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차량 사이버보안

Search Result 30,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국제 학술대회를 중심으로 자동차 보안 기술 동향

  • Choe, Won-Seok
    • Review of KIISC
    • /
    • v.30 no.6
    • /
    • pp.91-99
    • /
    • 2020
  • 운전자의 편의성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하여, 과거 기계적으로 제어되던 차량의 많은 기능들이 최근에는 전자제어장치에 의하여 전자적으로 제어되고 있다. 고급 차량의 경우에는 약 100개의 전자제어장치가 탑재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전자제어장치는 CAN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자동차 내부에서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센서 정보나 제어 요청 등이 송·수신된다. 하지만, 자동차의 많은 기능이 전자적으로 제어됨에 따라, 이를 타겟으로 하는 차량 사이버공격에 대한 위협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2015년에 사전 조작 없는 차량을 대상으로 원격에서 제어하는 사이버공격이 시연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유엔유럽경제위원회 (UNECE)에서는 자동차 사이버 보안 요구사항에 관한 내용을 법규로 지정하였고, 2022년 7월 유럽에서 생산되는 모든 차량에 자동차 사이버 보안을 위한 기술적 조치가 의무화되어야 한다. 이로 인해, 자동차 사이버보안은 산업계와 학계 모두 실제 차량에 적용 가능한 자동차 보안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국제 학술대회를 중심으로 차량에 대한 사이버보안 취약점 및 보안기술 연구 동향을 산업계와 학계를 구분지어 설명하도록 하겠다.

차량 네트워크 공격 대응을 위한 가상화 사이버 훈련 개발환경 사례 연구

  • Hojun Kim;YongHo Choi;YoungBok Jo;Subin Choi;OH ByeongYun;Seonghoon Jeong;Byung Il Kwak;Mee Lan Han
    • Review of KIISC
    • /
    • v.33 no.4
    • /
    • pp.31-40
    • /
    • 2023
  • 차량 기술의 발전으로 커넥티드 및 자율주행 차량 환경과 같은 차량 기술의 발전은 운전자에게 편의와 안전을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들에도 불구하고 사이버 공격의 다양한 취약점 노출되어 있다. 최근까지 자동차 내부 네트워크로써 가장 널리 사용되는 통신기술인 CAN(Controller Area Networks) 통신은 대부분 차량의 동력을 담당하는 역할을 하다보니, 보안 문제의 중심에 서게 될 수 있다. 다양한 이기종 네트워크에서 구성된 가상화 기반의 사이버 훈련 프레임워크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사례 연구는 차량에 대해 물리적인 실험 환경에서의 모의침투와 같은 테스트가 어렵고, 보안과 안전이 함께 고려되어야 하는 특수성을 가진 차량 내부 네트워크의 사이버 훈련 프레임워크 설계에 도움을 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화 개발환경 구축 사례 조사, 가상화 개발환경 구현과 차량의 공격 시나리오 및 탐지 프레임워크의 동향을 설명한다.

가상 개발환경 기반의 차량용 사이버훈련 프레임워크 설계: 공격 중심으로

  • YoungBok Jo;Subin Choi;OH ByeongYun;YongHo Choi;Hojun Kim;Seonghoon Jeong;Byung Il Kwak;Mee Lan Han
    • Review of KIISC
    • /
    • v.33 no.4
    • /
    • pp.23-29
    • /
    • 2023
  • 대부분의 임베디드 시스템은 기계장치와 전자기기 장치가 함께 작동되는 물리 장치로써, 이기종 네트워크, 복잡한 보안체계 등을 고려하여 가상화 기반 사이버훈련 환경이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차량을 대상으로 물리적인 실험환경에서 모의침투 등 사이버훈련을 수행한다는 것은 교통사고를 비롯한 안전사고 발생에 있어 위험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 개발환경에서의 공격 기반 차량용 사이버훈련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공격 기반 차량용 사이버훈련 프레임워크의 작동은 자동 활성화되는 가상의 CAN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시작된다. 가상의 CAN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가상 머신에서 간단한 부트스트랩 명령어 실행을 통해 파이썬 패키지와 Ubuntu 서비스 목록 설치 명령이 자동으로 실행되면서 설치된다. 이후 내부 네트워크 시뮬레이터와 공격모듈과 관련된 UI가 자동으로 Ubuntu Systemd에 의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어 시작과 동시에 준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사이버훈련 UI 내 공격 모듈은 사용자에 의한 공격 선택 및 파라미터 셋팅 이후 차량의 이상 상태를 사이버훈련 UI에 다시 출력되게 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가상 개발환경 기반의 차량용 사이버훈련 프레임워크는 자율주행 차량 사고의 위험이나 다른 특수한 제약 없이 사용자의 학습 경험을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가상화 기반 사이버훈련 교육 콘텐츠와는 달리 일반 사용자들이 접근하기 쉬운 형태로 확장 개발이 가능하다.

Development of Framework for Compliance with Vehicle Cybersecurity Regulations: Cybersecurity Requirement Finder (차량 사이버보안 법규 준수를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Cybersecurity Requirement Finder)

  • Jun hee Oh;Yun keun Song;Kyung rok Park;Hyuk Kwon;Samuel W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2 no.6
    • /
    • pp.299-312
    • /
    • 2023
  • Recently,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has been integrating several functions into one beyond simple convenience functions. Accordingly, ECUs have more functions and external interfaces than before, and various cybersecurity problems are arising. The 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 (UNECE) World Forum for Harmonization of Vehicle Regulations (WP.29) issued UN Regulation No.155 to establish international standards for vehicle cybersecurity management systems in light of the growing threats to vehicle cybersecurity. According to international standards, vehicle manufacturers are required to establish a Cybersecurity Management System (CSMS) and receive a Vehicle Type Approval (VTA). However, opinions were raised that the implementation period should be adjusted because domestic preparations for this are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web-based solution that maps a checklist to check the status of CSMS in the requirement and various vehicle security companies and solutions to mitigate the identified gap.

ITU-T SG17에서의 차량 통신 보안 국제 표준화 동향

  • Sang-Woo Lee;Yong-Sung Jeon
    • Review of KIISC
    • /
    • v.33 no.4
    • /
    • pp.83-87
    • /
    • 2023
  • 차량통신기술은 차량 간, 차량과 인프라 간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센서 기반의 자율 주행 차량의 센서로 인한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는 자율주행의 구현 요소 기술이다. 이러한 차량통신기술의 활용성이 증대됨에 따라, 보안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보안 기술도 활발히 연구 개발 추진 중이다. 또한, 이와 연관된 국제표준화의 필요성도 부각되고 있다. ICT 보안 국제표준화 기구인 ITU-T SG17에서는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보안 연구반(Q13)에서 지속적으로 차량통신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TS 보안 연구반의 최근 활동 및 표준화 진행 계획을 소개한다.

Hacking attack and vulnerabilities in vehicle and smart key RF communication (차량과 스마트키 RF통신에 대한 해킹 공격 및 취약점에 대한 연구)

  • Kim, Seung-woo;Park, Dea-w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4 no.8
    • /
    • pp.1052-1057
    • /
    • 2020
  • With the development of new ICT technology, smart keys for vehicles are terminals with ICT technology. Therefore, when the vehicle and the smart key communicate with RF, a cyber hacking attack is possible. Cyber-attacks on smart keys can pose a threat to vehicle theft and vehicle contro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hacking attacks and vulnerabilities of smart keys for autonomous vehicles.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yber attack case of RF communication for vehicles and smart keys. In addition, a real RF cyber attack on the smart key is performed, and the vulnerability of radio wave replication in the same frequency band is found.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vulnerability of RF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nd smart keys, and propose a countermeasure against cyber security. In the future, plans to strengthen cyber attacks and security through the popular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will become basic data to protect human and vehicle safety.

Deriving Essential Security Requirements of IVN through Case Analysis (사례 분석을 통한 IVN의 필수 보안 요구사항 도출)

  • Song, Yun keun;Woo, Samuel;Lee, Jungho;Lee, You sik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8 no.2
    • /
    • pp.144-155
    • /
    • 2019
  • One of the issues of the automotive industry today is autonomous driving vehicles. In order to achieve level 3 or higher as defined by SAE International, harmonization of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and connected technology is essential. Current vehicles have new features such as autonomous driving, which not only increases the number of electrical components, but also the amount and complexity of software. As a result, the attack surface, which is the access point of attack, is widening, and software security vulnerabilities are also increasing. However, the reality is that the essential security requirements for vehicles are not defined. In this paper, based on real attacks and vulnerability cases and trends, we identify the assets in the in-vehicle network and derive the threats. We also defined the security requirements and derived essential security requirements that should be applied at least to the safety of the vehicle occupant through risk analysis.

Vulnerability analysis of smart key for vehicle and countermeasure against hacking attack (차량용 스마트키 취약점 분석과 해킹공격 대응방안)

  • Kim, Seung-woo;Park, Dea-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7.10a
    • /
    • pp.302-305
    • /
    • 2017
  • With the development of new ICT technology, new technologies are being applied to automobiles. The smart key for vehicles is also a device to which ICT new technology is applied. Therefore, a cyber-hacking attack against a smart key of a vehicle is possible. The cyber attack on the smart key can cause an abnormal control of the vehicle. Vehicle control can lead to vehicle hijacking and vehicle control risks.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vulnerability of smart key for vehicle. Analyze cyber attacks against smart keys in vehicles. Then, we conduct real hacking attacks on smart keys for vehicles and propose countermeasures. We conduct a hacking attack against the smart key for vehicle that has devised countermeasures and analyze countermeasures against cyber attack security.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vehicle deodorization and to the safety of the people.

  • PDF

A Study on Strengthening of Vehicle Cybersecurity based on Patent Data - Searching New Technologies to be Strengthened in the Vehicle Cybersecurity and Security Requirements based on Patent Analysis- (특허데이터를 활용한 자동차 사이버보안 강화방안 연구 - 특허분석을 통해 자동차 사이버보안 강화필요한 신규기술 탐색 및 보안요구사항 탐색 -)

  • Dong-Han Kwak;Hun-Yeong Kwon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23 no.5
    • /
    • pp.91-100
    • /
    • 2023
  • Vehicles are changing in the direction of utilizing various ICT technologies. Accordingly a number of software has been installed in vehicles, resulting in cybersecurity threats such as hacking. So each country is preparing legal regulations to secure vehicles cybersecurity. However, the enactment of legal regulations is bound to be relatively slow compared to the speed of development of vehicles technology, so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legal regulations by continuously monitoring of vehicles technology development trends. In this study, we search and analyze the latest vehicles cybersecurity patent applications to explore new technologies that require supplementation of vehicles cybersecurity. Threat technologies/security requirements for new technologies are presented through patent analysis

Security Trends in Intelligent Vehicle·Transport System (지능형 차량·교통 보안 기술 동향)

  • Han, J.W.;Lee, B.G.;Son, M.H.;Choi, B.C.;Kim, M.S.;Na, J.C.;Cho, H.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8 no.3
    • /
    • pp.86-94
    • /
    • 2013
  • 단순히 빠른 이동의 수단에서 안전하고 쾌적하게 이동할 수 있는 이동 수단으로 자동차 및 교통 인프라가 진화하고 있다. 이를 위한 IT 기술과의 융합으로 차량과 교통 인프라가 사이버 공격 등에 취약함이 다수의 사례를 통해 증명이 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차량과 교통 관점에서 발생 가능한 사이버/물리적 보안 취약점과 이에 대응하기 위한 보안 기술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할 보안 이슈들을 정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