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차량 프레임

Search Result 32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Vehicle Tracking for Forward Vehicle Detection (전방차량 인식을 위한 차량 추적 방법)

  • Jeong, Sung-Hwan;Kwon, Dong-Jin;Song, Hyok;Park, Sang-Hyun;Lee, Chul-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486-487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차량 내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전방차량을 인식하는 FCW(Forward Collision Warning)시스템에서 주행 중인 전방 차량을 추적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전방 차량의 후보 영역을 검출하기 위해 Haar-Adaboost를 이용하였으며 검색된 차량 후보 영역 내의 에지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후보 영역을 필터링하였다. 필터링된 차량 영역은 영역기반과 Kalman 예측치를 이용하여 차량을 추적하는 방법으로 차량 검색기가 차량 영역을 검색하지 못하는 경우 Kalman 예측치를 통해 차량 후보 영역을 예측하고 예측된 차량 영역을 검증함으로써 효율적인 전방 차량 인식이 가능하였다. 본 제안 방법을 실험한 결과 이전 프레임에서 추적되던 차량 후보 영역이 현재 프레임에서 Haar-Adaboost가 차량 후보 영역을 검색하지 못하는 경우에 영역기반과 Kalman 예측치를 통하여 현재 프레임에서 전방차량을 연속적으로 추적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제안 방법은 영상을 이용한 FCW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A Key-Frame Extraction Method based on HSV Color Model for Smart Vehicle Management System (스마트 차량 관리 시스템을 위한 HSV 색상모델 기반의 키 프레임 추출 기법)

  • Kwon, Young-Wook;Jung, Se-Hoon;Park, Dong-Gook;Sim, Chun-B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8 no.4
    • /
    • pp.595-604
    • /
    • 2013
  • Currently, registered number of imported vehicles is increasing rapidly over the years. Accordingly, environment improvements of vehicle maintenance company for maintenance of luxury vehicle such as imported vehicle are continuously being made. In this paper, we propose a key frame extraction method based on HSV color model for smart vehicle management system implementation to offer for customer reliability of maintenance vehicle. After automatically recognize the license plates of the vehicle using vehicle 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when the vehicle come in the car center, we check the repair history and request of the vehicle based on it. We implement mobile services which provide extracted key frame images to the user after extract key frames from vehicle repair video. In addition, we verify the superiority of key frame extraction method by applying a smart vehicle management system. Finally, we convert the RGB color to HSV colo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proposed key frame extraction scheme.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our scheme is more excellence about 30% in terms of recall than RGB color model from the performance evaluations.

Extraction of the Feature Region of Car in Moving Vehicle Images (도로 동영상에서 차량의 특징요소 검출)

  • Lee, Hyo-Jong;Lee,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759-762
    • /
    • 2001
  • 주행차량의 영상으로부터 개별차량이 포함하는 고유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은 선택된 프레임에 포함된 차량의 위치 및 상태에 의존적이다. 고정된 카메라에 의해 설정된 영상내의 기준을 불규칙적으로 진행하는 개별차량에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은 특징요소의 검출과 인식에서 결과의 신뢰성에 영향을 준다. 프레임 선택과정에서는 도로상의 그림자가 차량검출을 어렵게 하는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그림자의 영향을 받지 않고 영상내 설정된 범위에 차량이 위치한 프레임을 선택하는 방법과 불규칙적으로 진행하는 개별적인 차량의 기준을 설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차량이 포함하는 패턴을 이용하여 특징요소의 위치를 인식하는 방법에 대해 실험하였다.

  • PDF

Car Frame Extraction using Background Frame in Video (동영상에서 배경프레임을 이용한 차량 프레임 검출)

  • Nam, Seok-Woo;Oh, Hea-Seok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0B no.6
    • /
    • pp.705-710
    • /
    • 2003
  • Recent years, as a rapid development of multimedia technology, video database system to retrieve video data efficiently seems to core technology in the oriented society. This thesis describes an efficient automatic frame detection and location method for content based retrieval of video. Frame extraction part is consist of incoming / outgoing car frame extraction and car number frame extraction stage. We gain star/end time of car video also car number frames. Frames are selected at fixed time interval from video and key frames are selected by color scale histogram and edge operation method. Car frame recognized can be searched by content based retrieval method.

Fast Vehicle Detection based on Haarlike and Vehicle Tracking using SURF Method (Haarlike 기반의 고속 차량 검출과 SURF를 이용한 차량 추적 알고리즘)

  • Yu, Jae-Hyoung;Han, Young-Joon;Hahn, Hern-So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7 no.1
    • /
    • pp.71-80
    • /
    • 2012
  • This paper proposes vehicle detection and tracking algorithm using a CCD camera. The proposed algorithm uses Haar-like wavelet edge detector to detect features of vehicle and estimates vehicle's location using calibration information of an image. After that, extract accumulated vehicle information in continuous k images to improve reliability. Finally, obtained vehicle region becomes a template image to find same object in the next continuous image using SURF(Speeded Up Robust Features). The template image is updated in the every frame. In order to reduce SURF processing time, ROI(Region of Interesting) region is limited on expended area of detected vehicle location in the previous frame image. This algorithm repeats detection and tracking progress until no corresponding points are found. The experimental result shows efficiency of proposed algorithm using images obtained on the road.

A Decentralized Frame Synchronization System for Ad-hoc Inter-Vehicle Communication Networks (Ad-hoc 차량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자율분산 동기화 시스템)

  • Kim, Young-An;Hong, Choong-Seon
    • Journal of KIISE:Information Networking
    • /
    • v.35 no.2
    • /
    • pp.166-172
    • /
    • 2008
  • This paper proposes an autonomous decentralized frame synchronization system for Ad-hoc Inter-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IVCN). We have to consider the feature of Ad-hoc IVCN: "time variant" about the number and the location of vehicles and receive power in IVCN, frame timing, and fading. Proposed scheme is different from other decentralized synchronization systems that have association with a fixed base station, and from centralized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s. This system includes an autonomous decentralized frame synchronization scheme for Ad-hoc IVCN, a high-speed algorithm, a protocol for a newly joining subscriber in IVCN, and a utilization of spread spectrum ranging for frame timing error of the system under highway conditions. Performance evaluation of proposed scheme is validated through simulation. It is shown that Ad-hoc IVCN can be carried out among one and surrounding vehicles in such environment.

A Study on the Reliability Verification of CAN Data Frame Using Blockchain (블록체인을 활용한 CAN 데이터 프레임의 신뢰성 검증에 관한 연구)

  • Choi, Su-Min;Kim, Jae-Young;Shin, Y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10a
    • /
    • pp.208-210
    • /
    • 2019
  • 최근 커넥티드카, 자율주행차량 등 차량에 관한 기술이 연구개발 되어 발전함에 따라 차량의 기술이 더욱더 확장되었다. 주변 차량, 인프라, 네트워크, 스마트폰 등 다양한 통신 기기들이 차량과 연결이 가능해졌다. 다만, 차량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차량 시스템 해킹 공격 방식이 다양해지고 있지만 이에 관한 연구와 대응 방안은 미흡한 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차량 통신에 사용되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데이터 프레임 내의 차량 ID 가 해킹 공격에 의해 위·변조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신뢰성 검증이 가능한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Impact Analysis of Racing Car Using Space Frame (스페이스 프레임을 사용한 경주용 차량의 충돌해석)

  • Cho, Jae-Ung;Bang, Seung-O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b
    • /
    • pp.614-617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충돌하중 하에서 스페이스 프레임을 사용하는 경주용 차량의 프레임에 작용하는 응력을 분석한다. 충돌 시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변형을 최소한으로 줄이며, 최적화 설계를 통하여 중량을 감소시키고 취약부분을 파악한다. 탄소강의 물성치를 바탕으로 트러스 구조로 설계된 차량 프레임의 유한요소모델을 만들고, ANSY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정면, 측면, 후면 방향의 충돌로 인하여 프레임에 작용하는 응력을 해석한다. 정면 및 후면충돌에서는 운전석에 가해지는 영향이 적지만, 측면충돌에서는 영향을 많이 받아 가장 취약한 부분이다. 이러한 취약부분의 보강을 통하여 프레임의 안전성 설계를 증진시키고 시뮬레이션 해석의 결과를 실제 프레임 제작에 활용한다.

  • PDF

A Design of Framework for Secure Communication in Vehicular Cloud Environment (차량 클라우드 환경에서 안전한 통신을 위한 프레임워크 설계)

  • Park, Jung-oh;Choi, Do-hye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9 no.9
    • /
    • pp.2114-2120
    • /
    • 2015
  • Vehicle cloud technology is a fusion technology of vehicl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cloud computing used in wired and wireless Internet, and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new IT paradigm. It is expected that it would contribute to resolve the road traffic problem with effective communication by providing computer, sensor, communication, device, and resource. but security is necessary to apply vehicle cloud environment and it have to resolve security threats and various attacks occurred in wired and wireless vehicle environment. Therefore, in this paper, we designed security framework to provide secure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 and vehicle, and vehicle and the Road side in the vehicle cloud environment. Safety and security of the vehicle environment was satisfied with the security requirements of the vehicle and cloud-based environment, and increased efficiency than the conventional vehicle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차량정보서비스를 위한 VRM(Vehicle Relationship Management)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 Kim, Tae-Uk;HwangBo, Taek-Geu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0 no.10
    • /
    • pp.3-9
    • /
    • 2013
  • 최근 텔레매틱스 기술은 운전자와 차량, 차량과 외부의 정보들을 이용하여 다른 산업과의 융합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요구 역시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차량의 위치 및 궤적 데이터 정보 서비스뿐만 아니라 차량을 통한 차별화된 고객별 영업, 마케팅 및 서비스 제공에 대한 VRM(Vehicle Relationship Management)이 대두되고 있다. VRM은 차량의 주행 정보, 과거 이동정보, 운전자의 정보 등과 같은 차량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에서 특정 규칙과 패턴을 추출한 후에 그것에 알맞게 영업, 서비스 생산, 마케팅 전략을 수립 및 적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으로 CRM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CRM의 성공 요인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해 VRM의 전략적 관점에서 프로세스에 준거하여 고객자산가치관리와 VRM의 핵심기능인 고객자산가치 관리역량을 통해 차량의 주행정보, 차량 정검 정보, 운전자의 정보 등과 같은 차량에 관련된 모든 정보를 VRM 프레임워크가 갖추어야 할 요소를 도출하고 차량 기반 고객관계 프레임워크 모델을 제시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