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차량 주행 안정성

Search Result 185,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 Study on algorithm for autonomous navigation of unmanned ground vehicle and its 3D graphical simulation (무인자동차의 안정성 기반 자율주행 알고리즘 및 3차원 그래픽 시뮬레이션 연구)

  • Cho, Young-Wan
    • Journal of IKEEE
    • /
    • v.14 no.4
    • /
    • pp.324-33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무인자동차의 자율주행을 위한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3차원 그래픽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안정성 기반 자율주행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하고자 한다. 제안된 자율주행 알고리즘은 주변 인접 차량의 위치, 속도, 가속도, 주행 차로 정보를 바탕으로 자율주행 차량과의 충돌가능성 및 충돌예측시간을 계산하여 최적의 안정 주로를 선택하고 이러한 주행 차로에 대한 주행 궤적을 생성하여 추종토록 함으로써 자율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자율주행 알고리즘을 검증하기 위하여 3차원 그래픽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축하였으며 다차로, 다차량 주행 환경에서 몇 가지 가상 도로 환경을 구축하여 시뮬레이션 하였고 자율주행 차량의주행 궤적을 인접 주행차량의 주행 궤적과 비교 확인함으로써 알고리즘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시된 안정성 기반 자율주행 알고리즘은 다차로, 다차량 주행 환경에서 주변 차량과 충돌 없이 안정적인주행 성능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tudy on Improving Stability of 6×6 Skid-Steering Vehicle by Employing Skyhook Control Method (스카이 훅 제어를 이용한 6×6 견마 차량의 주행 안정성 향상 방안 연구)

  • Jeon, Su-Hee;Lee, Jeong-Han;Yoo, Wan-Suk;Kim, Jae-Yo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5 no.8
    • /
    • pp.905-912
    • /
    • 2011
  • In order to protect equipment such as controllers,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driving stability of $6{\times}6$ skidsteering vehicles driven on rough roads. The estimation and improvement of the driving stability should be based on the vertical acceleration, roll acceleration, and pitch acceleration. These variables will be used to achieve multivariable control and increase the vehicle driving stability. In this study, to improve vehicle stability by reducing the vertical acceleration, roll angular acceleration, and pitch angular acceleration, the skyhook control method is employed to control MR(Magnetorheological) dampers equipped with the vehicle. The proposed control system is tested in multibody dynamic simulation.

A Study on Improving Driving Stability System by Yaw Moment Control (요우모멘트를 통한 주행안정성 향상 제어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Park Jung-hyen;Kim Soon-h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0 no.2
    • /
    • pp.392-397
    • /
    • 2006
  • This paper proposed yaw moment control scheme using braking and active rear wheel steering for improving driving stability especially in high speed driving. Its characteristics the unified chassis control system of two equipment that 4WS(4 Wheel Steering) and ESP(Electronic Stability Program).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 of the vehicle was compared each equipment. And conventional ABS and TCS can only possible to control the longitudinal movement of braking equipment and drive which can only available to control of longitudinal direction. There after new braking system ESP was developed, which controls both of longitudinal and lateral, with adding of the function of controlling Active Yaw Moment. On this paper, we show about not only designing of improved braking and steering system through establishing of the integrated control system design of 4WS and ESP but also designing of the system contribute to precautious for advanced vehicle stability problem.

Path Tracking Control of 6X6 Skid Steering Unmanned Ground Vehicle for Real Time Traversability (실시간 주행 안정성 분석을 위한 6X6 스키드 조향 무인 자율 주행 차량의 경로 추종 제어)

  • Hong, Hyosung;Han, Jong-Boo;Song, Hajun;Jung, Samuel;Kim, Sung-Soo;Yoo, Wan Suk;Won, Mooncheol;Joo, Sanghyu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41 no.7
    • /
    • pp.599-605
    • /
    • 2017
  • For an unmanned vehicle to be driven on the off-road terrai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vehicle's stability. This paper suggests a path tracking controller for simulation of real-time vehicle stability analysis. The path tracking controller uses the preview distance to track the given trajectory. The disturbance moment is estimated using the yaw moment observer, and this information is used for compensation in the yaw moment control. On a curved path, the vehicle's desired velocity is determined from the curvature of the path. Because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six independent motor driven wheels, the driving torques are distributed on all the wheels. The effectiveness of the path tracking controller is verified using ADAMS/MATLAB co-simulation.

차량의 주행역학적 특성규명을 위한 시험 및 평가방법

  • 허승진
    • Journal of the KSME
    • /
    • v.28 no.1
    • /
    • pp.28-36
    • /
    • 1988
  • 차량 주행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방법에 대한 일반적 고찰을 토대로 주요 개방회로시험과 관련 평가기준들이 소개되었다. 그러나, 차량의 주행상 안전도 연구를 위한 종합적인 척도는 이제까지 설명된 평가기준들로부터 아직 명확히 귀결지을 수 없음을 강조하여야 한다. 이유로 서는, 한편으로 응용되어진 연구방법들이 실제 교통사고 발생상황을 포괄하기에는 아직 불충분 하며, 또 한편으로는 주어진 한 시험방법에서 주행안전도 판정을 위해 제기된 특성치가 절대적인 값으로 확정지을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체 시스템 '운전자-차량-환경'에 있어서 주행특 성의 완전한 평가를 내리기 위해서는, 객관적으로 서술될 수 있는 차량의 주행특성-안정성 및 조절성과 운전자에 의한 주관적인 판별 또한 환경요소에 의한 영향들에 대하여 상호 연관관계가 복합적으로 해석. 규명되어져야만 할 것이다.

  • PDF

Frequency Shaped Optimal Control of Semi-active Suspension System Using an MR Damper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반능동형 현가장치의 Frequency shaped 최적 제어)

  • 김기덕;이재형;전도영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11 no.2
    • /
    • pp.112-121
    • /
    • 1999
  • An MR(Magneto-Rheological) fluids damper is designed and applied to vibration suppression of a 1/4 car model. The damping constant of MR damper changes according to input current which is controlled in a semi-active way. Several control algorithms are compared in simulations and experiments. The advantage of the proposed Frequency shaped LQ control is that passenger comfort is emphasized in the range of 4~8Hz and driving safety is emphasized around the resonance frequency of unsprung mass.

  • PDF

자율주행자동차 개발 동향

  • Kim, Yong-Hun;Kim, Hyeon-Gu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4 no.5
    • /
    • pp.10-18
    • /
    • 2017
  • 본고에서는 자율주행 완성차와 자율주행 융합 부품 관련 기술과 국내외의 자율주행자동차 산업정책과 기술 개발 동향을 살펴본다. 자율주행 차량은 고안전, 고편의, 친환경, 신생태계의 자동차 산업에서의 4가지 미래 키워드를 만족시키는 기술로서 국가차원의 전략적 양성이 필요하다. 자율주행자동차 산업은 자동차 산업 생산기반 및 우리나라의 IT, 반도체 등의 기술 활용이 가능하며, 아직 상용화 되지 않은 분야로서 자율주행 분야의 상용화 기술 조기 확보 시 세계시장을 선점 할 수 있다. 따라서 자율주행 완성차 및 부품업체 등의 복수 수요기관이 참여하여 중소, 중견 부품업체 수요처 다각화 및 생태계 체질 개선, 자율주행 핵심부품 및 제어를 위한 SW 등 원천기술 확보 및 수입대체, 자율주행 기술과 관련 센서 선도기술 개발 및 글로벌 중견기업 육성을 기대 할 수 있다. 또한 빠르게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전장 부품이 자동차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짐에 따라 서로 연결되어 동작하는 전기전자 시스템의 기능안전 확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미 해외에서는 자동차 전자제어 시스템 의무 장착을 강화시키는 추세이며 차량 안전 확보를 위해 전자제어장치의 기능 안정성의 중요성과 기술 표준의 필요성을 기반으로 자동차 기능 안전선 국제 표준을 규격화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내외의 자율주행차량 분야의 산업 현황과 기술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시장의 현황을 파악하고 자동차 기능 안전성 국제 표준에 관하여 알아본다.

A Study on Risk Criteria of Vehicles Driven on Highway under Strong Wind Condition (강풍 발생시 고속도로 주행차량의 위험도 판단기준에 관한 연구)

  • Kim, Hyun-Gi;Kim, Kyung-Hun;Ma, Seok-Oh;Lee, Soon-He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821-824
    • /
    • 2009
  • 고속도로를 주행 중인 차량에 강풍이 작용할 경우 차량의 주행안정성 저하와 운전자의 상황에 따른 치명적인 교통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최근에 건설되거나 추진 중인 고속도로는 교량과 터널의 연속적인 조합으로 강풍발생위험에 노출되어 있어 적극적인 강풍저감 대책이 필요하다. 효과적인 방풍 시설 설치나 사전예고 시스템의 도입을 위해서는 차량의 동역학적 거동 분석, 주행 중인 차량의 위험도 판단기준 연구, 강풍위험지역의 정확한 풍속 추정기법 연구, 지능화된 방풍벽 개발, 방풍시설 설치판단 기준 제시, 합리적인 차량 속도 규제정책 등의 연구 개발이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강풍 발생 구간을 주행하는 차량의 동역학적 거동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존에 제안된 위험도 판단기준의 합리성을 제고하였으며, 운전자의 상황을 고려한 현실적인 차량주행위험도 판단기준 제시를 목표로 하였다.

  • PDF

Running Stability Assessment of a Railway Vehicle using Roller Rig Test (주행시험대 시험을 이용한 철도차량의 주행안정성 평가 방법 고찰)

  • Park, Joon-Hyuk;Park, Choon-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20 no.5
    • /
    • pp.577-587
    • /
    • 2017
  • In the design process of dynamic characteristics of a railway vehicle, demand for analysis, testing and estimation methods of running stability are increasing as railway vehicle speed is increasing. Critical speed tests and estimation have been carried out using computer simulation or special test facilities, like roller rigs, because real track testing at critical speed is very dangerous. This paper introduces a test and assessment method for critical speed and estimates the validity using several roller rig tests. The test results show that it is difficult to estimate the critical speed using safety and instability assessment method in UIC 518, but that there is good agreement between the reduction of the equivalent damping ratio and the critical speed.

A Dynamic Analysis of Rotations at the center of Vehicle Running High Speed KTX Train on the PSC Box Bridges (PSC 교량 위를 고속주행 중인 KTX 전동차의 중심회전각 동적해석)

  • Oh, Soon-Tack;Lee, Dong-J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8 no.1
    • /
    • pp.59-67
    • /
    • 2014
  • A dynamic analysis is carried out to provide an evaluation method of running safety for a PSC box bridge located on the Gyung-Bu high speed railway. The numerical models of bridge and train vehicle are developed in detail with corresponding interaction system. Three dimensional skeleton element model of PSC box bridge and 38-degree-of-freedom of vehicle are adopted from the existing properties of KTX bridge and train vehicle. Analysed three direction rotations of vehicle on the bridge and ground tracks are compared for running speeds up to 500 km/h with 10 km/h constant increments. The comparison of the rotations will be an improved evaluation method of Running Safety in stead of the existing standard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