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질문/응답

Search Result 55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etection of Similar Answers to Avoid Duplicate Question in Retrieval-based Automatic Question Generation (검색 기반의 질문생성에서 중복 방지를 위한 유사 응답 검출)

  • Choi, Yong-Seok;Lee, Kong Joo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8 no.1
    • /
    • pp.27-36
    • /
    • 2019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find the most similar answer to the user's response from the question-answer database in order to avoid generating a redundant question in retrieval-based automatic question generation system. As a question of the most similar answer to user's response may already be known to the user, the question should be removed from a set of question candidates. A similarity detector calculates a similarity between two answers by utilizing the same words, paraphrases, and sentential meanings. Paraphrases can be acquired by building a phrase table used in a statistical machine translation. A sentential meaning's similarity of two answers is calculated by an attention-bas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We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similarity detector on an evaluation set with 100 answers, and can get the 71% Mean Reciprocal Rank (MRR) score.

Extracting and Classifying User Questions to Develop Bidirectional Healthcare Q&A Services in an SNS Environment (SNS 환경에서 양방향 헬스케어 질의응답 서비스 개발을 위한 사용자 질문 추출 및 분류 방법 연구)

  • Oh, Kyo-Joong;Kim, Sung-Suk;Choi, Ho-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c
    • /
    • pp.198-201
    • /
    • 2011
  • 본 연구는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소셜네트워크 속에서 일반 사용자들이 의료 도메인의 전문가들과 쉽게 질문과 응답을 주고 받을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써, 사용자의 문서를 분석하여 질문을 추출해 내고 어떤 의료 도메인에 해당하는 질문인지 분류하는 연구이다. 한글로 구성된 문서 속에서 질문에 해당하는 형태소 분석 방법을 이용하야 질문을 추출을 한 다음 질문 속의 단어 들을 분석하여 KORLEX를 이용한 단어간의 관계성을 분석하여 도메인을 분류하는 작업을 거친다. 또한 본 연구는 텍스트마이닝 기법과 인공지능의 분류 기법을 응용하여 소셜네트워크 속에서 질문과 응답을 분석하여, 의료 도메인의 전문가들이 볼 수 있게 함으로써, 소셜네트워크를 이용한 양방향의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 한다. 이 같은 양방향 질의응답 서비스를 통해 헬스케어 및 의료 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본 논문은 소셜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자들이 올린 헬스케어에 관련된 질문들을 추출하고 분류해 주는 과정에 한정하여 진행된 결과를 기술한다.

New Unrelated Question Randomized Response Model (새로운 무관확률화응답모형)

  • 이기성;홍기학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2 no.1
    • /
    • pp.143-152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응답자가 민감한 속성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직접 "예"라고 응답하고, 민감한 속성을 가지고 있으면 Greenberg et al.(1969)의 무관질문모형의 확률장치를 이용하여 선택된 질문에 응답을 하는 새로운 무관확률화응답모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제안한 모형이 Mangat(1994)의 관련질문모형보다 효율적인 되는 조건을 제시하였고, 수치적으로 효율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Leysieffer와 Warner(1976)의 위험함수와 Flinger et al.(1977)의 사생활 보호 측도를 이용하여 제안한 모형이 Mangat의 관련질문모형에 비하여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해 주는 측면에서 더 효율적임을 보였다.효율적임을 보였다.

  • PDF

청렴도 조사에서 간접질문에 의한 청렴도 점수의 계산

  • Nam, Gi-Seong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4a
    • /
    • pp.25-32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민감한 사항 특히 청렴도 조사에서 금품 향응제공여부 등과 같이 응답자들이 정직하게 응답하지 않을 수 있는 질문들에 대하여 응답자의 비밀을 노출시키지 않고서 양질의 보다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확률화응답기법을 적용하여 실제 청렴도 점수를 추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청렴도 조사와 같은 민감한 질문에 대하여 응답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어 거짓응답을 줄이면서 보다 진실에 가까운 청렴도 점수를 구할 수 있는 사례를 제시한다.

  • PDF

Abductive Reasoning based Question Answering System for Yes/No Quiz (가추적 추론에 기반한 가부형(O/X 퀴즈) 질의응답 시스템)

  • Heo, Jeong;Lee, Hyung-Jik;Bae, Yong-Jin;Kim, Hyun-Ki;Ock, Cheol-Yo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5.10a
    • /
    • pp.46-49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가추적 추론에 기만한 질의응답 기술을 활용하여 O/X 퀴즈 질문에 대한 질의응답을 수행하는 기술에 대해서 소개한다. O/X 퀴즈를 기존의 질의응답 기술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O/X 퀴즈 문장을 단답형 질문으로 재생성해야 한다. 질문재생성에서는 단답형 질문으로 변환하기 위해 특정 어휘(또는 개체나 구)를 <지시대명사>나 <지시관형사+명사>로 대체한다. 이때 대체된 어휘는 정답후보로 인식된다. 단답형질문과 정답후보의 쌍으로 구성된 정답가설은 근거검색과 유사도에 기반한 신뢰도 값 계산을 통해, O/X를 결정하게 된다. 실험을 통해, 신뢰도 임계값이 0.45일 때 정확률이 69.17%를 보였다.

  • PDF

Hierarchical Graph Reasoning for Multi-hop, Multi-task Question Answering (다중 홉 다중 작업 질문 응답을 위한 계층적 그래프 추론)

  • Lee, Sangui;Lee, Giho;Kim, I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984-987
    • /
    • 2020
  • 최근 오픈 도메인 자연어 질문 응답 분야에서는 폭넓은 다중 문서들을 토대로 다중 홉 추론과 동시에 서로 다른 수준의 여러 문제들을 한꺼번에 해결해야 하는 다중 작업 질문 응답에 관한 관심이 높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다중 홉 추론과 다중 작업을 요구하는 복잡 질문들에 효과적으로 응답하기 위해, 계층적 그래프 기반의 새로운 심층 신경망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에서는 계층적 그래프와 그래프 신경망을 이용해 다중 문서들로부터 서로 다른 수준의 맥락 정보를 얻어낸 후, 이들을 활용하여 뒷받침 문장들, 답변 영역, 응답 유형 등을 동시에 구해야 하는 다중 작업 문제에 관한 답들을 예측해낸다. 본 논문에서는 오픈 도메인 자연어 질문 응답 데이터 집합인 HotpotQA를 이용한 실험들을 통해, 제안 모델의 긍정적 효과를 입증한다.

Graph Reasoning and Context Fusion for Multi-Task, Multi-Hop Question Answering (다중 작업, 다중 홉 질문 응답을 위한 그래프 추론 및 맥락 융합)

  • Lee, Sangui;Kim, Incheol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10 no.8
    • /
    • pp.319-330
    • /
    • 2021
  • Recently, in the field of open domain natural language question answering, multi-task, multi-hop question answering has been studied extensively.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deep neural network model using hierarchical graphs to answer effectively such multi-task, multi-hop questions. The proposed model extracts different levels of contextual information from multiple paragraphs using hierarchical graphs and graph neural networks, and then utilize them to predict answer type, supporting sentences and answer spans simultaneously. Conducting experiments with the HotpotQA benchmark dataset, we show high performance and positive effects of the proposed model.

Literature Review of Queston Taxonomy for Developing User-participatory Reference Service (이용자 참여형 참고 서비스 개발을 위한 질문 유형 구분에 대한 문헌적 고찰)

  • Park, Jong-D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9 no.4
    • /
    • pp.401-417
    • /
    • 2015
  • Question taxonomy is one of main approaches to understand the questioner's information need so that we can assign relevant answerers to the question submitted by the user.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question taxonomy of question and answering services, which are available online and in libraries an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question answering services by type.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examines the types of questions appeared in literature, specifically focusing on social reference, question answering systems, and reference services, and then provides a summary of question taxonomy found in question answering services.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Question and Answer Services in Internet Portals (인터넷포털 지식검색의 질문응답서비스 성능평가)

  • Chang, Hye-Rhan;Lee, Eun-Tae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37 no.2
    • /
    • pp.137-156
    • /
    • 2006
  •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question and answer services provided through the internet portals in Korea, question and answer transcript of four major services were sampled systematically. Using the digital reference evaluation framework, number and types of questions, response rate, timeliness, accuracy for information questions and user satisfaction were measured and analyzed. The level of the service performance is identified and compared. The conclusion includes suggestions for service improvement.

Feature Extraction for Community Question Answering System(cQA) considering Question Characteristic (질문 특성을 고려한 커뮤니티 질의응답 시스템(cQA) 자질 추출 방법)

  • Park, Yongmin;Kim, Bogyum;Lee, Jae S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4.10a
    • /
    • pp.119-121
    • /
    • 2014
  • 커뮤니티 질의응답 시스템(cQA)은 기존에 구축된 '질문-답' 쌍에서 사용자의 질문과 비교하여 유사도 순으로 결과를 보여주는 시스템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립국어원'의 질의응답 게시판에 적용 가능한 '커뮤니티 질의응답 시스템'을 소개하고, 국립국어원 질의응답 게시판의 질문 특성을 분석하여 cQA의 성능 향상을 위한 자질 추출 방법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