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차량기동성

Search Result 45,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Concept Design of Arc-SAR System Mounted on a Vehicle (차량 탑재형 Arc-SAR 시스템 개념 설계)

  • Cho, Seong-Jun;Lee, Hoon-Yol;Kim, Kwang-Eu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8.03a
    • /
    • pp.3-6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레일형 GB-SAR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차량에 원형레일을 탑재하여 신속한 기동을 확보하고 합성구경의 길이를 늘리며 영상영역을 확장한 Arc-SAR의 설계안을 제시한다. 하드웨어 측면에서 살펴보면, 밴형 차량의 상부에 원형레일을 설치하고 마이크로파 송, 수신 안테나를 탑재한 후 레일 위를 1mm 이내의 정밀도로 이동시키며, 자료를 획득하게 된다. 이때 안테나에 연결된 동축 케이블은 차량 내부의 송, 수신장치에 연결되는데 RF대역에서 완벽히 작동하는 슬립링이 없기 때문에 내부 송, 수신 장치를 턴 테이블위에 장착하여 외부 안테나의 이동과 동일한 각도로 회전하여, 동축 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하게 된다. 송, 수신 장치의 구성은 벡터 네트워크 분석기를 기반으로 마이크로파 앰프, 마이크로파 스위치로 구성되며, 통합 제어 소프트웨어를 통해 외부 안테나의 이동과 함께 제어된다. 한편, Arc-SAR 영상의 구현은 원형레일을 따라 얻어지는 합성구경의 기하학적인 특수성을 감안하여 최초로 시도될 것이다. 이 시스템은 RTK-GPS를 장착하여 지반변형 모니터링 시 차량 이동 오차를 최소화 하고자 하며, 이외에 고정형 산란체를 이용하여 차량 이동 오차를 보정하고자 한다. 또한 AWS (Automatic Weather System)을 장착하여 위상의 대기보정을 동시에 수행할 것이다. 이 시스템은 차량 탑재에 의한 기동성의 확보로 침수나 침하 등 긴급 재난 지역에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며, 대형 구조물의 주기적인 변형 모니터링 등에 활용성이 클 것이다.

  • PDF

Search of Police Vehicles Pursuit Statistical Analysis: Focus on 'Pursuit Driving Report' in Illinois Law Enforcement (경찰 차량추격의 통계수집을 위한 콘텐츠 검토: 일리노이주 '차량추격보고서'를 중심으로)

  • Kim, Jung 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230-232
    • /
    • 2010
  • 경찰에게 요구되는 사회적 기대는 당시의 현실 사회가 처해진 상황에 따라 상이하다. 한국의 교통은 산업화와 더불어 급격하게 발전해왔다. 현재도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 국토적인 교통환경 변화를 긍정적으로만 이해할 수 없다. 예컨대, 기동성을 갖춘 '위험'을 양산하는 부작용을 파생했다는 측면 등도 부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현 단계에서 경찰의 차량을 이용한 치안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할 필요가 비교적 분명하다고 할 수 있다. 본문에서는 경찰차량추격 활동의 정책지원을 모색하기 위한 당면과제로서 관련 통계수집을 위한 콘텐츠 개발을 검토했다.

  • PDF

저고도 대공방어 무기체계-균형유지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 Son, Seong-Yun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3 s.229
    • /
    • pp.80-91
    • /
    • 1998
  • 오늘날 기동하는 장갑부대 및 기계화부대등 고가의 군사자산 보호는 제5의 위협으로 상정한바 있는 지상공격기(항공기, 유도미사일, 무인항공기 등)의 다양한 공격위협과 교전할 수 있는 전천후 방공능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서방 선진국은 저고도용 지대공 미사일(스팅어, 스타버스트, 미스트랄, RBS-70, 이글라 등)개발과 단일 장갑 차량에 "복합 방공무기체계"를 경쟁적으로 개발 및 운용하고, 중단거리 기동 방공체계를 연구 개발중이다. 특히 고도로 유동적인 장차전의 전장환경에서 적은 최신 무기로 공중침투 공격을 감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선진국의 "저고도 대공방어 무기체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 PDF

캐비닛(Cabinet)의 새로운 생산기술 개념

  • Choe, Jong-O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8 s.114
    • /
    • pp.44-51
    • /
    • 1988
  • 캐비닛은 전장에서 기동성 있는 작업공간을 제시하며, 군의 이에 대한 이용도는 이동정비, 지휘통신, 물자수송 등의 측면에서 날로 증가하고 있다. 다음 내용은 서독의 캐비닛 개선에 관한 내용을 번역한 것으로, 개념.계획.완성의 순서로 서술하였다. 이런 점에서 캐비닛은 모체차량으로부터 분리, 운용될수 있어야 하며 핵 및 고주파로부터 방호될 수 있어야 한다는 개념이다. 또한 모체차량의 적재능력 한계로 가능한 캐비닛 자체는 가벼운 재질과 특수제작공법으로 적절한 견고성을 유지할수 있도록 발전시키고 있으며, 사용목적에 알맞도록 캐비닛 내부를 설계, 장비시키고 있는바, 이러한 개선개발 추세를 관련업체나 연구 종사자들이 이해함으로써 개발후 이용도 측면에서 그 효과를 크게 기대할수 있어야 할 것이다.

  • PDF

Design Technique for Durability Improvement of Military Vehicle Clutch System (군용차량 클러치 내구수명 향상에 대한 연구)

  • Shin, Cheol-Ho;Kang, Tae-Woo;Kim, Sung-Gon;Kim, Seon-Ji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10
    • /
    • pp.117-124
    • /
    • 2019
  • Military Vehicles of the Korean army had been developed before 2004 and used manual transmissions. Manual transmissions contain a clutch system regulating the force from engine to transmission. In this study, a 2.5-ton military vehicle's clutch system was investigated. The existing clutch system had the characteristics that need to adjust the clearance between the clutch cover and release bearing. Improper clearance led to early wear of the clutch disk and failure of the clutch cover. To solve these problems, an improved clutch system was suggested and tested. The improved clutch system contains auto adjustment of the clearance and an enhanced clutch disk. To verify the improved clutch systems, 2 stage tests were conducted: an accelerated life test of the clutch system, and a driving test by trainee of driving more than 3,000km. As a result, the problems caused by the improper clearance adjustment were solved and this design was verified.

Development of the Mobile System for Repair with the TRS Network (TRS망으로 구성된 기동보수시스템 개발)

  • Lee, Bong-Jae;Jang, Moon-J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07a
    • /
    • pp.268-270
    • /
    • 2002
  • 신속한 고장복구를 통해서 정전시간을 최소화하고자 배전기동보수업무에 최신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하려는 시도는 많이 있었다. 그러나, 그간 GIS, GPS, Mobile 등 시스템 구현에 필요한 핵심요소기술들이 성숙되지 않은 상태였고, 무엇보다 기반 시스템으로서의 NDIS가 전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설비종합 DB와의 체계적인 연계가 미비하여 사업소 확산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렇지만, 최근에 관련 정보기술(IT)의 발달과 NDIS DB구축사업이 사업소별로 추진되어 기동보수시스템이 현장업무에 적용될 환경이 충분히 조성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동보수차량의 위치를 GPS와 TRS망을 연계하여 실시간 관리함으로써 고장지점으로 신속히 출동시키게 하고, 현장에서는 고장접수정보와 계통구성정보 등 관련 설비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고객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많은 비용과 노력을 기울인 GIS DB 구축자료의 활용성과 이용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대구경 박격포의 세계적 발전추세(2)

  • Mun, Gap-Tae;Yang, Gyeong-Seung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3 s.169
    • /
    • pp.60-67
    • /
    • 1993
  • 박격포는 고포물선 탄도 특성 때문에 산악지형이 많은 우리 실정에 매우 적합할 뿐만 아니라 현대전에서 중시되고 있는 시가지 전투에서도 매우 효과적이므로 국내에서도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를 통해서 군의 전투력을 향상시켜야 할 것입니다. 나아가 기동성 향상을 위한 차량탑재 및 자주화와 첨단 탄약개발등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

  • PDF

미래의 방위기술 전망-과학기술 추세를 중심으로

  • Lee, Yeong-Wan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2 s.144
    • /
    • pp.50-55
    • /
    • 1991
  • 대부대의 지휘통제는 보다 개선된 방법이 요구되는 것은 물론 무선통신 헬기나 전투차량에 탑재가능한 데이터 처리시설과 서로 다른 부대가 이동간 음성 및 암호통신과 데이나 처리를 할 수 있는 소프트 및 하드웨어가 필요하다. 이러한 능력이 있어야 기동성 있는 지휘통제 및 정찰은 최고 우선순위로 해결할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시의적절하고 정확한 정찰정보는 전투성공에 필수요소이다

  • PDF

Mobility Stabilization of a $6\times6$ Robot Vehicle by Suspension Kinematics Reconfiguration (현가장치 기구 재구성에 의한 $6\times6$ 로봇차량의 기동성 안정화)

  • Baek, W.K.;Lee, J.W.
    • Journal of Power System Engineering
    • /
    • v.14 no.3
    • /
    • pp.39-45
    • /
    • 2010
  • The dynamic stability of a robot vehicle can be enhanced by the Force-Angle Stability Margin concept that considers a variety of dynamic effects. To evaluate the robot vehicle stability, a SPI(stability performance index), which is a function of the suspension arm angles, was used. If the SPI has a minimum value, the robot vehicle has maximum stability. The FASM and SPI concepts were incorporated in the mobility simulation by using ADAMS and MATLAB/Simulink. The simulation results using these concep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of the vehicle stability on rough terra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