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집락성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27초

국제표준화기구 ISO/NP 16266 방법을 이용한 환경 중 Pseudomonas aeruginosa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seudomonas aeruginosa in Natural Environments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NP 16266)

  • 이시원;김지혜;이보람;주윤리;최별;박수정;정현미;정원화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84-386
    • /
    • 2014
  • 녹농균은 병원, 물, 토양 및 대기 등의 많은 자연과 인공환경에서 서식하는 기회주의적 병원체로, 병원 내 감염 등의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뢰높은 표준화 방법인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을 적용하여, 물과 토양에서 220개의 녹농균의 추정 집락을 분리하였으며, 생리생화학적 특성으로 녹농균을 동정하였다. ISO/NP 16266 방법을 적용하였을 때, 총 220개의 추정 집락 중 방류수에서 drain swab으로 채취한 오직 1개의 집락만이 최종적으로 녹농균 양성으로 확정되었다. 한편, ISO에서 2014년 새롭게 제안한 1,10 phenanthroline 저항성 실험은, 환경 중 P. aeruginosa를 검출 및 동정하기 위해 적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다변량 해석법에 의한 누에 육종소재의 탐색 1. 주성분분석과 집락분석을 이용한 누에품종분류 (Classification and Selection of the Breeding materials in the Silkworm, Bombyx mori, by Multivariate Analysis 1. Classification of the Silkworm Genetic Stocks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 정도섭;이인정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02-112
    • /
    • 1989
  • 국내에서 보존중인 148개 누에 품종을 공시하여 화용비율, 상견화율, 수견량, 1l과수, 단견중, 견층중, 견층비율, 5령경과일수, 전령경과일수 등 9개 형질을 조사하여 주성분분석과 집락분석방법으로 품종분류를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관분석결과, 수견량, 단견중, 견층중, 견층비율, 5령경과일수, 전령경과일수의 6개형질은 상호간에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2. 9개 조사형질의 상관계수에 대한 주성분분석 결과, 제일주성분-제삼주성분까지의 3주성분에 의하 전정보량의 약 805가 해소되었으며, 제1주성분은 견생산성인자, 제이주성분은 고치생산성인자로 특징지워졌으며 제삼주성분은 총합특성치의 특성을 정의하기 어려웠다. 3. 주성분 스코아를 이용하여 계산한 city block distance(품종간거리)에 의하여 148개 누에품종은 7개의 품종군으로 분류되었는데, I군은 견생산성이 낮고 고치생산성이 중 정도인 품종군으로 여러 지리적 품종들이 비교적 고루 분포되어 있었으며, II군은 견생산성은 높으나 고치생산성이 낮으며 일본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제III군은 견 및 고치생산성이 공히 낮은 품종군이었고, 제IV군은 견생산성과 고치생산성이 다같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주로 중국품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제V군은 견생산성은 높으나 고치생산성이 낮았으며 대부분 유럽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제VI군은 견 및 고치생산성이 낮은 일본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3. 지리적 품종과 품종군과의 관계에서 중국품종들은 주로 제IV군에 분포되어 있었고 유럽종은 주로 제5군에 분류되었으며, 일본종은 7개의 품종군에 고루 분포되어 유전적으로 가장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용혈독소를 생산하는 기수성 비브리오균의 생리${\cdot}$생태적 특성과 수산식품의 위생 대책 1. 용혈독소를 생산하는 새로운 병원성 Vibrio sp.의 분리와 동정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Hemolytic Vibrios and Development of Sanitary Countermeasure of Raw Fisheries Foods 1.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Novel Pathogenic Vibrio sp. Producing Hemolysin)

  • 김영만;최길배;장동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61-366
    • /
    • 1997
  • 금강 하구의 물에서 분리된 sucrose 분해성 Vibrio 속 중에 용혈독소를 생산하는 균주의 독성을 시험한 결과와 기존에 알려진 12종의 병원성 Vibrio 녹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분리된 장소의 환경조건은 염도가 $4.7\%_{\circ}$, pH가 7.6, 수온이 $24^{\circ}C$ 및 conductivity가 $7800{\mu}MHOS$이었다. 2. 생리, 생화학적 특성과 염분 요구도를 비교한 결과 sucrose를 분해하는 병원성 Vibrio인 V. alginolyticus, V. cholerae, V. cincinnatiensis, V. fluvialis, V. furnissii 및 V. metschnikouii와는 확실히 구별되었다. 3. 생육가능한 염도는 $0.5\~7.5\%_{\circ}$이었으며 생육가능한 pH는 $4.5\~9.5$이었다. 4. TCBS 평판한천배지에서 균의 집락은 전형적인 황색집락이었으며, 전자현미경에 나타난 균의 형태은 콤마상 간균이었다. 5. 새앙쥐에 대한 치사독성이 확실하였으며, 사람과 면양 적혈구에 대한 용혈성이 확인되었고 rat 피부혈관 투과성 항진작용이 양성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이 균은 병원성이 확인되었고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Vibrio 속으로 확인되어 이 균을 Vibrio sp. D5로 명명하였다.

  • PDF

I)Interleukin-1 수용체 길항제에 의한 만성골수성백혈병 집락형성 및 K562 증식억제 II)각종 암세포주에 대한 P항암제의 항암효과

  • 김삼용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207-207
    • /
    • 1994
  • I) 지금까지 만성골수성백혈병의 치료법으로서 골수이식이나 인터페론의 투여등이 시행되어왔으며 백혈병세포에서 Interleukin-1$\beta$(이하 IL-1$\beta$)이 자율적으로 생성됨이 보고 되어 이러한 질병의 진행에 IL-1$\beta$의 활성증가가 관련될것이라는 견해가 대두되어 왔다. 최근 단핵구성백혈병 환자의 소변에서 분리된 IL-1수용체 길항제(1L-1 receptor antagonist: IL-lRA)가 clonig되었고 인터페론치료에 저항하는 환자들의 치료에 IL-1RA 가 이용될수 있을것이라는 견해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전공학연구소가 분리 정제한 IL-1RA가 만성골수백혈병 환자로부터 유래한 K562세포주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알파인터페론과의 병용투여시의 상호작용에 관해 검토하였다.

  • PDF

간장질환 치료제 G009의 개발 - 급성 및 유전독성 연구

  • 문병우;하광원;이송득;조순현;이승목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203-203
    • /
    • 1994
  • 3) 결과 및 고찰 : 급성독성시험 : 대조군 및 G009투여군(최저 312.5mg/kg, 최고 5000mg/kg) 5용량에서 모두 사망예가 관찰되지 않았다 체중변화에 있어서도 대조군과 투여군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 육안적 소견은 생존동물 모두에 약물에 기인한 내부장기의 이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유전독성시험 : 마우스 골수세포를 이용한 소핵시험에서 약물 투여에 의한 어떠한 독성의 징후도 관찰되지 않았다. 포유류 배양세포를 이용한 염색체이상 시험에서 모든 농도에서 염색체 이상을 가진 세포의 출현빈도가 3% 이하로서 G009는 CHL세포에 대하여 염색체 이상유발성이 없었다. 살모넬라균을 이용한 복귀돌연변이 시험에서 투여군은 음성대조와 같은 정도 또는 그 이하의 복귀변이 집락수를 나타내었다.

  • PDF

마우스에서 방사선 영향에 대한 녹차와 Diethyldithiocarbamate의 조절효과 (Modification of Gamma-radiation Response in Mice by Green Tea and Diethyldithiocarbamate)

  • 김세라;김성호;이해준;오헌;류시윤;이윤실;김태환;조성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108-111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손상 경감효과를 나타내는 기호식품을 발굴하고자 국내에서 주로 음용되고 있는 녹차의 방사선 손상 경감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고선량 및 저선량 방사선을 마우스에 조사하고 소장움 생존, 내재성 비장 조혈세포집락 형성 및 apoptosis 유발 등을 관찰하였으며, 그 효과를 방사선 방호효과가 알려져 있는 diethyldithiocarbamate(DDC)와 비교$.$관찰하였다. 생존 소장움의 수는 방사선 조사 전 녹차 투여군(경구투여군 : p<0.01, 복강내 투여군 : p<0.01) 및 DDC 투여군(p<0.005)에서 유의성있게 증가되었다. 내재성 조혈세포집락 형성은 방사선 조사 대 조군에 비하여 조사 전 복강내 투여한 군(p<0.05)에서만 유의성 있는 증가를 나타냈으며, DDC 투여군에서는 효과를 관찰할 수 없었다. 방사선에 의한 apoptotic cell의 형성은 방사선 조사 전 녹차 투여군(경구 투여군 : p<0.005, 복강내 투여군 : p<0.05)및 DDC투여군 (p<0.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녹차의 방사선 손상 경감효과를 조혈세포의 생존과 회복, 소장움 세포 생존 및 방사선에 의한 apoptosis 유발억제를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이는 독성이 적은 천연물이라는 관점에서 방사선 손상 경감 음료로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며 추후 유효 분획 및 성분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감마선조사 한약의 방사선방호 효능 안정성 (Stability in Effects of ${\gamma}$-Irradiated Chinese Medicinal Prescriptions on Protection of Mice from Radiation)

  • 양정아;김성호;김세라;유영법;조성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506-512
    • /
    • 2000
  • 건조 농산물을 비롯한 식품에 대한 방사선 조사가 허가, 시행되고 있으며, 그 적용 범위도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조 생약재의 위생화의 대체방법으로 방사선 조사 기술의 적용이 산업계로부터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감마선 조사 생약재의 효능 변화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저자 등은 사물탕, 보중익기탕 및 삼령백출산 등이 방사선 방호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이미 보고한 바 있다. 본 실험에서는 감마선 조사(10 kGy)한 이들 한약제 각각의 방사선 방호 효과를 비조사 시료와 비교 평가하였다. 효과평가를 위하여 방사선 조사 마우스에서 소장움 생존시험, 내재성 비장집락 형성시험 및 apoptosis 측정을 시행하였다. 각 한약제의 감마선 조사 시료는 3가지 시험 모두에서 비조사 시료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p<0.05), 생체내 독성도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생약재의 여러 가지 고유 효능 중 일부의 안정성으르 확인한 것으로 생각되며, 이 결과로 미루어 보아 감마선 조사 생약재의 효능 안정성은 한의학적 고유의 효능 비교 평가를 통하여 확인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저자 등은 감마선 조사 생약재의 유효성분 안정성 및 유전 독성학적 안전성을 확인하여 보고한 바 있다. 이들 결과를 토대로 향후 감마선 조사 행약재의 고유 효능의 안정성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결과를 얻는다면 생약재의 위생화 수단으로 감마선 조사기술의 이용이 실용화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무당벌레 소화기관으로부터 장내세균의 분리 및 계통학적 다양성 (Biodiversity and Isolation of Gut Microbes from Digestive Organs of Harmonia axyridis)

  • 김기광;한송이;문청원;유용만;황경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66-73
    • /
    • 2011
  • 각 지역에서 수집한 무당벌레(JK, CK, CJ)의 소화기관을 채취하여 장내세균의 밀도를 조사한 결과, 호기배양의 경우 $6.0{\times}10^4$ CFU/gut, 혐기배양 결과 $8.0{\times}10^6$ CFU/gut로 계수되었다. 호기적 조건에서 배양된 세균 집락은 총 7가지 형태로 분류되었으며, 혐기적 조건에서 배양된 집락은 총 3가지 형태로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었다. 무당벌레 각 소화기관으로부터 호기성세균 34균주와 혐기성세균 82균주, 총 116균주의 장내세균을 순수분리하였다. 호기성 세균 34균주를 대상으로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해석한 결과, ${\alpha}$-Proteobacteria (3균주), ${\gamma}$-Proteobacteria (2 균주), Firmicutes (24 균주), Actinobacteria (4 균주) 그리고 Deinococcus-Thermus (1균주) 계통군으로 분류되었다. Firmicutes 계통군의 Bacillus thuringiensis와 Staphylococcus 속의 다양한 종은 JK, CK 및 CI 무당벌레 소화기관에서 모두 공통적으로 분리되었다. 형태적으로 유사한 혐기세균의 16S rRNA-ARDRA 패턴양상을 분석하여 유사도 70%에서 비교한 결과, 17개 ARDRA group으로 분류되었다. 각 ARDRA group에 속하는 대표 혐기성세균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해석한 결과, 무당벌레 소화기관에서 분리된 모든 혐기성 장내세균은 ${\gamma}$-Proteobacteria 계통군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Hafnia alvei, Enterobacter ludwigii, Enterobacter kobei, Pseudomonas oryzihabitans 그리고 Pseudomonas koreensis와 높은 유연관계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무당벌레 소화기관으로부터 분리된 전체 장내세균의 약 70%가 ${\gamma}$-Proteobacteria 계통군에 속하였으며, 23%가 Firmicutes 계통군으로 무당벌레 소화기관 내 주요 계통군임이 확인되었다.

Xylooligosaccharide의 복귀돌연변이 시험 (Bacterial Reverse Mutation Assay of Xylooligosaccharide)

  • 오화균;박윤제;이운택;이지완;이창승;류보경;양창근;윤세왕;강부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59-264
    • /
    • 1999
  • Xylooligosaccharide의 세균에 대한 돌연변이 유발성을 검색하기 위하여 Salmonella typhimurium의 히스티딘 요구성균주 TA100, TA1535, TA98 및 TA1537의 4개 균주와 대장균 Escherichia coli의 트립토판 요구성 균주인 WP2 uvrA를 이용해 복귀돌연변이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물질은 증류수에 용해하여 처리하였으며, 대사 활성계 미적용 및 적용하에 $5000\;\mu\textrm{g}/plate$를 최고농도로 하고 공비 2로서 5단계 농도군(313, 625, 1250, 2500 및 $5000\;\mu\textrm{g}/plate$)과 음성 및 양성 대조군으로 시험군을 구성해 본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결과 시험물질을 처리한 모든 농도군에서 복귀돌연변이 집락 수는 음성대조군과 비슷한 정도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xylooligosaccharide는 본 시험 조건 하에 사용한 균주들에 복귀돌연변이를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도라지 추출물의 안전성 및 항암 효과 (Safety and Anticancer Effec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Extracts)

  • 김수현;정미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516-523
    • /
    • 2015
  • 도라지 추출물과 그것의 분획물들(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의 발암물질 N-nitrosodimethylamine(NDMA)과 유전독성에 대항하는 안전성, 항돌연변이 및 항암 효과를 연구하였다. 도라지 추출물과 그것의 분획물들의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평가를 위한 복귀돌연변이 시험은 S. Typhimurium TA98과 TA100의 복귀변이 집락수를 조사하는 Ames test로 수행하였다. 도라지 추출물과 그것의 분획물들은 복귀변이 집락수를 유의적으로 변화시키지 않았고,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과 4-nitroquinoline 1-oxide에 의해 유발된 돌연변이에 대해 농도 의존적으로 돌연변이 억제 효과가 있었다. 도라지 추출물과 그것의 분획물들 중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가장 높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도라지 70%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들은 인간 자궁경부암세포(HeLa), 인간 간암세포(HepG2), 인간 유방암세포(MCF-7) 및 인간 폐암세포(A549)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인간 신장정상세포(293)는 암세포보다 억제 효과가 낮았다. 더하여 in vivo에서 도라지 70%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암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Balb/c 마우스에 sarcoma-180 종양세포로 고형암을 유발시키면서 도라지 추출물과 그것의 분획물들의 고형암 성장 억제 효과를 알아본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고형암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냈고 도라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가장 높은 억제 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도라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NDMA 생성을 억제하였다. 따라서 도라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항돌연변이 및 항암 효과가 있었고 현재 실험 조건에서 안전한 새로운 항암 소재 후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