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질소 저장

검색결과 582건 처리시간 0.028초

알팔파(Medicago sativa L.)의 예취후 잔여기관내 질소화합물과 비구조성 탄수화물의 변화 (Evolution of Nitrogenous and Non-Structural Carbohydrate Compounds in Remaining Tissues Following Shoot Removal of Alfalfa (Medicago sativa L.))

  • 김태환;김병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15
    • /
    • 1993
  • 재생기간중 저장 질소와 탄수화물의 이용을 구명하고자 수경재배 조건하에서 재배된 10주령의 알팔파(Medicago sativa L.)의 예취 후 재생 24일 동안 잔여기관내의 질소화합물 및 비구조성 탄수화물을 분석하였다. 재생초기 10일 동안 잔여기관내의 건물량에는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으며, 비예취구와 비교할 때 예취는 뿌리성장(특히 주근)의 심각한 억제를 초래하였다. 잔여기관내의 질소함량은 재생초기 6일동안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며, 이 시기의 질소함량 감소는 뿌리조직에서 특히 뚜렷하였다. 예취구의 재생 24일째 각 기관의 질소함량은 예취일의 수준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거나 같은 수준으로 회복하였다. 단백질태 질소가 아미노산태 질소보다 저장 질소화합물로서 양적인 우위를 보였으나, 재생 10일 동안 아미노산태 질소의 감소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주근은 총 전분 및 총 에탄올-가용성 당 함량의 51.0% 및 33.4%를 각각 함유하였으며, 주근내의 전분함량은 예취일(0일)에 개체당 40.7 mg에서 재생이 진행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재생 14일째에 최저수준을 보였다가, 이후 점차 증가하였다. 본 시험 결과는 알팔파의 주근은 저장기관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단백질태 질소와 전분이 질소 및 탄수화물의 주요저장 형태이고, 재생초기에 이들 저장물질의 이용이 활발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

저식염 고추장 저장시 항균물질 혼합첨가의 영향 (Effect of Combined Use of Anti-microbial Materials on Storage of Low Salted Kochujang)

  • 한선미;김동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4호
    • /
    • pp.281-287
    • /
    • 2008
  • 저식염 고추장 제조시 알콜 또는 알콜에 겨자나 키토산을 혼합 첨가한 고추장을 1년간 숙성시켜, $30^{\circ}C$에서 12주간 저장하면서 미생물상과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비교하였다. 고추장의 amylase 활성은 저장 중에 급격히 감소하였고, 저온살균 처리구에서 낮았다. 산성 protease 활성은 저장 중에 증가하였으나 중성 protease는 저장 4주 이후에 서서히 감소하였다. 고추장 중의 효모수는 저장 중에 조금 증가하였으나 세균수는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시험구간의 차이는 없었다. 고추장의 색은 저장 중에 a값은 감소하였으나 L-과 b-값은 저장 4주에 증가한 후에 감소하였고, ${\Delta}E$값의 변화는 4주에 제일 심하였다. 고추장의 수분과 수분활성도는 저장 중에 감소하였으며 수분활성도는 부원료 첨가구들에서 높았다. 고추장의 pH는 저장 중에 저하하였으나, 적정산도는 저장 4주 이후에는 감소하였으며 알콜에 겨자나 키토산을 혼합 첨가한 고추장에서 높았다. 산화환원전위는 저장 4주에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감소하였고 부원료 첨가구에서 낮았다. 총당과 환원당은 저장 중에 감소하였으나 부원료 첨가구에서 높았다. 알콜은 저장 중에 증가하나 알콜 첨가구들은 감소하였다. 아미노태 질소와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은 저장 중에 감소하였으며 부원료 첨가 고추장에서 아미노태 질소 함량이 낮았다. 따라서 부원료를 첨가한 저식염 고추장을 장기간 숙성시키면 저장 중에 가스 발생이 없어 유통 중에 포장용기의 파열이나 변색이 적고, 환원당과 아미노태 질소의 감소가 적어 품질저하 요인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유과 저장성 향상을 위한 산소 차단 포장시험 (Shelf-life Extension of Yukwa (oil puffed rice cake) by $O_2$ Preventive Packing)

  • 신동화;최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43-246
    • /
    • 1993
  • 유과의 저장기간 연장을 위하여 가장 문제가 되는 유지의 산패를 억제시키기 위하여 산소 차단성이 있는 포장용기에 유과를 포장하고 포장내 공기를 질소가스로 대체하거나 용기내에 산소흡착제를 투입, 산소를 제거한 후 저장하면서 유과의 산패 지연효과와 관능적 측면을 비교 평가하였다. 저장중 유과에 들어 있는 유지의 POV는 $35^{\circ}C$에서 90일 저장시 산소흡착제를 넣은 경우 5.3, 질소대체 11.9meq/kg, 그리고 비포장구는 195.5 meq/kg으로서 산소흡착제 및 질소대체 처리구가 뚜렷한 산패 억제효과를 보였고 이때 최종 산소잔존율은 각각 4.55% 및 13.85%였다. AV 및 TBA가도 비슷한 경향이었으나 차이는 POV 보다는 적었다. 저장 제품의 관능검사 결과 질소대체 처리구가 가장 우수하여 90일 저장품도 15일 저장품과 차이가 없어 유과의 저장기간을 연장하는데 질소대체 포장방법으로 저장기간을 획기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산소흡착제의 경우 산소흡착에 의한 부피의 감소, 유과향기의 흡착 등이 문제로 대두되었다.

  • PDF

숙성온도가 새우젓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 오상희;성태화;허옥순;김동호;변명우;김미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춘계총회 및 제22차 학술발표회
    • /
    • pp.108.2-108
    • /
    • 2003
  •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염장발효식품인 젓갈의 품질 향상을 위해 저장 온도가 새우젓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새우젓을 27% 염농도로 제조한 후 숙성온도를 실온(2$0^{\circ}C$) 또는 저온(1$0^{\circ}C$)에서 180일간 숙성.발효시키면서 이화학적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온 또는 저온에서 숙성한 새우젓 모두 숙성 과정 중 단백질 분해산물인 휘발성 염기질소, 아미노태질소, 트리메틸 아민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저온 숙성 새우젓의 경우 그 증가 폭이 작은 반면, 실온저장 새우젓의 경우에는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지방 산패도는 저온 숙성 새우젓의 경우, 저장 37일까지 급격한 증가를 보이다 그 이후 감소하였으나, 실온 숙성 새우젓의 경우 23일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새우젓을 실온에서 숙성시키는 경우 단백질 분해가 촉진되는 반면, 저온에서 숙성시킨 경우 단백질 분해가 억제되어 저장 기간을 연장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저장 조건이 녹차 음료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orage Conditions on the Quality of Green Tea Beverage)

  • 이정민;임상욱;조성환;최성길;허호진;이승철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3호
    • /
    • pp.27-34
    • /
    • 2009
  • 녹차 잎 1.5 g에 증류수 100 mL을 가하여 $75^{\circ}C$에서 5분 동안 추출하여 녹차 음료를 제조하였다. 저장 조건을 달리하여 A 녹차 음료 (빛을 인위적으로 차단하지 않음, 자연 상태의 대기 조건, 비타민 C 무첨가), B 녹차 음료 (빛을 알루미늄 호일로 감싸서 차단함, 질소를 불어넣어 자연 대기를 질소로 치환하였음, 비타민 C 30 mg/100 mL 첨가), C 녹차 음료 (빛을 알루미늄 호일로 감싸서 차단함, 질소를 불어넣어 자연 대기를 질소로 치환하였음, 비타민 C 무첨가)로 구분하여 $4^{\circ}C$에서 28일간 저장한 후, 유용 성분을 분석하였다. 총페놀 함량의 경우 저장 초기에 비하여 저장 28일 후 A 녹차 음료는 71.50%, B 녹차 음료는 73.88%, C 녹차 음료는 75.07%로 감소하였다. DPPH 라디컬 소거능은 저장 초기에 비하여 A 녹차 음료는 87.87%, B 녹차 음료는 92.93%, C 녹차 음료는 88.39%이었다. 녹차의 유용 카테킨인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는 28일간 저장 후에 A 녹차 음료는 130.61%, B 녹차 음료는 136.47%, C 녹차 음료는 4.34%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녹차의 저장 조건이 녹차 음료의 성분에 영향을 미치며, 빛, 질소 치환, 비타민 C가 매우 중요함을 시사하였다.

포장두부의 저장성에 미치는 열처리 효과 (Effects of heat treatment on storage of packaged Tofu)

  • 이서구;김창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6호
    • /
    • pp.490-494
    • /
    • 1992
  • 두부의 저장성 향상을 위해 포장한 후 가열처리하여 저장 중 두부의 미생물상과 이화학적인 변화를 검토하였다. 두부는 $CaCl_2$보다 초산으로 응고시키는 것이 저장성 향상에 효과적이었으며, 두부의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적정산도, amino태 질소 및 ammonia태질소와 두부현탁액의 탁도는 증가하였다. 두부를 포장하여 가열처리하면 저장초기의 세균수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어 저장성을 연장할 수 있었으나 직접가열과 마이크로파 가열간의 차이는 적었다. 초산으로 응고시킨 비가열처리 두부는 $30^{\circ}C$에서 1일만에 세균수가 $6.6{\times}10^6\;CFU/g$에 도달하여 저장성이 감소하며 3분간 가열처리하면 4일간 저장이 가능하였다.

  • PDF

소금의 종류에 따른 새우젓의 이화학적 특성

  • 김미리;오상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춘계총회 및 제22차 학술발표회
    • /
    • pp.108.1-108
    • /
    • 2003
  • 새우젓은 새우와 소금만을 원료로 하여 제조하는데, 최근 수입산 소금의 유입이 급증하고 있어 새우젓에도 이들 수입산 소금의 사용이 늘어가고 있다. 수입산 소금은 수분과 식염함량이 국산 소금과 다를 뿐 아니라 불순물과 무기질 등의 성분 또한 차이가 있다. 본 연구는 소금의 종류가 새우젓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국산천일염, 중국산천일염, 정제염의 세 가지 소금으로 27%의 염농도로 새우젓을 제조한 후 2$0^{\circ}C$ 항온기에서 180일간 숙성 및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이화학적 변화(pH, 염도, 휘발성 염기질소, 아미노태질소, 색상)를 분석하였다. 세 가지 소금의 새우젓 모두 숙성이 진행되면서 단백질 분해 산물인 휘발성 염기질소, 아미노태 질소의 함량이 증가하였는데, 국산 천일염 새우젓이 더 많이 증가하였다. 즉, 숙성 180일 후 휘발성염기질소,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각각 국산천일염 새우젓의 경우 200mg%, 749mg%, 2.3lmg%인 반면, 중국산천일염 새우젓은 67.23mg%, 630mg%, 1.22mg%이었고, 정제염 새우젓은 100.85mg%, 634mg%, 1.76mg%로 나타났다. 지방산패도는 국산천일염 새우젓은 23일(2.450), 중국산천일염 새우젓은 58일(1.771), 정제염 새우젓(2.514)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소금의 종류가 새우젓의 숙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하천연변에 식재된 3년생 포플러 클론의 지상부 biomass의 질소 저장능력 추정추정 (Nitrogen Storage Potential in Aboveground Biomass of Three-year-old Poplar Clones in a Riparian Area)

  • 여진기;이원우;구영본;우관수;변재경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3호
    • /
    • pp.15-21
    • /
    • 2010
  • 수변완충림으로 조성된 3년생 포플러 4클론에 대하여 biomass 생산능력과 주요 비점오염원 중 하나인 질소의 저장능력을 조사하였다. 현사시 72-31 및 미루나무 교잡종 Dorskamp 클론의 지상부 biomass 구성 비율은 줄기, 가지, 잎의 순으로 높았으며, 잎과 가지의 비율은 두 클론간에 차이를 보였다. 지상부 biomass의 질소 함량은 잎, 가지, 줄기의 순으로 높았고 72-31 클론의 잎과 가지의 질 소함량은 Dorskamp에 비해 높았으나 줄기의 질소 함량은 낮게 나타났다. 3년생 Ay48 클론의 지상부 biomass 추정량은 $37.5ton{\cdot}ha^{-1}$ 로 가장 높았으며, 72-31 클론이 가장 낮았다. 3년생 포플러 클론의 지상부 biomass의 질소 저장능력은 biomass 생산량의 순위와 일치하였다. 지상부 biomass 생산능력이 가장 우수한 3년생 Ay48 클론은 $218.3kg{\cdot}ha^{-1}$의 질소를 지상부 biomass에 저장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