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집단요법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8초

CarboMedics 판막의 6년 임상 성적 (Six-year Clinical Experience with CarboMedics Valve)

  • 구본원;허동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9호
    • /
    • pp.971-976
    • /
    • 1996
  • 경북대학교 병원에서는 1988년 3월부터 1992년 10월까지 연속적인 166명의 환자(평균 나이 38세, 남녀 성비 66 대 100)에게 201개 (승모판 150개, 대동맥판 50개, 삼천판 1개)의 CarboMedics 인공 판막을 이식하였다. 전체 추적 기간은 6646환자-월(평균40개월)이었고, 추적율은 96%였다. 술전에 124명 이 뉴욕 심장병학회 기능 분류 )기와 4기에 속하였고, 술후에는 164명 (98.7 %)이 1기와 2기에 속하였다. 병원 사망은 4.2%였고, 만기 사망도 4.2%였다. 전체 집단에서 생존율의 중간값인 77개월까지의 생존율은 89.4 %였다. 판막 관련 사망, 인공 판막의 혈전, 항응고요법에 따른 출혈, 비구조적 기능 이상, 재수술등의 linearized incidence는 환자-연당 각각 0.72%, 0.18%, 0.18%, 0.18%, 0.36%였다. 77개월까지 판막 관련 사망이 없을 율은 94.9%, 인공 판막의 혈전이 없을 율은 99.4%, 항응고요법에 따른 출혈이 없을 율은 99.4%, 비구조적 기능 이상이 없을 율은 98.6%, 재수술이 필요하지 않을 율은 97.6%였다. 77개월까지 병원 사망을 포함한 모든 판막 관련 합병증과 사망이 없을 율은 90.9 %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CarboMedics 판막은 판막에 관련된 합병증이 적었고, 구조적 이상은 없어서 중단기 추적 조사 결과는 만족스러우며, 향후 장기 추적 검사를 요한다.

  • PDF

국내 수면장애 성인을 위한 비약물적 중재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Effects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adults with insomnia in Korea: A meta-analysis)

  • 정복례;박현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95-106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수면장애를 가진 성인을 대상으로 비약물적 중재를 실시한 논문을 메타분석하여 중재 효과의 크기를 확인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검색은 국가과학기술정보 통합서비스 (NDSL), 한국교육학술정보원 (RISS), 한국학술정보원 (KISS), 학술데이터베이스서비스 (DBpia)에서 이루어졌으며, 검색된 2000년부터 2016년까지의 연구 1,334편 중 16편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분석은 메타분석 R(version 3.3.1)을 활용하였으며, 랜덤효과모형을 이용하여 비약물적 중재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메타분석 결과 수면장애가 있는 성인에게 수행된 비약물적 중재의 효과크기 Hedges' g는 2.36 (95% CI: 1.44~3.28)로 큰 효과크기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 분석에서 연령 집단, 중재방법, 입원유무 및 결과측정 도구에 따른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연구설계 및 참여자 유형에 따른 효과크기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중재 중 이압요법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고, 발반사 마사지, 아로마요법, 기타 및 웃음치료 순이었다. 연구결과는 수면증진을 위한 비약물적 중재가 수면에 효과적임을 확인하게 되었고, 실무에서 수면장애를 가진 성인을 위한 중재를 선택하고 실행하는데 객관적인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소아 당뇨 환자의 캠프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과 환자 역할 행위이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mping Programs on Self-efficacy and Sick-role Behavioral Compliance in Juvenile Diabetes Mellitus Patient)

  • Park, Yeon-Hee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59-68
    • /
    • 1997
  • 당뇨병은 고혈당을 조절 안할 경우에는 돌이킬 수 없는 신체적 합병증은 물론 정신적 손상까지 받지만, 고혈당은 노력만 하면 조절이 가능하며, 정상에 가까울 정도로 조절되면 정상인과 같은 삶을 영위할 수 있다. 그러나 보건의료 전문가의 인슐린 주사 요법, 식사 및 운동요법 등의 일방적인 처방만으로 성공적인 당조절을 기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 당뇨병 환자에게 당뇨병이라는 것이 무엇이며, 어떻게 이 병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게 만드느냐가 더욱 중요한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당뇨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각 지역과 의료기관마다 다양한 당뇨병 교육 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있다. 특히 소아 당뇨병 환자는 이러한 전통적인 당뇨병에 관한 교육을 통해서 당뇨병에 관한 지식은 많이 가지고 있지만, 당뇨병 자가 조절을 위한 환자 역할 행위(sick-role behavior)를 변화시키는데는 그다지 성공절이라 할 수 없다. Bandura(1977)는 자기 효능은 ‘할 수 있다는 자신감’으로 수행 성취, 대리 경험, 언어적 설득, 정서적 각성에 관한 정보에 의해 결정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들은 자기 효능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의 방향을 제시해 준다. 오늘날 이러한 정보를 활용한 중재 프로그램 중에서 가정과 학교를 떠나 자연 환경 속에서의 집단 활동을 통하여 사회 학습 경험을 하는 캠프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캠프에 참여한 당뇨병 아이들은 캠프 활동속에서 다른 동료 아이들이 자신이 갖고 있는 문제들을 성공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것을 관찰하여 대리 경험하게 될 때 희망을 가지게 되며, 당뇨병을 가진 다른 동료들과 공통의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어 그들은 자신이 더 이상 혼자가 아니며 남과 ‘다르지’도 않다는 것을 깨닫게 되어 점차 자신감을 가지고 살아갈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는 캠프 프로그램이 소아 당뇨병의 자기 효능을 증진시키고, 당뇨병 환자 역할 행위 이행 정도를 높여주는지를 규명해 봄으로써, 소아 당뇨병 환자를 위한 효과적인 간호 중재 방안을 제시하고자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 설계의 유사 실험 연구를 시도하였다. 1996년 8월 10일 부터 12월 12일까지 종합병원에서 추후 관리하고 있는 소아 당뇨병 환자중 선정 기준에 맞는 환자 41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중 19명은 실험군으로 Bandura의 자기 효능 증진을 위한 정보원을 활용한 캠프 프로그램을 5박 6일간에 걸쳐 실시하였고, 다음 22명은 대조군으로 캠프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았다. 자료수집은 자기 효능 척도와 환자 행위 역할 이행 척도를 캠프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에 사전 조사를 하고 중재 후 4주째 사후 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로 Chi-square test, t-test, ANCOVA, Pearson correl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캠프 프로그램은 소아 당뇨병 환자의 자기 효능을 증진시키고 환자 역할 행위 이행을 높여주는데 효과적 이었다. 소아 당뇨병 환자의 자기 효능은 환자 역할 행위 이행과 순 상관 관계가 있어, 자기 효능이 증진될수록 환자 역할 행위 이행 정도가 높아졌다.

  • PDF

A study of the multicomponent therapeutic recreation function intervention strategy by analysis on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in dementia care center

  • Moon-Sook Lee;Byung-Jun Cho;Jae-Sik Ya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2호
    • /
    • pp.155-166
    • /
    • 2023
  • 이 연구는 치매안심센터 인지재활 프로그램의 현황 및 실태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과 다차원적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개발방향과 내용을 도출하고자 D시의 치매안심센타 인지재활 치료프로그램 참여 노인 각 50명씩(5개구)을 선정하였고, 9명을 전문가 집단 의견수렴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구성요소별 중요도 및 우선순위는 계층구조분석을 시행함으로써, 첫째, 현재 제공되고 있는 인지재활 지원 프로그램은 이용자의 요구와는 달리 지원프로그램이 충분하지 않아 경험이 상당히 낮게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개선점으로는 돌봄이나 보호시설 확대와 이용자의 요구를 충족할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중요하다고 나타났고, 둘째, 치료레크리에이션 구성요소별 중요도와 우선순위는 대분류(6개) 운동요법, 중분류(16개) 운동요법의 행동중심 접근법, 소분류(47개) 힘뇌체조, 실버건강체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개발시 각 영역의 우선순위를 고려한 다차원적 프로그램 계획이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학교 집단 요 검사 이상으로 추적검사 중 전신 홍반 루푸스로 진단된 1예 (Diagnosis of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During Medical Follow-up After Urinary Screening)

  • 윤소진;송지은;신재일;정일천;이재승;심효섭;정현주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2권2호
    • /
    • pp.227-232
    • /
    • 2008
  • 16세 여아가 학교 소변 검사에서 단백뇨와 현미경적 혈뇨가 나타났으며 신생검에서 감염 후 사구체 신염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단백뇨는 안지오텐신 효소 억제제 치료에도 반응하지 않았다. 6개월 후 경부 림프절염이 나타났고 목 주위 림프절생검에서 아급성 괴사성 림프절염 소견을 보였다. 이후 2개월 후, 환아는 얼굴의 발진과 혈소판 감소증을 보였다. 재 신생검에서 루프스 신염 class IV 소견을 보였다. 환아는 충격 methylprednisolone(500 mg/일) 3일간 정주 후 경구 deflazacort로 유지하였으며, 이와 함께 cyclophosphamide(1 g/$m^2$)를 월 1회 정주 충격 요법을 6회 실시하였다. 이에 본 저자들은 학교 집단 요 검사 이상으로 추적검사 중 전신 홍반 루푸스로 진단이 되었던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걷기, 경관감상 그리고 향기를 이용한 산림치유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치매예방에 미치는 효과 연구 (A Study of Walking, Viewing and Fragrance-based Forest Therapy Programs Effect on Living Alone Adults' Dementia Prevention)

  • 김일두;구창덕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07-11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숲 환경을 이용한 산림치유 6대 요법 중 걷기, 경관 감상, 숲속 향기를 이용한 산림치유프로그램 체험활동이 독거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삼척시에 거주하며 우울증과 건망이 심하다고 호소하는 독거노인 17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은 각 두 집단으로 나뉘어 각 집단은 매 주 1회(총 6회기) 산림치유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이들은 모두 인지기능, 우울, 삶의 질에서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한국형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K), BDI(Beck Depression Inventory 한국판), SF-36(Short Form 36 health survey questionnaire)에 대한 사전-사후(one-group pre-post test design) 설문지 검사를 받았다. 연구결과 치유 프로그램 참여 후 응답자의 정신상태와 우울 수준 그리고 삶의 질이 모두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해서 산림환경을 이용한 치유프로그램 활동 참여가 은둔형 독거노인에게 인지기능 향상과 우울 해소 그리고 삶의 질 개선에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홀로 남겨져 외부활동을 기피하는 은둔형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정기적인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토록 유도할 경우 나이와 환경으로 인한 치매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집단 인지정서행동요법 프로그램이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소진,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Group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on the Nurses' Job Stress, Burnout,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 김혜련;윤숙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32-442
    • /
    • 2018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Group REBT program with group counseling for nurses and test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on their job stress, burnout,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Method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was employed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Group REBT program on nurses' job stress, burnout,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47 participants from two hospitals. The data from the experimental (n=23) and control (n=24) groups were analyzed from January 5 to April 3, 2015. The Group REBT program was conducted eight tmes in all, once a week, with each session lasting 180 minutes. The effect of experimental intervention was measured for each group using a series of structured questionnaires at each of the phases: Pre-intervention, post-intervention (immediately after intervention), and post-intervention (four weeks after intervention). Following this, the significance of the changes in the scores was tested. Results: The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the Group REBT program,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hypotheses were supported in terms of job stress (F=8.85, p<.001), burnout (F=5.62, p=.022), job satisfaction (F=2.70, p=.042), organizational commitment (F=2.97, p=.048), and turnover intention (F=4.60, p=.012). Conclusion: The Group REBT program was shown to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that could reduce nurses' job stress and burnout and increas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fore, the Group REBT program can be adopted by nursing organizations to strategically decrease nurses' turnover intention.

군마(軍馬)에 발생(發生)한 윤선(輪癬)에 관한 연구(硏究) I. 임상증례보고(臨床症例報告) 및 치료시험(治療試驗) 성적(成績) (Studies on Ringworm in Military Horses 1. Clinical Observations and Therapeutic Experiments)

  • 김만영;강영배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5-170
    • /
    • 1973
  • 1972년 여름, 사관생도(士官生徒) 승마교육용(乘馬敎育用)으로 육군사관학교(陸軍士官學校) 군마대(軍馬隊)에서 사육(飼育)하고 있는 승마용(乘馬用) 마필(馬匹)(오스트레일리아 및 일본산(日本産))과, 군용마(軍用馬)로서의 개발시험(改發試驗)에 공시중(供試中)인 제주도산(濟州道産) 재내마필(在來馬匹)에 발생(發生)한 14예(例)의 피부사상균성(皮膚絲狀菌性) 윤선(輪癬)을 대상(對象)으로 그 치료시험(治療試驗)을 실시(實施)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임상증례(臨床症例) 관찰(觀察) (1) 초기증상(初期症狀) 발현(發現)은 군마고유번호(軍馬固有番號) 15번(番), 마명(馬名) 거상(巨象)(원명(原名) Shane)의 이마 및 이근부(耳根部) 견부(肩部)에 직경(直徑) 3cm 정도(程度)의 원형(圓型) 병소(病巢)가 나타났으며, 곧 이어 다른 마필(病巢)에 산발적(散發的)으로 발생(發生)했다. 발생률(發生率)은 31.8%(군마(軍馬) 44%, 조랑말 15.8%)로서 지난해 군부대(軍部隊) 목장(牧場)에서 집단발생(集團發生)했던 Bovine Ringworm의 발생률(發生率)(56.4%)보다 낮았다. (2) 증상(症狀)은 원형발진(圓型發疹) 및 양감(痒感), 가피형성(痂皮形成), 피모탈낙(皮毛脫落), 농포형성(膿疱形成) 및 신모발생등(新毛發生等)의 순(順)으로 진행(進行)했으며 환축(患畜)과 접촉(接觸)하는 사람에게도 감염(感染)하는 인축공통전염병(人畜共通傳染病)의 일종(一種)이었다. (3) 품종(品種) 및 성별(性別), 연령에 따른 유의성(有意性)은 인정(認定)할 수 없었다. 치료시험(治療試驗) 결과(結果) (1) 본병(本病)은 Ichthammol이나 Undecylenic Acid 처리(處理)에 있어서 치료효과(治療效果)를 나타냈다. (2) 상기(上記)한 항사상균제 처리(處理)와 동시(同時)에 Hydrccortisone의 보조요법(補助療法)을 실시(實施)하였을때, 약효(藥效)가 빨리 나타나고 치료기일(治療期日)도 단축(短縮)되었다. (3) 본증(本症)은 조기(早期)에 발견(發見) 치료(治療)해야하며 일반적(一般的)으로 완치(完治)하는데 장기간(長期間)을 요(要)하였다.

  • PDF

정신종양학의 역사와 개관 (Psycho-oncology : A Historical Review)

  • 이철
    • 정신신체의학
    • /
    • 제2권1호
    • /
    • pp.3-9
    • /
    • 1994
  • 암의 원인, 과정 및 예후와 심리적 특성 또는 행동변인들(behavioral variables) 사이에 연관성이 있는지, 있다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아직 결정적인 증거는 제시되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동질(homogeneous)집단을 대상으로 치밀하게 고안된 전향적 (well-designed, prospective) 연구계획을 통하여 장기간의 추적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암환자에서 나타나는 정신과적 문제에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하여 종양전문의와 정신과 의사간의 긴밀한 자문체계가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정신종양학 분야에서 정신과 의사의 역할과 연구의 촛점은 다음과 같이 될 수 있다. 1. 암 예방: 원인적 측면에서 암의 발생과 연관되는 것으로 알려진 정신사회적, 요인들을 감소 또는 제거시키는 역할(예를 들면 스트레스, 흡연, 주정중독 등). 2. 암 치료: 1) 암의 각종 치료에서 환자의 순응(compliance)을 강화시켜 주는 역할. 2) 암환자에서 병발한 정신장애의 치료. 3) 암환자의 동통이나 오심 등의 치료. 4) 암환자의 삶의 질(quality of life)에 대한 지각을 향상시키도록 도와주는 역할. 3. 암 연구: 1) 암의 발생 또는 암환자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사회적 요인들의 조사. 2) 심리반응 또는 정신사회적 요인들과 면역반응사이의 연관성 조사. 3) 암환자에서의 정신치료와 인지-행동치료의 효과규명. 4) 화학요법제 또는 방사선치료가 정신병리와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조사 등.

  • PDF

MRI 검사 시 방송을 통한 의도적 접촉이 환자 불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rough the intercom during MRI Scans on Patient Anxiety and Intentional Contact)

  • 김상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94-299
    • /
    • 2013
  • 본 연구는 MRI 검사 중 방송을 통한 의도적인 접촉이 환자의 불안 감소에 유용한가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험군과 대조군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두 집단 간의 검사 전 불안점수의 동질성은 인정되지 않아 유용성 결과를 도출하지 못하였다. 2. 방송을 통한 의도적 접촉이 객관적 불편감(t=-2.214, p=.031)을 낮추는 결과를 보였다. 3. 방송을 통한 의도적 접촉이 긴장감(t=-3.722, p=.000), 공포감(t=-2.74, p=.009)을 낮추는 결과를 보였다. 4. 방송을 통한 의도적 접촉이 맥박수(t=-4.180, p=.000)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방송을 통하여 의도적인 접촉을 시도하면서 MRI 검사를 진행하였을 경우 검사 후 검사 대상자의 혈압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환자의 주관적, 객관적 불편감의 감소, 또한 활력 징후의 하나인 맥박이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방송을 통한 의도적 접촉이 환자의 심리적인 긴장감을 완화시키고 안정감을 느끼게 하여 환자 care와 검사에 효과적인 대체요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