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차단막

Search Result 32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nalysis of Off Current for Conduction Path of Asymmetric Double Gate MOSFET (전도중심에 따른 비대칭 이중게이트 MOSFET의 차단전류 분석)

  • Jung, Hakkee;Kwon, Ohsh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10a
    • /
    • pp.759-762
    • /
    • 2014
  • 비대칭 이중게이트(double gate; DG) MOSFET는 단채널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트랜지스터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대칭 DGMOSFET의 전도중심에 따른 차단전류를 분석하고자 한다. 전도중심은 채널 내 캐리어의 이동이 발생하는 상단게이트에서의 평균거리로써 상하단 게이트 산화막 두께를 달리 제작할 수 있는 비대칭 DGMOSFET에서 산화막 두께에 따라 변화하는 요소이며 상단 게이트 전압에 따른 차단전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도중심을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단 게이트 전압에 따른 차단전류를 계산함으로써 전도중심이 차단전류에 미치는 영향을 산화막 두께 및 채널길이 등을 파라미터로 분석할 것이다. 차단전류를 구하기 위하여 포아송방정식으로부터 급수 형태의 해석학적 전위분포를 유도하였다. 결과적으로 전도중심의 위치에 따라 차단전류는 크게 변화하였으며 이에 따라 문턱전압 및 문턱전압이하 스윙이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Analysis on Consolidation Behavior of Soft Ground with Reactive Drain Pile (반응성 배수파일이 타설된 지반의 압밀거동 분석)

  • Kim, Beomjun;Oh, Myounghak;Yune, Cha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5 no.1
    • /
    • pp.13-23
    • /
    • 2014
  • Geotechnical evaluation on the reactive drain pile which can achieve simultaneously both the soft ground improvement and the remediation of contaminated pore water in reclamation site was performed. Applicability of steel-making slag used as a inside reactive material was confirmed. To investigate the consolid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oft ground improved by reactive drain pile, testing devices to form and install the reactive drain pile were developed and laboratory test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outside sand drain and the length of impermeable barrier.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consolidation time was decreased as the shortening of impermeable barrier. However, the effect of outside sand drain on consolidation time was dominant compared with the length of impermeable barrier.

The Damage Reduction Strategy for Power Plant Using Air Bubble Barrier (에어버블 차단막을 이용한 발전플랜트 피해 저감 방안 연구)

  • Chang, Hyung Joon;Lee, Ho Jin;Lee, Hyo Sang;Hwang, Myung Gy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1 no.1
    • /
    • pp.1-5
    • /
    • 2018
  • Power plant is the important infrastructure to generate electricity. This plant in normally located next to river and seashore in order to take cooling water through intake. However, the plant is stopped when marine organism blocks the intake, and it caused damages by social and commercial. Therefore, air bubble barrier has been used to block marine organism in order to operate the plant properl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rates of cut off of floating substance by air bubble barrier to develop the facility for the plant. The test was conducted by current velocity, pressure of air, specific gravity of the substance and the layer of the barrier, and the result showed the blocking rates by the condition.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develop the air bubble barrier and to operate power plant properly from the marine organism.

Numerical Modeling the Effects of Curtain Weir in the Daecheong Reservoir (수류차단막 설치효과 수치모의 (2009년))

  • Lee, Heung-Soo;Chung, Se-Woong;Min, Byeo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793-797
    • /
    • 2010
  • 물리적 녹조저감 기술인 커튼형 수류차단막은 유입 하천과 저수지 천이부에서 높은 영양염류와 조류를 포함한 표층 수류의 차단 또는 우회를 통해 본류 수역의 녹조발생을 저감하는 대책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9년 5월 회남대교 약 2 km 상류에 시범 설치된 대청호의 수류차단막 효과를 분석하고자 선행연구에서 보정한 2차원 횡방향 평균 수리 및 수질 모델을 최근의 수문사상인 2009년 6~8월까지 적용하여 검보정하고 수치모의를 실시하였다. 저수지 수위와 실측수위를 비교한 결과, 7월 중순 유입량 증가에 따른 수위 상승을 잘 반영하였고, 결정계수값($R^2$)이 0.997로 나타나 모델은 저수지 물수지 계산에 있어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댐앞과 회남수역에서 수심별 수온예측 오차는 AME 0.258~$1.584^{\circ}C$, RMSE 0.393~$2.548^{\circ}C$의 범위로 실측값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남, 댐, 추동, 문의 수역의 표층에서 $PO_4$-P 및 Chl-a 농도에 대한 모의값과 실측값의 시계열 비교 결과, 모델은 저수지내 각 측정지점에서 실측값의 시계열 변화를 잘 모의하였고, 회남수역에서 7월 중순 홍수 유입에 따라 증가하였다. 특히, $PO_4$-P 농도가 0.06 mg/L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홍수기에 높은 영양염류를 포함한 탁수가 수류차단막 하단을 통과하여 수리학적 도수현상(Hydraulic jump)을 일으킨 것이 원인이라 판단된다. 수류차단막 설치에 따라 회남수역의 표층에서 Chl-a 농도의 저감 효과가 두드러졌으나, 댐, 추동 및 문의수역에서의 제어 효과는 미미하였다. 이와 같이 회남수역에서 효과가 큰 이유는 2009년 수문사상의 영향과 저수지 지형특성상 유입수의 영향을 직접받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회남수역에서 수류차단막 설치에 따른 T-N 및 T-P 평균 저감 효율(수류차단막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 대한 설치 후 농도 저감 비)은 각각 10.8% 및 19.1%이었으며, 평균 저감농도는 모의값을 기준으로 각각 1.637 mg/L에서 1.461 mg/L 및 0.047 mg/L에서 0.038 mg/L로 나타났다. DIN 및 $PO_4$-P 평균 저감 효율은 각각 6.4% 및 24.6%이었고, Chl-a 평균 저감 효율은 25.5%이었으며, 평균 저감농도는 모의값을 기준으로 0.025 mg/L에서 0.018 mg/L로 나타났다. 모의결과를 종합해 볼 때, 대청호에 시범 설치된 조류제어용 수류차단막은 2009년의 수문사상에서 회남수역의 녹조발생 저감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대청호에서 유사한 수문사상을 보인 2006년(62일간)에 비해 2009년(28일간)에 조류주의보 발령 일수가 대폭 줄었다는 사실도 차단막의 효과를 간접적으로 확인해 준다.

  • PDF

INFECTION CONTROL OF LIGHT CURING UNITS (광중합기 사용 시의 감염 조절)

  • Chang, Hoon-Sang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35 no.4
    • /
    • pp.235-237
    • /
    • 2010
  • When curing the composite restorations with light curing units, the light guides are often in direct contact with oral tissues, therefore contamination of light guides is inevitable. Curing light guides fall into the "semicritical" instrument category according to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and must be heat or vapor-sterilized or at a minimum, these semicritical instruments must be sterilized in a liquid chemical agent. Currently, most common methods of maintaining sterility of the light guides are wiping the guide with a disinfectant, such as glutaraldehyde, after each patient use; using autoclavable guides; using presterilized, single-use plastic guides; and using translucent disposable barriers to cover the guide.

Trends of Technologies for High Performance Polymer Barriers against Radiation (고성능 방사선 고분자 차단막 기술동향)

  • Lee, Gi-Bbeum;Park, Sung-Eun;Kim, In-Woo;Jeong, Kwang-Un;Lee, Hong-Ki;Nah, Chang-Woon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v.46 no.2
    • /
    • pp.94-101
    • /
    • 2011
  • The conventional radiation barriers may show some disadvantages such as heavy weight and possibility of poisoning human bodies because they are composed of lead plates or resin plates containing large amounts of lead powders. Another disadvantage may be direct penetration of radiation through small pin holes. In this article, technologies of multi-layered polymer barriers against radiation, which has been extensively focused recently, will be introduced. A new concept of radiation protection as well as improving endurance with employing nano-layered inorganic particles is introduc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