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차량진동

검색결과 1,003건 처리시간 0.035초

차량산업에서의 인체진동

  • 장한기
    • 소음진동
    • /
    • 제12권2호
    • /
    • pp.113-119
    • /
    • 2002
  • ‘인체진동(human vibration)’은 진동에 대한 인체의 반응(human response to vibration)의 줄임말로써, 환경으로서의 진동 및 충격이 인체에 미치는 물리적, 심리적 영향을 측정, 평가하는 것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한다. 인체진동 분야의 주요 연구개발은 객관적인 물리량의 산출뿐만 아니라 주관적인 느낌을 수치화하는 작업을 포함하기 때문에 기계진동, 생체역학(biodynamics)과 기본적인 역학과 심리측정학(psychometrics), 심리물리학(psychophysics), 인간공학(ergonomics)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학문이 요구된다.(중략)

도로 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차량 유도풍 에너지 변환 시스템 (Energy Conversion System Using Vehicle-Induced Flow For Road Environmental Monitoring)

  • 이제윤;민철기;한의석;한상주;오재근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50-553
    • /
    • 2009
  • 도로 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 노드의 전력원으로 유도풍을 이용한 압전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은 기존 재생 에너지의 설치 및 작동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도로상에 주오염원인 자동차에서 발생되는 폐에너지를 활용하는 친환경적 에너지 순환시스템을 구현하는 핵심 요소이다. 차량 유도풍에 의해 발생되는 풍압으로 도로 상의 구조물에 진동을 유발한다. 이 때 발생한 진동 에너지는 압전체를 통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저장된 에너지는 센서의 구동과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센서 노드의 전력원으로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전력원이 필요없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60km/h로 주행하는 한 대의 차량에 의해 2.7m/s의 유도풍이 발생하여 0.6g로 도로 상의 구조물에 에너지를 전달하게 된다. 전달된 에너지가 압전체를 통해 15uJ 전기에너지로 저장된다.

  • PDF

최대 엔트로피 스펙트럼 방법을 이용한 차량의 과도 응답 특성 해석 (Maximum Entropy Spectral Analysis for Nonstationary Random Response of Vehicle)

  • Zhang, Li Jun;Lee, Chang-Myung;Wang, Yan Song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2권8호
    • /
    • pp.589-597
    • /
    • 2002
  • 주행중인 차량의 동적 거동에 대한 응답을 해석하기 위하여 시간영역에서 뿐만 아니라 주파수 영역에서의 해석이 필요하다. 주파수 영역에서의 해석을 위하여 시간영역에서의 값을 FFT를 이용하여 주파수 영역으로 변화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최대 엔트로피 방법을 이용하여 기존의 FFT 방법보다 차량의 과도응답특성을 시간영역 및 주파수 영역에서 편리하게 해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차량 진동특성 해석을 위한 VTL 차량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VTL Vehicle Dynamics Model to Analyze Vibration Characteristics)

  • 권성진;배철용;김찬중;이봉현;구병국;노국희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09-414
    • /
    • 2007
  • Nowadays, with the advancement of computational mechanics, and vehicle dynamics simulation linked up with virtual testing laboratory(VTL) and virtual proving ground(VPG) technologies has become a useful method for analyzing numerous driving performances and diverse noise/vibration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the analytical vehicle model based on multi-body dynamics theory was developed to investigate the vibr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various road conditions. For the purpose, the whole vehicle parameters, each vehicle's part parameter, and part connecting elements such as spring, damper, and bush were measured by an experiment. Also, the vehicle dynamics model, which includes the front suspension, rear suspension, steering, front wheel, rear wheel, and body subsystems has been constructed for computer simulation. With the developed vehicle dynamics model, three forces and three moments measured at each wheel center were applied to evaluate and analyze dynamics and vibration characteristics for miscellaneous road conditions.

  • PDF

공기 현가장치를 장착한 화물차량의 진동측정 및 한국형 공기 현가장치 모듈 개발 (Vibration Test of Truck with Air Suspension & Development of Korean Type Air Suspension)

  • 우준성;전용호;정성필;박태원;권순기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12호
    • /
    • pp.1215-1223
    • /
    • 2006
  • A leaf spring suspension has been widely used since it can carry big load and its simplicity. But one major drawback is the poor ride performance because of the friction in the system and the high stiffness coefficient. To overcome these, an air spring suspension can be used. The air spring suspension system can improve the ride of the heavy vehicle significantly and also it can adjust the height to the loading and unloading. The road tests for the truck with the leaf spring suspension and air spring suspension are performed to compare the ride quality of the two systems. To develop the air spring suspension system tailored to the target truck, chassis development procedure using CAE has been applied.

공기 현가장치를 장착한 화물차량의 진동측정 및 한국형 공기 현가장치 모듈 개발 (Vibration Test of Truck with Air Suspension & Development of Korean Type Air Suspension)

  • 우준성;전용호;정성필;박태원;권순기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32-339
    • /
    • 2006
  • A leaf spring suspension has been widely used since it can carry big load and simplicity. But one major drawback is the poor ride performance because of the friction in the system and the high stiffness coefficient. To overcome these, air spring suspension can be used. The air spring suspension system can improve the ride of the heavy vehicle significantly and also it can adjust the height to the loading and unloading. A truck with the leaf suspension system is modified with the air suspension system and the performance of the vehicle is compared using the suggested method. The existing leaf suspension can be replaced with the air suspension system to improve the performance.

  • PDF

자기부상열차 차량과 분기기 동적상호작용 시험 평가 (Dynamic Interaction Evaluation of Maglev Vehicle and the Segmented Switching System)

  • 이종민;한종부;김성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576-582
    • /
    • 2017
  • 자기부상열차의 분기기는 차량의 진행방향에 따라 노선을 변경해 주는 장치로서 차량의 분기기 통과시 차량의 주행 안전성을 보장해야만 한다. 일반 바퀴식 열차의 분기기기와는 달리 자기부상열차의 분기기는 대차가 궤도를 감싸고 주행하므로 분기기를 지지하는 구조물은 거더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분기기 구조는 거더 자체가 움직여 작은 반경의 곡선을 생성하기 위하여 단지 3~4개의 관절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비연속적 선형레일을 만들게 된다. 이로 인하여 비연속적 선형 레일은 거더 사이에 변곡점이 생기고, 이를 통과하는 차량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로인해 해당 지점에서 대차와 레일의 접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분기기 전체가 강 구조물로 구성되어 있어 진동 측면에서도 일반적인 콘크리트 구조물에 비해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천공항 시범노선에서 운행 중인 차량의 분기기 통과 시 동적상호작용에 의한 분기기의 진동 및 처짐 등을 측정하고, 차량의 진동 및 부상안정성 등을 측정하여 분기기의 설계 타당성과 안전성을 평가하고 향후 성능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차량의 25km/h 속도에서 부상 및 횡공극의 안정성을 확인하였고, 차량의 승차감이 UIC 513 기준에서 "편안함" 결과를 확인하였다.

전동차 차륜답면 마모에 따른 차량 진동 특성 영향 분석 (An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Wheel Flange Wear on the Vibration of EMU)

  • 허현무;박준혁;유원희;박태원;양칠식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230-235
    • /
    • 2009
  • 전동차 차륜에 대한 마모 특성과 차륜의 마모가 차량 진동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도심 곡선구간에서 운용되는 전동차를 대상으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차륜답면의 마모는 차륜 원형삭정 후 주행 초기(30,000km 이하)에 차륜 치수 및 등가답면구배 변화가 심한 직립마모 특성을 보이고 있다. 시험차의 누적주행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차륜의 마모가 진전되고 그에 따른 차체의 진동 수준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차체 진동 평균은 좌우, 상하방향 모두 "양호"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누적주행거리 증가에 따라 증가하여 "양호" 구간의 한계치에 이르고 있다. 특히, 차체 진동 최대 값은 더욱 뚜렷한 증가 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불균일한 진동발생 가능성이 커진다고 예측할 수 있다.

액화천연가스 차량용 연료탱크의 진동시험 (A Vibration Test of Fuel Tanks for LNG Vehicles)

  • 최명진;조태정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67-71
    • /
    • 2015
  • LNG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의 진동내구성을 검증하기 위해, 고유 진동수를 산출하여 공진여부를 점검하였으며, 진동시험을 수행하였다. 진동시험은 3가지의 양상으로 실시되었는데, 첫째는 초기 가진 주파수를 31.9Hz로 하고, 가진 주파수를 서서히 감소시키면서 시험을 수행하였는데, 가진 주파수가 22.1Hz일 때 파손이 발생하였다. 두 번째는 정지 상태에서 주파수를 증가시키면서 시험을 수행하였는데, 12.7 Hz의 가진 주파수에서 파손이 발생하였고, 질소 가스의 배출이 감지되었다. 세 번째 시험은 가진 주파수를 불규칙하게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수행하였는데, 가진 주파수가 8 Hz에서 19.3 Hz사이에 있을 때에 진동 포트가 파손되었다. 본 연구에서 감지된 연료탱크의 파손 현상과 진동시험 연구결과가 LNG차량용 초저온 연료탱크의 안전성 제고에 고려되기를 기대한다.

대형 엔진의 마운트 최적 설계를 위한 고찰

  • 허덕재;장한기
    • 소음진동
    • /
    • 제6권3호
    • /
    • pp.274-285
    • /
    • 1996
  • 본 글에서는 대형차량의 엔진 마운트 과정과 마운트 설계시 필요한 사항들에 대하여 간략히 정리해 보았다. 먼저 2장에서는 비교적 형상이 간단한 대형 차량의 마운트 강성을 정확히 설계하는 과정을 제시하였는데, 이 방법에 따라 아운트 재질에 대한 탄성계수를 데이터 베이스화 함으로써 다양한 경우에 원하는 특성을 갖는 마운트를 쉽게 설계할 수 있음을 보였다. 3장에서는 마운팅 설계를 위한 기초 데이터 -관성특성 및 가진력 등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며, 4장에서는 마운트 최적 설계과정을 정리하였다. 여기서 마운트의 강성을 선정하는 방법과 프레임의 유연성이 엔진 동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 최적화하는 과정을 기술하였다. 또한 시혐적 검토에 의한 평가방법을 5장에서 서술함으로 일반적인 엔진 마운트에서의 최적 설계에 대한 내용을 서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