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진정 아미노산 이용율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국내산 어분의 종류별 아미노산 이용율에 관한 연구 (A Bioassay on Amino Acid Availability of Various Domestic Fish Meal)

  • 김대진;김영길;김진성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9-25
    • /
    • 1984
  • 국내에서 생산되는 정어리어분, 청어어분, 멸치어분, 명태부산물어분 그리고 취치부산물 어분의 일반조성분, 칼슘, 인, 그리고 아미노산 함유량을 측정하였다. 이들 어분의 몇가지 필수아미노산(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을 제외하고는 필수아미노산 진정이용율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어분의 종류별 필수아미노산 이용율은 멸치어분, 정어리어분, 쥐치부산물어분, 청어어분 그리고 명태부산물어분이 각각 95, 93, 91, 91%순위였다. 개별 필수아미노산의 진정이용율은 시험 어분들간에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P<0.01). Lysine 의 진정이용율은 청어어분, 명태부산물어분 그리고 쥐치부산물 어분순으로 낮은 반면에 phenylalanine은 쥐치부산물과 명태부산물어분 순위로 가장 낮았다. 일반적으로 멸치어분은 모든 어분중에서 진정아미노산 이용율이 높게 나타났다.

  • PDF

진정아미노산이용율(TAAA)방법에 의한 단백질공급원의 아미노산 이용율 및 대사에너지 측정 (Determination of Amino Acid Availability and Metabolizable Energy in Protein Feedstuffs by True Amino Acid Availability(TAAA) Method)

  • 남궁환;백인기;이희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89-196
    • /
    • 1993
  • TAAA(true amino acid availability)방법에 의해 단백질공급원들의 진정아미노산 이용율과 대사에너지가를 측정하기 위하여 시험원료당 수탉 3수씩을 공시하여 35시간 절식후 30g의 시험원료를 강제급이 한 다음 36시간 동안 분요를 채취하였다. 진정아미노산 이용율은 단백질원료간에 유의한 차이(P<0.01)가 있었는데 어분(96.1%)이 가장 높았고, 다음이 옥수수글루텐(91.2%), 채종박(88.8%), 대두박(88.7%), 육골분(87.2%), 캐놀라박(86.1%), 면실박(82.6%) 그리고 우모분(82.5%) 순이었다. TAAA방법에 의한 가용 Iysine 값은 chick bioassay(CBA)나 화학적 방법중 FDNB방법에 의해 얻어진 가용 Iysine 값과 고도(P<0.01)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진정대사에너지가는 옥수수글루텐(4,011 kcal/kg)이 가장 높았고 다음이 어분(3,906), 우모분(3,098), 대두박(3,007), 육골분(2,631), 캐놀라(2,326), 면실박(2,246) 그리고 채종박(2,120) 순이었다.

  • PDF

수입 옥수수들의 TME가와 In vitro 방법에 의해 측정한 ME가의 비교 (Comparison of TME Values of Imported Corns and ME Values Determined by In vitro Method)

  • 조중호;백인기;현영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6호
    • /
    • pp.737-744
    • /
    • 2007
  • 수입 옥수수들의 TME가를 구하고 진정 아미노산 이용율(TAAA) 그리고 여타 진정 영양소 이용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57주령 된 Hy-Line rooster 24수를 대사 케이지에 수용하고 미국산 (USA), 아르헨티나산(ARG), 중국산(CHN), 중국산‐premium(CHNP) 등 원산지별로 5수씩 공시하였고 내인성 에너지가와 아미노산을 측정하기 위해 4수를 절식구로 두어 총 4회에 걸쳐 4주 간격을 두고 대사시험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TME값은 In vitro 방법에 의해 측정한 MEn, ME 그리고 MEpc와의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풍건물(as fed) 기준으로 한 TME 값에 있어서 USA구가 3,745로 ARG구 3,555 그리고 CHNP구 3,517 보다 유의하게(P<0.01) 높았고 CHN구 3,671kcal/kg와는 유의한 차가 없었다. 건물(DM) 기준 TME 값은 USA구가 4,144로 CHN구 4,060와 CHNP구 4,008과는 유의한 차가 없었으나 ARG구 4,001kcal/kg 보다는 유의하게(P<0.05) 높았다. 옥수수의 phenylalanine, histidine 그리고 arginine의 TAAA는 수입 옥수수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USA가 가장 높았다. 그러나 전체 아미노산의 TAAA에 있어서는 유의차가 없었으나 USA 옥수수가 89.4%로 다른 원산지 옥수수들인 ARG 89.3%, CHN 89.1%, CHNP 86.5% 보다 다소 높았다. 영양소 이용률에 있어서 NFE 이용율은 USA, ARG 그리고 CHN 옥수수가 CHNP 옥수수 보다 유의하게(P<0.05) 높았으며 조단백, 조지방, 조섬유 및 조회분의 이용율에는 시료간에 유의한 차가 없었다. TME가와 In vitro 방법에 의해 측정된 MEn가 사이의 상관계수는 0.91로 P<0.1이었으나 TME가와 ME가 그리고 TME가와 MEpc가 사이에서의 상관계수는 각각 0.90과 0.83으로 P>0.1이었다. 결론적으로 미국산 옥수수가 TME값과 아미노산 이용율이 가장 높았고 중국산 premium corn은 중국산 regular corn과 비교했을 때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In vitro 방법으로 옥수수의 TME가를 추정할 경우 MEn값 산출 공식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호마박의 영양적 가치 평가 및 산란계 사료 내 첨가각 사양 성적에 미치는 영향 (Evaluation of the Feeding Value of Sesame Oil Meal and Effects of Its Dietary Supplementation on the Performances of Laying Hens)

  • 임호중;안승민;유선종;김용란;안병기;강창원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55-263
    • /
    • 2004
  • 본 연구는 호마박의 사료적 가치를 평가하고 산란계의 성적에 미치는 호마박의 첨가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16수의 ISA-Brown 종계 수탉을 공시하여 강제 급여 방법에 의해 호마박의 진정 대사에너지(TME),질소 보정 진정 대사 에너지 (TMEn)및 진정 아미노산 이용률(TAAA)을 조사하였다. 호마박의 TME 및 TMEn은 각각 2.30 kca1/g및 1.99 kcal/g이었고, 15개 아미노산의 평균 이용률은 $76.93\%$로 나타났다. 실험 2에서는 48주령의 ISA-Brown산란계 90수를 3개 처리(대조구, 호마박 $5\%$, 호마박 $10\%$)로 나누어 4주간의 사양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사료 내 호마박 첨가가 난 생산성 및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산란계 사료 내에 호마박을 $5\%$$10\%$첨가했을 때 난 생산성 및 생산된 계란의 품질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호마박 $10\%$ 첨가구에서 난황 내 Cl8:3 $\omega$3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혈청 내GOT, G-GT, BUN및 cholesterol 조성에 있어서도 처리간에 큰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호마박을 정확한 원료 평가를 거쳐 사용한다면 산란계 사료에 있어서 $10\%$까지 사용하여도 난 생산성 및 계란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았으며, 공시계에게 어떠한 부정적인 영향도 미치는 않았다는 결과가 시사되었다.

육계에서 옥수수 주정박의 아미노산 소화율 조사 (Amino Acids Digestibility of Corn Distillers Dries Grains with Solubles in Broiler Chickens)

  • 황보종;홍의철;나재천;김지혁;강환구;김민지;김동욱;김원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97-303
    • /
    • 2012
  • 본 시험은 옥수수 주정박의 첨가가 소화 부위별 아미노산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공시계는 Ross종 육계 수컷 24수를 이용하였다. 시험사료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CP 19%, ME 3,150 kcal/kg)를 기초 사료로 하였으며, 주정박을 6%와 12% 첨가한 사료를 시험사료로 하였다. 시험 설계는 사료 내에 주정박을 첨가시킨 양에 따른 3처리구(처리구당 8수)로 나누고, 소화물 채취 부위에 따른 4처리구로 나누어 $3{\times}4$의 복합 요인으로 소화율을 조사하였다. 소화율 측정을 위한 시료 수집 부위는 공장의 말단부(DJ, the distal end of the jejunum), 회장의 중부(MI, the middle part of the ileum), 회장의 말단부(DI, the distal end of the ileum) 및 직장의 말단부(DR, the distal end of the rectum)로 하였다. 주정박 첨가 수준과 채취 부위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본 시험의 진정 소화율은 부위에 따라서는 유의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P<0.05). CDDGS 첨가 수준에 따른 소화율은 필수 아미노산 중 lysine의 소화율이 CDDGS 첨가구에서 감소하였다(P<0.05). 또한 비필수 아미노산에서는 glycine의 소화율이 CDDGS 첨가구에서 감소하였으며(P<0.05), 다른 아미노산들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CDDGS는 lysine과 glysine 소화율은 대조구에 비해 낮았으나, 대체적으로 대조구와 유사한 소화율을 보여 부존 자원으로서 가금 사료에 이용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육계에 있어서 옥수수 주정박의 진정 대사 에너지가 측정 및 사료내 첨가가 생산성과 영양소 이용률에 미치는 영향 (Evaluation of True Metabolizable Energy and the Effect of Corn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in the Diets on Broiler Performance and Nutrient Availability)

  • 홍의철;정완태;강근호;박희두;서옥석;나재천;김원;노환국;황보종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81-389
    • /
    • 2009
  • 본 연구는 아미노산 소화율과 육계의 생산성에 대하여 CDDGS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시험 1> CDDGS의 $TME_n$가는 $2,937{\pm}50.1\;kcal/kg$ 이었다. <시험 2> 공시계는 1일령 Ross종 육계 192수를 CDDGS 첨가 수준에 따라 총 4처리구, 처리당 4반복, 반복당 12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시험 사료는 육계 초기($0{\sim}2$주), 전기($2{\sim}4$주)와 후기($4{\sim}6$)의 기본 사료에 CDDGS를 0, 6, 12, 18% 첨가하였으며, ME가와 CP는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증체량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섭취량은 CDDGS 비급여구가 급여구보다 증가하였다(P<0.05). CDDGS 처리구에서 인의 소화율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아미노산 소화율은 CDDGS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lysine, threonine, aspartic acid 및 glycine에서 낮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CDDGS는 높은 ME가를 가지고 있으며, CDDGS 첨가구는 대조구에 비해 아미노산 소화율이 낮았으나, 육계 생산성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