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질량비 변화

Search Result 37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CFD Study of the Supersonic Ejector-Pump Flows (초음속 이젝터 펌프 유동에 관한 수치해석)

  • 이영기;김희동;서태원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3 no.4
    • /
    • pp.58-66
    • /
    • 1999
  • The flow characteristics of supersonic ejectors is often subject to compressibility, unsteadiness and shock wave systems. The numerical works carried out thus far have been of one-dimensional analyses or some Computational Fluid Dynamics(CFD) which has been applied to only a very simplified configuration. For the design of effective ejector-pump systems the effects of secondary mass flow on the supersonic ejector flow should be fully understood. In the present work the supersonic ejector-pump flows with a secondary mass flow were simulated using CFD. A fully implicit finite volume scheme was applied to axisymmetric compressible Navier-Stokes equations. The standard two-equation turbulence model was employed to predict turbulent stresses. The results obtained showed that the flow characteristics of constant area mixing tube types were nearly independent of the secondary flow rate, but the flow fields of ejector system with the second-throat were strongly dependent on the secondary flow rate due to the effect of the back pressure near the primary nozzle exit.

  • PDF

Dynamic Analysis of a Rigid Body Travelling on the Rotating Shaft (회전축을 따라 이동하는 강체의 동해석)

  • Park, Yong-Suk;Hong, Sung-Chul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528-53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두 스프링으로 지지된 강체가 회전하는 Timoshenko 축을 따라 이동할 때, 그 계의 동적응답 특성을 해석하였다. 운동방정식은 Hamilton의 원리에 따라 유도되었다. 유도된 운동방정식을 이용하여 주요 설계 파라미터 변화에 따른 응답특성을 해석하였다. 해석시 설계파라미터를 무차원 변수화 하여 속도비, 질량비, 회전수비 등 그 변화에 따른 응답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Experimental Evaluation of Design Parameters for TLCD and LCVA (TLCD와 LCVA의 설계파라미터에 대한 실험적 평가)

  • Lee, Sung-Kyung;Min, Kyung-Won;Park, Ji-Hun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2 no.5
    • /
    • pp.403-410
    • /
    • 2009
  • In this paper, damping coefficients and effective masses of tuned liquid-type column dampers were quantitatively evaluated based on experimental results by using system identification technique. First, shaking table tests were performed for two types of tuned liquid-type column dampers. Then,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dampers used in this study were experimentally grasped from harmonic wave excitation testing results of the dampers with various water level. Finally, damping ratios and effective masses of the dampers with varying water level were quantitatively evaluated from minimizing the errors between numerical and experimental results. It was confirmed from system identification results that damping ratio and effective mass are decreased as the water level of dampers is increased.

Optimal Design of Passive TMD for Seismic Behavior Control of Spacial Structures (공간구조물의 지진동제어를 위한 TMD의 최적설계)

  • Kim, Gee-Cheol;Kang, Joo-Won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 /
    • v.11 no.2
    • /
    • pp.81-88
    • /
    • 2011
  • The studies of seismic response control are mainly conducted on rahmen structure until now. Spatial structures have the different dynamic characteristics from general rahmen structures. So,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very limited for vibration control and seismic design of spatial structures. TMD(Tuned Mass Damper) is one of the vibration control device that is mainly used to reduce the vibration level of high-rised building, bridge or stadium structure. In this study, an arch structure was used as an example structure because it has primary characteristics of spatial structures and the seismic behaviour of spatial structures may fundamentally differ from the conventional building structures. So, the vibration control performance is evaluat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MD mass and TMD location. It is reasonable to install TMD at the quarter point that is dominant mode vector of 1st mode, And it is appropriate that TMD mass ratio is 2% in the seismic response control of arch structure.

A Study on the Flow Characteristics in a Torque Converter (토크 컨버터 유동특성에 대한 연구)

  • Yoo, S.C.;Jang, S.K.
    • Journal of Power System Engineering
    • /
    • v.12 no.5
    • /
    • pp.20-26
    • /
    • 2008
  • 양산되는 승용차용 토크 컨버터 내부의 유동을 LDV 측정 기술을 이용하여 정량화했다. 속도비 0.4와 0.8 경우에 대한 속도 측정을 통해 임펠러 유로 중간과 출구 영역의 질량 유동율 특성을 분석했다. 측정 단면의 속도 분포는 유로의 위치와 속도비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며, 특히 속도비 0.8 조건에서 임펠러 유로 중간영역 흡입면 부근의 유동은 유동박리에 의한 재순환 현상을 나타내며, 이와는 대조적으로 출구 영역에서는 흡입면을 따라 역류 현상이 발생한다. 임펠러 유로 내부의 유동은 각 영역에서 속도비에 따라 개별적 유동 특성을 보인다. 질량 유동율은 모든 속도비와 측정단면에서 주기적인 변화를 보이며, 또한 터빈의 순간적인 위치가 임펠러 유로 측정단면의 질랑 유동율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토크 컨버터 임펠러의 유로 방향 유동 특성 변화는 컨버터 설계에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The Photometric Analysis Of The W Subtype Contact Binary EK Comae Berenices

  • Song, Mi-Hwa;Kim, Chun-Hwey;Lee, Jae Woo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2 no.2
    • /
    • pp.64.1-64.1
    • /
    • 2017
  • 접촉쌍성 EK Com은 0.2667일의 짧은 주기를 가진 만기형 식쌍성으로 광도곡선의 변화로 인해 연구자마다 이계의 하위 유형을 다르게 언급하여 하위유형의 혼동이 있는 천체이다. 우리는 소백산천문대에서 2009년 5월 VR 필터로, 2013년 2 ~ 5월 사이 BVRI 필터로, 2016년 1 ~ 4월 사이 R 필터로 CCD 측광 관측하여 3개의 새로운 광도곡선을 획득하였다. 우리의 관측 자료와 SuperWASP의 공개된 자료로부터 40개의 새로운 극심시각을 산출하였다. 이 극심시각을 포함하여 155개의 극심시각을 여러 문헌에서 수집하여 주기 연구를 수행한 결과, EK Com의 공전주기는 영년 주기 증가와 더불어 8.2년의 주기적인 변화가 겹쳐 변화함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주기 변화 원인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영년주기변화는 질량이 작은 별에서 큰 별로의 질량이동에 의하여 일어나고, 주기적인 변화는 질량이 큰 주성의 자기 활동에 의해 발생할 수 있음을 보였다. Wilson-Devinney code를 이용한 광도곡선 분석을 통하여 EK Com은 개기식이 부식에 있는 하위 유형 A라기 보다 주식에 있는 W형에 속하며, 모든 광도곡선에서 1개의 Hot spot과 1개의 Cool spot을 가진 모형이 가장 관측치를 잘 설명한다. W UMa형 별들의 HR도, 온도비, 질량의 그래프에서 EK Com은 W형 Group들이 있는 위치에 존재한다. 이는 광도곡선에서 유추한 EK Com의 하위 유형과도 일치한다.

  • PDF

Application of MR Damper for Vibration Control of Floor Slab (바닥판 구조물의 진동제어를 위한 MR 감쇠기의 적용)

  • Kim, Gee-Cheol;Kwak, Chul-Seung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 /
    • v.6 no.3 s.21
    • /
    • pp.59-67
    • /
    • 2006
  • A conventional passive TMD is only effective when it is tuned properly. In many practical applications, inevitable off-tuning of a TMD occurs because the mass in a building floor could change by moving furnishings, people gathering, etc. when TMDs are offtuned, TMDs their effectiveness is sharply reduced. Moreover, the off-tuned nTMDs can excessively amplify the vibration levels of the primary structures. This paper discusses the application of a new class of MR damper, for the reduction of floor vibrations due to machine and human movements. The STMD introduced uses a MR damper called to semi-active damper to achieve reduction in the floor vibration. Here, the STMD and the groundhook algorithm are applied to a single degree of freedom system representative of building floors. The performance or the STMD is compared to that or the equivalent passive TMD. In addition, the effects of off-tuning due to variations in the mass of the floor system. Comparison of the results demonstrates the efficiency and robustness or STMD with respect to equivalent TMD.

  • PDF

Prediction of Fire Curves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ss Increase and Combustion Time of Combustibles (연소물의 질량증가와 연소시간의 상관관계를 고려한 화재곡선 예측)

  • Eun-Joon Nam;Tae-Il Lee;Goang-Seup Zi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8 no.2
    • /
    • pp.9-16
    • /
    • 2024
  • In this paper, we aimed to convert the fire curve in volume units to a fire curve per unit area for application in the Fire Dynamic Simulator (FDS) surface heat release rate method. The fire curve was expressed dimensionlessly considering the total combustion characteristic time, and improvements were made to represent the appropriate ratios for the growth , steady, and decay phases concerning the fire intensity. Additionally, a correction function for combustion characteristic time varying with mass increase was derived. Also to control the growth time values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mass, a function to correct the growth phase ratio was derived. Consequently, utilizing existing data, a formula was established to determine the reference mass for combustion materials and predict the fire curve based on mass increase.

Pulsed-Delayed Extraction for Resolution Enhancement of Linear Time-of-Flight Mass Spectromenter in Surface-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of Polypropyleneglycol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의 표면-보조 레이저 탈착/이온화에서 선형 비행시간 질량분석기의 분해능 개선을 위한 시간 지연 추출법의 응용)

  • Kim, Jung Hwan;Kang, Wee Kyung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44 no.4
    • /
    • pp.328-336
    • /
    • 2000
  • The pulsed-delayed extraction (PDE) in linear time-of-flight mass spectrometer(TOF MS) is characterized on the enhancement of resolution, mass-depth of focus and effect of instrumentahan 2000. The ion signals separate isotopically by up to molecular weight of 2500 in instrumental broadening of 5 ns, which is a good agreement with calculation. The fragmentation paths of PPG can be sug-gested by the isotopica distributions of fragment series produced when PPG desorbed from graphite surface.

  • PDF

Numerical analysis according to evaporator type (증발기 형태에 따른 수치적 해석)

  • Kim, Dae Yeong;Kim, Moon Ki;Yun, Hong 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03-103
    • /
    • 2017
  • 증발기의 형태에 따라 수치적 해석을 진행하면서 최적의 효율을 나타낼 수 있는 증발기를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증발기의 수치적 해석은 EE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진행되었으며, 계산의 검증은 자사의 제품의 성능과 비교하면서 검증하였다. 증발기의 수치적 해석의 구성은 지배방정식과 연속방정식을 이용하여, 냉매의 총괄열전달계수, 관내외벽의 열전도율, 공기의 총괄열전달계수를 이용하여 총괄열전달계수를 계산하였으며, 총괄열전달계수를 이용하여 증발기의 열량을 계산하였다. 증발기의 수치적 해석과 자사 제품 5개의 제품과 비교하였고, 평균적으로 약 10%의 오차율을 보였다. 신뢰성이 확보된 계산식을 이용하여 Fin의 간격, 단위 질량유량, 열 교환 코일 길이, 풍량의 조건을 각각 변동시켜 증발기 열량 비교를 하며 경향성을 고찰하였다. Fin의 간격을 1mm에서 20mm으로 0.5mm 간격으로 변화 시켰을 경우, 핀 간격이 좁으면 공기 유속이 빨라져 열 교환 효율이 낮아지며, 반대로 넓어지면 냉매 유량에 비해 공기 유량이 많기 때문에 열 교환 효율이 낮아진다. 열 교환 코일 길이를 500mm에서 2400mm으로 50mm 간격으로 변화 시켰을 경우, 열 교환 코일 길이가 길어질수록 배관의 마찰력과 냉매의 온도 상승으로 인하여 공기 온도와의 온도 차이가 줄어들어 열 교환 효율은 낮아진다. 풍량을 20cmm에서 400cmm으로 10cmm 간격으로 변화 시켰을 경우, 일정 풍량 이상 올라가면 공기 유속이 빨라져서 열량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질량유량을 3g/sec에서 174g/sec으로 4.5g/sec 간격으로 변화 시켰을 경우, 질량 유량에 따라 비례적으로 열량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다가 일정 질량 유량 이상에서는 공기 풍량에 비해 냉매 유량이 많기 때문에 반비례적으로 열량이 낮아진다. 이처럼 증발기의 설계는 Fin 간격, 열 교환 코일 길이, 풍량, 질량유량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증발기 설계를 해야 하며, 저장고의 크기, 부하, 사용목적에 따라 최적화된 증발기를 설계하여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