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질적 탐구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27초

성인대학생의 평생교육 현장실습 경험 탐구 (Exploring the Lifelong Education Field Experience of Adult College Students)

  • 송성숙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5호
    • /
    • pp.47-59
    • /
    • 2021
  • 본 연구는 성인대학생의 평생교육 현장실습 경험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대학생 5명을 대상으로 2020년 11월 17일부터 2021년 05월 14일까지 실습일지 및 과제물 분석과 심층면담을 통해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평생교육 현장실습 경험은 '넘어야 할 산! 평생교육 현장실습',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의 확장', '자신감을 유발하는 현장실습', '백문불여일견의 살아있는 현장경험'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교육 현장실습 경험의 의미는 '동료들과 팀워크로 학습공동체 형성', '평생교육의 핵심은 사람이라는 깨달음', '평생교육사의 직업적 정체성에 변화', '도전하고 싶은 평생학습 실천가의 삶'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평생교육 현장실습 참여자의 질적 성장을 견인하고, 직업적 전문성 확보 및 양질의 현장실습 제공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추후 타 대학의 성인대학생을 대상으로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스포츠 코칭효능감의 원천(source)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ing Study for the Sources of Sports Coaching Efficacy)

  • 김인우;김지선;김한범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840-85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스포츠 코치들이 어떠한 경험을 통해 코칭효능감을 느끼게 되었는지를 현상학적으로 탐구하고, 이를 통해 코칭효능감의 원천 요인을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5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스포츠 지도자 15명을 유목적적 표집으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전사와 코딩, 범주화와 의미화 등의 질적 자료 분석 절차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코칭 성공 경험, 사회적지지, 코칭 관련 선수 경험, 코칭 전문지식, 선수 피드백 등 5개의 요인으로 스포츠 코칭효능감 원천 요인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원천 요인들은 코칭효능감 발달을 위한 교육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령별 은퇴자의 성공적 노화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Successful Aging Perception of Retirees by Age)

  • 정주영;이미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205-211
    • /
    • 2021
  • 본 연구는 연령별 은퇴자들의 삶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구하여 이를 바탕으로 은퇴자들의 성공적 노화에 요구되는 사회 복지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질적 연구방법인 포토보이스를 활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70대, 60대, 50대 각 2명씩 선정하였고, 집단 활동과 개인면담으로 수집한 사진 24장, 설명 24건, 이야기 44건, 총 92건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성공적 노화의 인식으로 70대는 <사회적 책임감과 품위 있는 높은 경지의 삶을 준비함>, 60대는 <비움과 보은의 자세로 사회적 책임과 봉사의 삶>, 50대는 <경제적 안정과 배려로 자립하는 삶>이었다. 노년기가 길어진 은퇴자들의 사회적 문제를 예방하는 차원에서 이들의 사회적 일자리와 봉사자리 마련에 대한 연구와 사회복지정책지원이 시급하며, 또한 충분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준비교육의 시행기간이 빠를수록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은퇴자를 위한 노년기 사회 복지적 대안 마련의 기초자료 제시에 중요한 역할을 한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그룹 음악과 심상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A Qualitative Inquiry on Group Music and Imagery Experiences)

  • 김지혜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7권2호
    • /
    • pp.101-117
    • /
    • 2020
  • 본 연구는 그룹 음악과 심상(Music and Imagery: MI) 경험을 심층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이용하였다. 이를 위해 치료사가 배제된 동료 그룹 MI경험이 있는 전문 음악치료사 4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사례 자료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은 그룹에서 음악을 공유하거나 선곡해보고, 지지감을 경험하는 초기의 성공적 그룹경험을 통해 그룹과 음악에 대한 신뢰감을 형성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신뢰감은 참여자들에게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는 확장된 음악, 정서, 심상, 관계적 경험으로 이어지는 기반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자들에게 그룹의 지지적 특성이 MI경험에서 새로운 경험과 시도를 도전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MI경험에서 그룹이 더욱 확장된 정서와 통찰경험을 촉진하는 치료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나아가 음악심리치료 중재의 그룹 적용을 위한 적용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초등학교 장애학생 수학 문장제 문제 국내 연구 동향 및 질적지표에 의한 분석: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Teaching Mathematical Word Proble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 박지윤;강소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6권1호
    • /
    • pp.29-43
    • /
    • 2023
  • 수학교과에서 단순히 수학적 개념을 습득하는 것보다 수학과 관련된 문제를 실생활에 적용하는 맥락적 문제해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실제적 상황을 나타내는 문장제 문제에 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에서 2022년까지 발행된 단일대상실험설계를 사용하여 중재의 효과를 탐구한 논문 최종 12편을 선정하여 참여학생 특성, 중재 환경, 중재 방법 및 교수전략 등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 학습장애, 자폐성장애, 지적장애를 포함하는 다양한 장애 유형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된 것을 확인하였다. 중재는 대부분 연구자에 의해 이루어졌고, 1회기 당 30~40분 정도로 중재가 제공되었다. 장애학생을 위한 수학문장제 문제 중재 방법으로 도식 기반 교수, 인지-초인지 전략 교수, 테크놀로지 기반 교수를 적용한 것으로 나타났고, 대부분 명시적 교수를 함께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 포함된 12편의 단일대상연구가 방법론적으로 타당하게 실행되었는지를 분석하고자 Council of Exceptional Children에서 제시한 질적지표를 사용하여 평가하였고,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향후 장애학생을 위한 문장제 문제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지도교사의 목소리를 통한 학교 밖 과학 탐구 활동으로서 전국과학전람회의 현주소 (Present State of National Science Contest as a Informal Scientific Education through the Voices of Teachers)

  • 김진욱;이종진;백영경;안유민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96-209
    • /
    • 2023
  • 본 연구는 학교 밖 과학교육 활동 중 하나인 과학전람회의 교육수요자로서 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과학전람회를 지도한 경험이 있는 교사 11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지를 활용하여 그들의 의견을 심층 조사하였다. 총 7문항에 대해 평균 3,600자 이상을 서면 답변하였으며, 이에 대한 질적 분석을 통해 과학전람회 참여로 인한 학생과 교사의 성장, 대회 참여의 어려운 점, 활성화를 위한 교사의 목소리를 알아볼 수 있었다. 교사들은 과학전람회 참여가 개방형 탐구과정을 경험하고 이로 인해 학생의 과학 관련 지식 및 태도의 향상, 이공계 분야 진로 진학으로의 연계가 활발해진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의견을 제시하였다. 다만 대회 참가 학생들은 학교생활기록부에 탐구내용을 기록할 수 없고, 지도교사들은 참신한 주제 발굴에 대한 강박과 탐구과정 지도에서 오는 부담, 전공지식에 대한 전문성 한계를 지적해 과학전람회 참여에 어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과학전람회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도교사와 학생의 역량 강화를 위한 17개 시·도 교육청 수준의 지원 방안, 국립중앙과학관의 홍보 방법 및 심사 방식 개선, 교육부의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요령의 개선을 요구하였고, 이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공감할 수 있는 과학전람회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직업탐구영역 EBS 수능 연계 교재의 학교 현장 활용 형태와 활용 방안에 대한 질적 연구 (The Qualitative Study on Application Types and Using Methodology of EBS-CSAT Prep Books of Vocation Education Division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 함승연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6호
    • /
    • pp.1556-1568
    • /
    • 2015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quiry of application types and use methodology of EBS-CSAT prep books of vocation education division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Research participants are 8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and subjects are basic industry and basic drawing. The teachers had using EBS-CSAT prep books in class or after-school.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teachers used items explanation of after-school rather than regular classes using EBS-CSAT prep books of vocation education division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Online lectures were used for self-directed learning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rather than regular classes. Students and teacher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needed EBS-CSAT prep books of vocation education division by free gift instead of EBS-CSAT prep books of Korea language, english, math.

Data Warehousing, Contextual Data Quality, and Problem Solving Performance

  • 정원진;박용태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4권2호
    • /
    • pp.237-256
    • /
    • 2005
  • 데이터 웨어하우스는 기업의 통합된 데이터의 저장하는 곳이며, 대게는 상당한 규모를 가지고 있다. 또한, 데이터 웨어하우스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저장함으로 데이터 웨어하우스에 저장된 데이터는 의사결정 임무에 따라서는 그 질적, 적합성에 차이를 나타내고는 한다. 이러한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특성으로 인해서 때로는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데이터의 효용성이 기업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데 있어 제한적일 수 있다. 정보 시스템의 문헌에는 데이터의 질이 의사결정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그래서, 본 연구는 contextual data(상황적 데이터)의 질과 업무의 복잡성이 의사결정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탐구해보고자 한다. Contextual data의 질과 업무의 복잡성이 의사결정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웹을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웨어하우스를 이용하는 실험을 실행했다. 연구의 결과는 contextual data의 질이 의사결정의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통계적으로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의사결정자의 의사결정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contextual data의 질을 향상시켜야한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 PDF

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심폐소생술금지 (DNR) 환자 간호경험 (Nurses' Experiences of Do-Not-Resuscitate (DNR) by the Narrative Inquiry)

  • 우미경;김미영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22-331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DNR experiences of nurse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observation, and field records with five nurses from November 2009 to February 2011.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narrative inquiry methodology. Results: Three fundamental themes were derived from data analysis as following: 'faithfulness to care for comfort,' 'helping for peaceful farewells between the patient and the family,' 'reflecting one's lives with a collision of feeling toward the death.'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nurses take a role of an advocate in caring for DNR patients and being concerned about their families' conflict and anguish. In addition, this study indicates the importance of education on living will, advanced directives and preparation for the death tailored to the public including healthcare professionals.

공과대학생의 창의적 성취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탐색: 경진대회 수상팀을 중심으로 (Factors Related To Creative Achievement In Engineering Students)

  • 강승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12권3호
    • /
    • pp.59-72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역-특수성의 관점에서 공학적 창의성을 연구해 보는 것이었다. 기존의 창의성 연구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공학 창의성 영역의 기초연구로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공과대학에 재학중인 학생들 중 전국 규모의 공학관련 경진대회에서 수상한 경력이 있는 경진대회 수상자14명을 인터뷰하여 그들의 창의적 성취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주제분석 방법에 따라 분석한 결과, 6가지의 개인적 요인과 2가지의 환경적 요인이 창의적 성취의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요인에는 내적동기, 과제집착력, 도전정신 및 성취동기, 다수의 관련경험, 적극적인 탐구력 및 호기심, 지속적인 노력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환경적 요인에는 훌륭한 팀워크와 교수 및 선배들과의 네트워크가 포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