    • 2003
  • We propose an efficient method for separable symmetric linear filtering in the DCT domain. First, separable 2-D linear filtering is decomposed into the cascade of 1-D filtering in the DCT domain. We investigate special characteristics of DCT domain filtering matrices when the filter coefficients are symmetric. Then we present the DCT domain 2-D filtering method using these characteristics. The proposed method requires smaller number of multiplications including typical sparseness of DCT coefficients compared to previous DCT domain linear filtering methods. Also, the proposed method is composed of simple and regular operations, which would be appropriate for efficient VLSI implementation.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method to estimate a river discharge through numerical modeling (수치모델링을 통한 하천 유량 추정 방식의 개선에 관한 연구)

  • Choi, Seo Hye;Kim, Chang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36-236
    • /
    • 2022
  • 연속적인 하천의 유량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관측된 수위값을 유량으로 변환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수위-유량 관계 곡선을 사용하며 수위구간 별로 일대일 관계로 제시된다. 그러나 유량을 추정함에 있어서 수위 외에도 하상경사, 조도계수와 같은 지형인자, 시간에 따른 유량의 변화와 같은 흐름요소를 모두 고려하여야 정확한 유량을 산정할 수 있다. 즉, 평상시에는 적합한 수준의 유량을 추정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조석의 영향이 있는 구간이나 홍수와 같이 시간에 따른 수위와 유량이 급변하는 경우에는 관측값과 수위-유량관계곡선을 이용한 추정값의 차이가 상당히 증가하여 유량 추정값의 활용이 부적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의 적용이 어려운 조건에서 보다 정확한 유량을 추정하기 위해 1차원 유동해석모델을 이용한 계산 값과 관측 값과의 비교를 통해 정확도를 검토하고, 지점에 따라 차이가 발생되는 원인을 정성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지점은 강우, 식생 등의 영향으로 수위와 유량의 관계를 단일 관계로 표현하기 어려워 구간분리가 발생된 지점으로 선정하였다. 흐름해석은 기지의 기점수위 조건으로부터 시작하며, 모델링을 통해 유량과 조도계수를 동시에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모델 내에서도 수위와 유량 관계의 루프형 특성, 조도계수의 변화를 대체적으로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내하천에서 유량추정의 정확도를 저하시키는 주된 원인에 대해 추정할 수 있었다. 향후 이 같은 방법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수위-유량관계곡선의 불확실성을 평가하고, 유량 추정방식의 보완이 필요한 지점을 선별하는 기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