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질소시비수준

Search Result 39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은행나무 묘목(苗木)에 대(對)한 시비(施肥)가 생장(生長) 및 엽내(葉內) 양분(養分)과 유용(有用) 추출물(抽出物) 농도(濃度)에 미치는 영향(影響) (Fertilization Effects on Growth, Foliar Nutrients and Extract Concentrations in Ginkgo Seedlings)

  • 손요환;김진수;황재홍;박정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1호
    • /
    • pp.98-105
    • /
    • 1998
  • 은행나무 3년생 묘목에 각기 다른 수준의 질소, 인, 질소와 인 복합비료를 시비하고, 묘목의 생장 및 엽내 양분과 유용 추출물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시비 후 묘목의 잎, 줄기, 뿌리의 생체량은 고농도 질소와 인 복합비료 처리구 이외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며, 엽내 질소와 인 농도의 변화 정도는 시비량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엽내 질소와 인의 농도는 시비량 증가에 따라 증가하나, 질소 시비량이 400kg/ha인 경우와 인 시비량이 100kg/ha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묘목 생장량과 엽내 양분 농도를 고려할 때 묘목은 질소와 인이 결핍된 상태에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시비 후 엽내 이차 대사 물질인 Ginkgo flavon glycosides와 terpene lactones의 농도는 감소하였으며, 은행나무 묘목에서 생체량과 이차 대사 물질량 사이에는 부의 상관관계 (r=-0.739, p=0.036)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질소시비량이 버어리종엽의 성숙과 내용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Fertilization on Maturity of leaves and Chemical Contents of Burley Tobacco)

  • 배성국;추홍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47-352
    • /
    • 1987
  • 버어리 21을 공시품종으로 하여, 시비량을 전량기비구에서는 표준시비 외 증비 2처리와 기 추비구에서는 표준량을 기비로 하고 추비 2 처리를 두어 질소수준 및 시비방법과 수확시기의 차이가 엽중전질소 및 전알카로이드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서 전질소화합물이 낮은 잎담배를 생산코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질소 증비에 따라 부풀성이 저하되었다. 2. 질소량을 증시 할수록 성숙이 지연되었고 엽중전질소 및 알카로이드함량도 증가되었으며, 기비 보다도 추비에 의해서 그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3. 엽중 전질소함량은 적심 전이 가장 높았고, 이후 생육기간이 길수록 감소되었는데 상위엽에서 감소폭이 더 컸다. 4. 엽중 알카로이드함량은 적심기부터 증가하여 생육기간이 길수록 점차 더 증가되었고, 상위엽에서 증자폭이 더 컸다.

  • PDF

산개나리의 생리적 활성에 대한 최적 광도 조건과 시비 효과 (Optimum Light Intensity and Fertilization Effects on Physiological Activities of Forsythia saxatil)

  • 김길남;한심희;김두현;윤충원;신수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3호
    • /
    • pp.372-381
    • /
    • 2013
  • 본 연구는 산개나리의 현지 내 복원을 위한 최적 생육환경을 찾기 위하여, 광도 및 시비수준이 다른 환경에서 생육한 산개나리의 잎 특성 및 생리적 특성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광도는 30%, 43%, 63%, 100%로 하는 4수준으로 하였고, 시비는 우리나라 평균산림토양 NPK 함량을 기준으로 무시비, 2배, 3배로 처리하였다. 산개나리의 잎 특성은 모든 피음 처리구에서 시비수준이 증가할수록 잎 면적은 뚜렷하게 증가하였고, 잎 건중량과 건중량 대 면적의 비는 시비수준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동일 시비수준에서는 광 증가와 함께 잎 면적이 감소하면서, 잎 건중량과 건중량 대 면적의 비는 증가하였다. 산개나리 잎 내 광색소 함량은 모든 피음 처리구에서 시비수준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같은 시비수준에서 잎 내 광색소 함량은 광이 증가할수록 높은 값을 보였다. 산개나리 잎 내 질소 함량은 모든 피음 처리구에서 무시비보다 시비 처리구에서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질소 함량에 대한 엽록소 함량의 비(Chl/N)는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광합성 속도는 전광의 63%와 전광 처리구에서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암호흡 속도는 모든 피음 처리구에서 무시비보다 시비 처리구에서 낮은 값을 나타냈다. 또한, 순양자수율은 모든 피음 처리구에서 무시비보다 시비 처리구에서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동일 시비수준에서는 전광의 63%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산개나리의 잎 형태와 생리적 특성은 높은 광 조건 및 토양시비 처리를 통해 개선할 수 있다.

하해혼성 평야지 논토양에서 유기물 장기 연용이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및 질소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ng-Term Annual Dressing of Organic Matter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Nitrogen Uptake in the Paddy Soil of Fluvio-Marine Deposit)

  • 양창휴;정지호;김택겸;김선;백남현;최원영;김영두;정원교;김시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981-986
    • /
    • 2010
  • 본 연구는 비료 및 유기자원을 30년 연용한 전북통 (미사질양토) 논토양에서 수행하였다. 관행 (NPK), NPK+볏짚, NPK+볏짚퇴비와 질소 시비수준을 0, 100, 150, 200, 250 kg $ha^{-1}$로 처리하였으며 토양의 이화학성 변화 및 유기탄소 함량, 토양과 식물체의 질소 흡수를 조사 및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관행구 (NPK)에 비하여 NPK+볏짚퇴비구에서 토양경도는 15.7 mm에서 12.5 mm로, 용적밀도는 1.381 Mg $m^{-3}$에서 1.244 Mg $m^{-3}$로 유의하게 낮아지는 결과를 보이고 있어 볏짚퇴비 시용에 따른 물리성 개선효과가 인정되었다. 관행구에 비하여 NPK+볏짚퇴비구에서 유효인산 함량은 96 mg $kg^{-1}$에서 133 mg $kg^{-1}$으로, 유효규산 함량은 81 mg $kg^{-1}$에서 116 mg $kg^{-1}$로 유의하게 많아졌고 CEC는 9.8 $cmol_c\;kg^{-1}$ 에서 11.4 $cmol_c\;kg^{-1}$로 유의하게 높아지는 결과를 보이고 있어 볏짚퇴비 시용에 따른 화학성 개량효과가 인정되었다. 토양유기탄소 함량은 처리별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토양깊이 0~7.5 cm에서는 관행구에 비하여 NPK+볏짚구, NPK+볏짚퇴비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시비 질소흡수량은 관행구 (질소 시비수준 100 kg $ha^{-1}$)에 비하여 NPK+볏짚구 (질소 시비수준 250 kg $ha^{-1}$) 및 NPK+볏짚퇴비구 (질소 시비수준 200, 250 kg $ha^{-1}$)에서 유의하게 많아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질소이용률은 관행구 (질소 시비수준 100 kg $ha^{-1}$)에 비하여 NPK+볏짚퇴비구 (질소 시비수준 100, 150 kg $ha^{-1}$)에서 유의하게 높아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논토양에서 유기자원 시용은 물리성 개선 및 비옥도를 향상시켜 벼의 시비질소흡수량 증가로 질소이용률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생각된다.

상토 조제과정에서 혼합된 질소 시비 수준 차이가 고추 플러그 묘 생장과 상토 및 식물체 무기염 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Changes in Crop Growth and Nutrient Concentrations of Tissue and Soil Solution in Raising of Hot Pepper Plug Seedlings as Influenced by Various Pre-planting Nitrogen Levels Incorporated into a Inert Medium)

  • 오상세;김윤섭;박명선;김현철;최종명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73-179
    • /
    • 2018
  • 상토에 기비로 혼합된 질소 시비수준 차이가 '녹광' 고추의 플러그 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코이어더스트, 피트모스 그리고 펄라이트를 용적기준 35, 35 및 30%로 혼합한 상토를 조제할 때 질소를 0, 100, 250, 500, 750, 1,000 및 $1,500mg{\cdot}L^{-1}$로 농도를 조절하여 첨가하였고, 질소를 제외한 필수원소는 모든 처리에서 동일한 농도로 조절하였다. 비료를 포함한 상토를 50-cell 트레이에 충진한 후 종자를 파종하였다. 파종 후 매주 pH와 EC 측정, 파종 0, 3 및 7 주 후 상토의 다량원소 농도 분석, 그리고 파종 7주 후에 지상부 생장 조사와 식물체 무기원소 함량을 분석하였다. 파종 전 상토의 pH는 질소수준별 차이가 크지 않았지만 육묘기간이 길어질수록 처리간 차이가 커지는 경향이었다. 상토의 EC는 파종 전 질소 시비수준별 뚜렷한 차이를 보였지만, 파종 4주 이후부터 처리간 차이가 적어졌고, 7주 후에는 모든 처리에서 유사한 수준으로 측정되었다. 상토 추출용액의 $NH_4-N$$NO_3-N$농도는 EC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며 낮아졌고, 다량원소농도 역시 파종 3주 이후에 감소폭이 더 커졌다. 파종 후 7주 후 조사한 고추 유묘의 지상부 생장은 500 및 $750mg{\cdot}L^{-1}$ 처리구에서 우수하였으며, $1,000mg{\cdot}L^{-1}$ 이상의 처리구에서는 질소 무시비구와 비슷한 수준으로 생장이 저조하였다. 파종 7주 후 분석한 식물체내 N 함량은 질소 시비수준이 높아질수록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지상부 생장이 우수하였던 500 및 $750mg{\cdot}L^{-1}$ 시비구가 각각 5.13 및 5.31%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하였을 때 고추의 유묘 생장을 위해서는 기비로서의 질소시비수준을 500 또는 $750mg{\cdot}L^{-1}$으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건물중에 기초한 N 함량이 5.1~5.3% 수준으로 시비농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하였다.

청예 사초용 율무의 질소시비수준이 생육특성과 사료성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N-Fertilization on Growth , Yield and Nutrient Quality of Forage Job`s Tears [ Coix lachryma-jobi L. var. mayeur STAPF ])

  • 안계주;권병선;김찬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7-131
    • /
    • 1992
  • 남주지방에 알맞는 청예 사초용 율무의 질소시비수준을 구명코자 1989년 4월부터 1990년 8월까지 순천대학교 부속 동물사육장 내 사료작물포장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질소의 시용은 13.5kg/10a까지 직선적인 증수를 나타냈으나 18kg/a의 다비구는 시비방법에서 2구의 추비 결과로 도복과 과번무가 나타나 오히려 감수하였다. 2. 적정 시비수준은 N_$P_2O_5-K_2O$=13.5-6.6 kg/10a로 사료되었다. 즉 생초수량, 건물수량 및 조단백질함량이 가장 높고 NDF, ADF등 조섬유함량이 가장 낮으며 유의차가 인정되었다.(P<0.05).

  • PDF

두과목초의 질소고정에 관한 연구 I. 질소시비수준이 라디노 클로버의 질소고정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Nitrogen Fixation of Legumes I. Effects of nitrogen fertilization level on nitrogen fixation and growth of ladino clover)

  • 이효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6-22
    • /
    • 1993
  • 방목초지에서 자생하는 라디노 클로버 포복경을 l/5,000a 와그너 포트에 이식하여 온실에서 겨울동안 1일 12시간 조명시키면서 재배하였다. 50일 동안 재배 후 제 1차 수화하였고 20일 후 2차, 그리고 다시 20일 후에 3차 수확을 하였다. 처리로는 질소시비를 2.5kg/10a, 5.0kg/10a, 7.5kg/10a를 이식 및 각 예취후에 시비하였다. 조사항목으로는 생장점, 지상부 수량, 지하부 수량 그리고 엽면적을 측정하였고 그밖에 질소고정량 및 지하부의 조단백질 함량 그리고 예취 후 질소고정능의 경시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직물체의 생장점, 지상부 그리고 지하부 생산량을 1차. 2차에서는 5kg/10a구가 가장 많았던 반면 3차에서는 2.5kg/10a구에서 제일 좋았으며 7.5kg/10a구는 질소를 계속 시비함에 따라 식물체는 3차시에 고사하였다. 생장점수는 처리간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2. 라디노 클로버의 질소고정은 1회 예취에서 2.5kg/10a구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그 후 예취 및 질소시비를 계속함에 따라 고정량은 저하하였다. 3. 잎의 조단백질 함량은 뿌리와 포복경의 조단백함량보다 많았으며 제2차 예취시 까지는 질소시비수준을 높임에 따라 조단백질의 함량도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나 3차 예취시에는 다시 저하하였다. 4.아세틸렌 환원능은 예취 3주후에 최저치를 나타내다가 5주후에 예취전 상태로 회복하였으며 뿌리의 건물중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지상원격측정 센서를 이용한 벼의 생체량 및 질소 영양 평가 (Evaluation of Biomass and Nitrogen Status in Paddy Rice Using Ground-Based Remote Sensors)

  • 강성수;공효영;정현철;김이현;홍석영;홍순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954-961
    • /
    • 2010
  • 지상원격측정 센서 반사율 지표는 비파괴적으로 실시간으로 빠르게 생육 중 작물의 생체량, 질소 스트레스 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도구로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질소 시비량 수준별로 재배된 벼 (Oryza sativa L.)의 질소흡수량, 생체량 및 수량과 지상원격측정센서 반사율 지표들의 상호관계로부터 효율적인 반사율 지표를 선발하고 반사율 지표를 통한 벼 생육 중 질소시비수준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질소시비수준 0, 70, 100, 130 kg N $ha^{-1}$별로 처리된 시험구의 캐노피 반사율을 여러 종류의 수동형과 능동형 지상원격측정 센서로 각 생육시기별로 측정하였고 생체량과 질소흡수량 및 수량을 조사하여 상호관계를 분석하였다. 수동형 센서보다는 능동형 센서가 생육시기별 벼의 지상부 건물중, 수량, 질소농도 및 질소흡수량과 더 밀접한 상관을 나타냈으며 생육 후반으로 갈수록 상관계수 크기는 낮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유의성은 P<0.01 수준이 계속 유지되었다. 가장 밀접한 관계를 보인 반사율 지표는 Crop Circle-active 센서로 측정한 NIR/Red, NIR/Amber 지표였다. 특히 이삭거름 시비시기인 7월 중순의 Crop Circle 센서로 측정한 NIR/Red, NIR/Amber 지표는 건물중, 엽면적 지수와 상관계수 0.92 이상의 고도로 유의성 있는 정의 상관관계 (P<0.01)를 보였다. NIR/Red와 NIR/Amber 지표로 계산한 충족지수의 시비수준에 대한 회귀에서 회귀곡선은 충족지수 변동의 91%와 92%를 각각 설명하였다. 따라서 7월 중순~8월 초에 측정한 반사율지표의 충족지수는 실시간에 비파괴적으로 시비수준을 예측하여 위치별로 변량적인 질소시비량을 결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지상원격탐사 센서를 활용한 벼의 질소시비수준 및 생체량 추정 (Estimation for N Fertilizer Application Rate and Rice (Oriza sativa L.) Biomass by Ground-based Remote Sensors)

  • 심재식;이정환;신수정;홍순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749-759
    • /
    • 2012
  • 본 연구는 벼 생산력을 예측할 수 있는 지상원격 측정센서 및 반사율지표를 선발하고, 이삭거름 질소 시비량 추천을 위한 원격탐사 최적 검정시기를 평가하며. 효율적 원격탐사 지표에 의한 이삭거름 질소 시비량 추천모델을 추정하고자 2010년에 포장시험이 수행되었다. 질소 시비량은 작물별 시비처방기준 (NIAST, 2006) 에 의해 결정하였고, 질소 시비수준은 기준 질소 시비량의 0%, 70%, 100% 및 130%의 4수준으로 하였으며, 밑거름으로 70%, 이삭거름으로 30%로 하여 분시하였다. 벼는 추청과 주남을 공시품종으로 하여 사양토에 5월 22일에 이앙하였고, 10월 6일에 수확하였다. 지상원격탐사 반사율 지표는 Crop Circle-amber와 red, GreenSeeker-green과 red를 이용해 7월 5일부터 8월 23일까지 7회에 걸쳐 측정하였다. 지상원격탐사 센서의 헤드와 작물 캐노피와의 형성 각도에 따라 센서가 탐지하는 식생의 밀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가정 하에 센서 헤드와 작물 캐노피의 측정 각도를 $45^{\circ}$, $70^{\circ}$$90^{\circ}$ 각도로 조정하여 반사율 지표를 측정하였다. 지상원격탐사 센서로 측정된 반사율 지표는 $70^{\circ}$$90^{\circ}$ 각도로 측정하였을 때 전반적으로 양호한 상관을 보여주었고, 생육 중반기와 수확기의 벼 지상부 건물중과 유의성 있는 상관을 보였다. 결정적 생육시기 (critical season)인 52일째와 59일째 측정된 반사율 지표는 벼의 지상부 건물중, 질소 흡수량과 밀접한 상관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이앙 후 59일째 측정한 NDVI가 고도로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로 추청벼는 59일째 GreenSeeker $70^{\circ}$ 각도 rNDVI가, 주남벼는 59일째 Crop Circle $45^{\circ}$ 각도 rNDVI 및 GreenSeeker $70^{\circ}$ gNDVI가 최종 수확기 벼의 지상부 건물중 및 질소 흡수량을 추정하고, 이들 지표는 충족지수로 평가하여 질소시비수준을 예측하고 이삭거름 질소시비추천모델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질소시비수준(窒素施肥水準)이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생초생산량 및 질산태질소(窒酸態窒素) 함량(含量)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itrogen Levels on Green Yield and Nitrate Content of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 이춘희;전성건;최승락;이한생;신원교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0-43
    • /
    • 1990
  • 남부지방(南部地方)의 답리작(沓裏作)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청예사료(靑刈飼料) 생산에 알맞는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을 결정하고자 질소(窒素)를 10a 당(當), 15, 30 및 45 kg을 처리(處理)하여 예취시기별(刈取時期別)로 생초(生草) 생산량과 식물체(植物體)의 질산태질소(窒酸態窒素) 함량(含量)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생초수량(生草收量) 전예취시기(全刈取時期)에 질소(窒素) 45 > 30 > 15 kg/10a 순(順)으로서 질소(窒素) 30 kg/10a에 비(比)하여 질소(窒素) 45kg/10a에서는 14% 증수(增收)된 반면에 질소(窒素) 15 kg/10a에서는 35% 감수(減收)되었다. 2. 생초(生草)의 $NO_3-N$함량(含量)은 전예취시기(全刈取時期)에서 질소시비수준(窒素施肥水準)이 높아질 수록 많았고, 생육(生育)이 왕성(旺盛)한 2차(次)와 3차(次) 예취기(刈取期)에서 질소(窒素) 45 kg/10a구(區)의 $NO_3-N$함량(含量)은 가축(家畜)에 유해기준치(有害基準値)를 초과(超過)하였으며, 생초(生草)의 K/(Ca+Mg)비(比)와는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였다. 3. 생초생산에 필요(必要)한 질소(窒素)의 최대시비량(最大施肥量)은 10a 당(當) 48 kg이었으며, 생초(生草)의 질산태질소(窒酸態窒素) 임계함량(臨界含量)에 이르는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은 38 kg/10a 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