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차단막

Search Result 328,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Cracking Near a Hole on a Heat- Resistant Alloy Subjected to Thermo-Mechanical Cycling (열 및 기계적 반복하중 하의 내열금속 표면 홀 주변 산화막의 변형 및 응력해석)

  • Li, Feng-Xun;Kang, Ki-Ju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4 no.9
    • /
    • pp.1227-1233
    • /
    • 2010
  • In the hot section of a gas turbine, the turbine blades were protected from high temperature by providing a thermal barrier coating (TBC) as well as by cooling air flowing through internal passages within the blades. The cooling air then passed through discrete holes on the blade surface, creating a film of cooling air that further protects the surface from the hot mainstream flow. The holes are subjected to stresses resulting from the lateral growth of thermally grown oxide, the thermal expansion misfit between the constituent layers, and the centrifugal force due to high-speed revolution; these stresses often result in cracking. In this study, the deformation and cracks occurring near a hole on a heat-resistant alloy subjected to thermo-mechanical cycling were investigated. The experiment showed that cracks formed around the hole depending on the applied stress level and the number of cycles. These results could be explained by our analytic solution.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Watertightness Properties for Rain-Block System in the Sliding-Roof Joint of Large-Span Membrane Structures (개폐식 대공간 막 구조물에서 지붕 맞댐부 우수차단 시스템의 수밀성 평가에 관한 연구)

  • Oh, Sang-Keun;Baek, Ki-Youl;Lee, Sun-Gyu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0 no.3
    • /
    • pp.129-136
    • /
    • 2010
  • This study is an evaluation of the water-tightness properties of rain-block systems in the sliding-roof joint of large-span membrane structures. In this study, we suggested a method of evaluating the water-tightness performance of the joint part of a sliding door in the roof of a large-span membrane structure (for a pilot project), in an environment of rain and wind. The shape of the rainwater blocking systems of the joint part in a sliding door verifies the defects and the effects of water leakage prevention when there is precipitation with wind conditions. To secure the water-tightness of large span membrane structures, it is necessary to have a guideline on the evaluation of the design for rain-block system of the joint part, and the quality of the membrane material, both of a retractable roof and a closed roof.

Analysis of Tunneling Current of Asymmetric Double Gate MOSFET for Ratio of Top and Bottom Gate Oxide Film Thickness (비대칭 DGMOSFET의 상하단 산화막 두께비에 따른 터널링 전류 분석)

  • Jung, Hakke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0 no.5
    • /
    • pp.992-997
    • /
    • 2016
  • This paper analyzes the deviation of tunneling current for the ratio of top and bottom gate oxide thickness of short channel asymmetric double gate(DG) MOSFET. The ratio of tunneling current for off current significantly increases if channel length reduces to 5 nm. This short channel effect occurs for asymmetric DGMOSFET having different top and bottom gate oxide structure. The ratio of tunneling current in off current with parameters of channel length and thickness, doping concentration, and top/bottom gate voltages is calculated in this study, and the influence of tunneling current to occur in short channel is investigated. The analytical potential distribution is obtained using Poisson equation and tunneling current using WKB(Wentzel-Kramers-Brillouin). As a result, tunneling current is greatly changed for the ratio of top and bottom gate oxide thickness in short channel asymmetric DGMOSFET, specially according to channel length, channel thickness, doping concentration, and top/bottom gate voltages.

The Relationship between Use of Sunblocks and Dry Eye (자외선 차단제 사용과 건성안의 연관성)

  • Yoo, Hyun;Lee, Eun-He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6
    • /
    • pp.347-353
    • /
    • 2016
  • Dry eye symptoms can occur by various environmental exposur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ye symptom especially dry eye and sunblocks. Study subjects were total 30 (28 male, 2 female) and NIBUT, McMonnies dry eye questionnaire, subjective questionnaire were performed. NIBUT after rubbing sunblocks was decreased compared to that of not-rubbing. Sunblocks C showed the largest difference of NIBUT value and was chosen most uncomfortable sunblocks in subjective questionnaire. Half of the subjects (15) felt eyes discomfort after rubbing sunblocks and showed larger McMonnies dry eye questionnaire score than other subjects. The same result was founded about dry eye suspect criterion. Both showed borderline significant relation(p=0.049, p=0.051). This study suggested that sunblock could cause damage to the eyes and related to dry eye when rubbing sunblock around eyes. Because digital environmental factors could affect stimulus and modify the eyes, a convergence study will be required for additional research.

Numerical Analsis of floating debris behavior for a barrier system design (저수지내 선 차단시설 계획을 위한 부유쓰레기 유동특성 수치해석)

  • Park, Jong-Pyo;Cho, Young-Kweon;Joo, Sung-Sik;Yeon, Won-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70-174
    • /
    • 2011
  • 홍수시 저수지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다량의 오염물, 협잡물은 저수지의 경관 및 수질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오염물질은 홍수시 일시에 유입되어 표층에 부유하므로 수거를 위한 시간 및 비용이 비교적 크게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부유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시설물 설치는 필연적이다. 이렇게 부유쓰레기 수거를 위한 방법 중, 저수지 내부에 선 차단 시설을 설치하여 부유쓰레기를 홍수터로 유도하여 수거하는 방법은 일시에 많은 양의 부유쓰레기를 차단하게 되는데 유지관리, 경제적 측면에서 유리하다. 본 연구에서는 부유쓰레기 수거를 위한 선 차단시설 운영 방안을 검토하기 위하여 홍수시 저수지 내로 유입되는 유속흐름을 2차원 수치해석 모형인 RMA-2 모형으로 해석하고, 저수지의 내 외부 지형분석을 통하여 시범 지구의 선 차단시설 설치 위치를 선정하였고, 3차원 수치해석 모형인 FLOW-3D 모형으로 검증하였다. 선 차단시설 설치 시범지역 위치 선정을 위하여 저수지의 규모, 접근성, 시공 장비의 대여 편이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흥저수지를 시범예정 구역으로 선정하였다. 저수지 내로 유입되는 유속특성을 2차원 수치해석 모형인 RMA-2 모형으로 해석하여 시범 지구의 선 차단시설 설치 위치를 제안하고 홍수터 부지를 결정하였다. 부유쓰레기 유도를 위한 선차단시설은 저수지 급확대로 인한 유속 감소구간과 와류발생 구간이 적절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시범설치 지역인 기흥저수지 상류 급확대부에 선 차단시설을 제안하였다. 홍수터의 규모는 Armitage와 Rooseboom(2000)이 제안한 경험식을 바탕으로 $5,300m^2$을 제안하였으며, 기흥저수지 상류부 우안에 항아리 모양으로 설치하도록 계획하였다. 또한, 3차원 수치모형실험을 통하여 검토한 결과, 차단막 설치로 부유 쓰레기의 하류 이송은 차단되고, 원활하게 홍수터로 유도됨을 확인하였다.

  • PDF

Tissue Biosensor for Determination of $Na^{+}$ Channel Blocker in Chinese Drug and Seaweed (Porphyra yezoensis Ueda) (조직 센서를 이용한 한약재료 및 해조류의 $Na^{+}$ 챈널 차단물질 측정)

  • 천병수;류종수;검목건;도범열생
    • KSBB Journal
    • /
    • v.13 no.1
    • /
    • pp.71-76
    • /
    • 1998
  • Tissue biosensor for mearsuring sodium channel blockers, such tetrodotoxin(TTX), saxitoxin (STX) and paralytic shellfish poisoning(PSP) consisted of frog bladder membrane, and $Na^{+}$ electrode. The proposed biosensor was applied to determine Chinese drug and dry or wet Porphyra yezonesis $Na^{+}$ channel blockers below the detection limit of the standard mouse bio-assay while the observed detection limit didn't cause human poisoning. The proposed biosensor system may be used for future $Na^{+}$ channel blockers monitoring within the marine environment.

  • PDF

Blocking Layer Coating on FTO Glass by Sol-Gel Method for Dye-Sensitized Solar Cell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 효율 향상을 위한 졸-겔법을 이용한 차단막 코팅 방법)

  • Bae, Sang-Hoon;Han, Chi-Hwan;Kim, Do-Ji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96.1-96.1
    • /
    • 2010
  • 현재 태양광 시장에 진출한 대부분의 Si계열 태양전지는 복잡한 공정과 원재료 고갈, 높은 가격으로 인해 한계에 직면에 있는 상태이다. 최근 많은 연구소나 학교에서는 기존의 Si계열 태양전지를 대체할 대안으로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에 대해서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그동안의 연구개발로 단위 셀 면적에서는 상용화에 근접한 효율을 확보한 상태이다.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의 작동과정을 간단히 단계별로 살펴보면 나노 결정 산화물 반도체 표면에 흡착된 염료분자가 가시광선을 흡수하면 전자는 HOMO에서 LUMO로 천이하고 이 들뜬 상태의 전자는 다시 에너지 준위가 낮은 반도체 산화물의 전도띠로 주입된다. 주입된 전자는 나노 입자간 계면을 통하여 투명 전도성막으로 확산, 전달되고 산화된 염료분자는 전해질 I-에 의해 다시 환원되어 중성 분자가 된다. 그러나 표면상태 전자 중 일부는 산화된 염료와 다시 결합하거나, 전해질의 $I^{3-}$ 이온을 환원시키기도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암전류를 증가시키면서 반도체 전극 막의 성능을 저해하는 주원인이 된다. 전자의 재결합은 투명 전극을 통해서도 가능하기 때문에 투명 전극에 얇은 blocking layer를 도포한 후 나노 결정 산화물 반도체 전극을 제작하면 전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험에서 우리는 졸-젤 법으로 $TiO_2$ blocking layer 졸을 만들었고 간단하며 저가공정이 가능한 스크린 프린팅 방법으로 blocking layer를 형성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전도띠 에너지가 높은 반도체 물질로 표면을 처리하면 $TiO_2$-전해질 간 계면에 에너지 장벽이 형성되어 재결합을 줄여 모든 광전특성이 향상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