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진범

검색결과 238건 처리시간 0.023초

GIS 기법을 이용한 폐석면 광산의 위해성 평가 (Health Risk Assessments using GIS Method for the Abandoned Asbestos Mines)

  • 최진범;손일;노진환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3-53
    • /
    • 2011
  • 폐석면 광산의 위해성 평가는 통상 ABS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지만, 조사지역 전반에 관한 위해성 경향을 파악하는 데 그치는 한계를 지닌다. 이 연구에서는 새로운 평가방식으로 잠재적 위해지수(PIHR)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석면 위해도를 계랑화하였다. PIHR 값에 대해 석면이 인체에 위해를 주는 요인들을 고려하여 적절한 가중치를 부여한 후, 토양 내 석면 농도 값을 적용하여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적지선정기법을 활용하여 위해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충청남도 보령시에 위치한 어느 폐석면 광산에 적용한 결과, 잠재적 위해 지수가 매우 높은 지역은 전체 면적의 7.8%에 해당되는 27.3 ha이며, 위해성 평가는 미국 환경보호청의 종합위해정보시스템(IRIS) 모델을 적용하여 각각 만 명당 1명(석면농도 0.36% 이상), 3만 명당 1명(석면농도 0.1% 이상), 10만 명당 1명(석면농도 0.04% 이상) 평생초과 발암 위험도 기준으로 관리할 경우 3.0, 12.9, 19.5 ha로 면적이 증가한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광해 복원범위 선정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리튬 2차전지용 양극소재 $LiFePO_4/C$의 합성 및 리트벨트 구조분석 (Synthesis and Rietveld Refinement of the Cathode Material $LiFePO_4/C$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 황길찬;최진범;김재광;안주현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3-72
    • /
    • 2009
  • 개량된 MA법으로 합성된 $LiFe(PO_4)/C$에 대해 X-선 회절분석을 실시하여 리트벨트법에 의해 결정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리트벨트 계산 결과 리트벨트 R 지수 값은 $R_p=8.14%,\;R_{wp}=11.1%,\;R_{exp}=9.09%,\;R_B=3.88%$, S (GofF, Goodness of fit) = 1.2으로 계산이 잘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LiFePO_4/C$는 공간군 Pnma를 가지며, 격자상수 값은 a = 10.3229(3)${\AA}$, b = 6.0052(2) ${\AA}$, c = 4.6939(1) ${\AA}$이고 체적값은 V = 290.98(1) ${\AA}^3$으로 기존 다른 합성법의 연구결과와 잘 일치한다. 분말 입자는 고순도를 가지고 나노 크기($65{\sim}90nm$)로 기존 MA법보다 상대적으로 미세하고 균질도가 향상되었다. 따라서 개량된 MA법은 상업용 리튬 2차 전지의 양극물질 생산을 위한 우수한 제조법으로 판단된다.

사용자의 검색 목적을 포함한 검색엔진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Search Engine Interface Design including User's Search Goal)

  • 진범석;지용구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11-124
    • /
    • 2008
  • 정보기술이 발달함으로써 우리 주변에 둘러싼 거의 모든 정보는 디지털 정보로 데이터베이스화 되어 정보에 대한 접근성(Accessibility)을 높여 정보화 시대를 이루게 되었다. 하지만 무한의 정보속에서 사용자가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선별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뒤따르며, 어떠한 정보가 중요하고, 어떠한 정보가 중요하지 않은지 판단하기란 쉽지 않게 되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필요한 정보를 쉽고 정확하게 검색하여 사용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정보에 대한 접근성과 활용 가능성을 높이고자 검색엔진의 필요성이 증가되었다. 본 연구는 사용자의 검색목적과 검색엔진 인터페이스 디자인 요소 간의 관련성 분석을 통해 검색엔진의 활용성을 높임과 동시에 검색엔진의 사용편의성과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검색엔진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중요 속성 제시하고자 한다. 즉, 사용자의 검색목적을 고려하여 검색엔진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활용될 수있는 가이드 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사용자들의 검색목적 유형과 검색엔진 인터페이스의 형태를 분류하고, 서로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된 중요 인터페이스 속성은 사용자들에게 보다 효율적으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며, 다양한 사용자층을 포함하여 궁극적으로 검색엔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PDF

사용자 검색목적을 포함한 검색엔진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Search Engine Interface Design including User's Search Goal)

  • 진범석;지용구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304-309
    • /
    • 2008
  • 정보기술이 발달함으로써 우리 주변에 둘러싼 거의 모든 정보는 디지털 정보로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정보에 대한 접근성(Accessibility)을 높여 정보화 시대를 이루게 되었다. 하지만 무한의 정보 속에서 사용자가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선별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뒤따르며, 어떠한 정보가 중요하고, 어떠한 정보가 중요하지 않은지 판단하기란 쉽지 않게 되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필요한 정보를 쉽고 정확하게 검색하여 사용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정보에 대한 접근성과 활용 가능성을 높이고자 검색엔진의 필요성이 증가되었다. 본 연구는 사용자의 검색목적과 검색엔진 인터페이스 디자인 요소간의 관련성 분석을 통해 검색엔진의 활용성을 높임과 동시에 검색엔진의 사용편의성과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검색엔진 인터페이스 디자인 방안 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들의 검색목적 유형과 검색엔진 인터페이스의 형태를 분류하고 서로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검색목적에 따라 각각의 검색엔진 인터페이스 디자인 시에 중요한 인터페이스 속성을 파악하였으며, 인터페이스 속성과 중요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검색목적에 적합한 검색엔진 인터페이스 디자인과 효과적인 광고 사용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검색엔진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들에게 보다 효율적으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며, 다양한 사용자층을 포함하여 궁극적으로 검색엔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PDF

울산광역시 장애인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자원봉사 중심의 지속적 치과진료사업의 사례 (Oral health promotion of the disabled by consistent voluntary dental care services)

  • 김진범;김병재;한동헌;전은주;김한나;김민지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3권11호
    • /
    • pp.855-869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oral health promotion of the disabled persons by voluntary dental services in Ulsan Metropolitan City. Two dentists taken a calibration training for national oral health survey examined the oral health status of 473 disabled persons from two special schools for the disabled children and adolescents, a residential facility and a gymnasium for the disabled persons in 2009-2010. The surveyed disabled persons in the age range was from 7 to 74 years old. Voluntary dentists, oral hygienists and other civilian volunteers had supplied with the oral health care services to the disabled persons at dental clinics of special schools for the disabled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a dental clinic supported from Nam-Gu Public Health Center in Ulsan Metropolitan City since 1997. The obtained data from these surveys were analyzed with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Among subjects aged 12-14 years, subjects with decayed, missing and filled teeth (DMFT) in permanent dentition was 46.9%; subjects with untreated decayed teeth, 17.2%. The number of decayed, missing and filled teeth in permanent dentition was 1.36. The proportion of decayed components of DMFT score was 28.00%; proportion of missing components of DMFT score, 1.43%; proportion of filled components of DMFT score, 70.57%. The proportion of filled components of DMFT score among disabled persons of all age group in Ulsan were evaluated to be a similar level to non-disabled citizens in Ulsan from 2010 Korean National Survey. The oral health care programs for disabled persons by voluntary services of dental professionals and other civilians are evaluated to be effective for the oral health promotion of disabled persons in Ulsan.

민통선 접경지역(매봉산, 칠절봉, 향로봉)일대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ora and Vegetation of Civilian Control Line Area (Hyangro-Bong, Chiljeol-Bong, Mt. Mae-Bong in Inje-gun, kangwon-do))

  • 박광서;안치호;박완근
    • 임산에너지
    • /
    • 제20권2호
    • /
    • pp.81-116
    • /
    • 2001
  • 민통선 접경지역을 대상으로 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104과 331속 634종 2아종 90변종 7품종으로 총 730종류가 분포하였으며, 양치식물계수(Pte-Q)는 1.27로 종다양성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지역의 한국특산식물은 지리대사초, 키버들, 누른종덩굴, 진범, 금감제비꽃 등 31종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진부애기나리, 말나리, 연령초, 천마 등 35종류가 분포하고 있었으며, 조사지역내의 귀화식물로는 오리새, 왕포아풀, 애기수영, 대나물, 다닥냉이 등 26종류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통선 접경지역의 식생은 1군목, 1군단, 6군락으로 분류되었다. Rhododendro-Quercetalia mongolicae Kim 1990(신갈나무-철쭉군목), Lindero-Quercion mongolicae Kim 1990(신갈나무-생강나무군단), A. Carex humilis v. nana- Phinus densiflora Community 소나무-산거울군락, B. Acer pseudo-sieboldianum-Quercus mongolica Community 당단풍-신갈나무군락, C. Styrax obassia-Quercus mongolica Community 쪽동백-신갈나무군락, D. Acer palmatum-Quercus mongolica Community 단풍나무-신갈나무군락, E. Rheodendron mucronulatum-Quercus mongolica Community 진달래-신갈나무군락, F. Betula schmiditii-Quercus mongolica Community 박달나무-신갈나무군락

  • PDF

DMZ에 인접한 봉화산 일대의 관속식물 분포 연구 (The Floristic Study of Mt. Bonghwa (Yanggu-gun, Gangwon-do) Area Adjacent to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

  • 김상준;신현탁;안종빈;윤정원;정수영;이준우;허태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554-574
    • /
    • 2018
  • 본 연구는 강원도 양구군 DMZ 접경지역에 위치한 봉화산(874.9m)의 관속식물을 밝히고 보전이 필요한 주요 식물과 자원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2015년 5월부터 2017년 4월까지 총 10차례에 걸쳐 조사된 관속식물은 93과 309속 358종 4아종 58변종 5품종으로 총 525종이 파악되었다. 그중 산림청에서 지정한 희귀식물은 개느삼, 삼지구엽초, 쇠채 등 총 12분류군, 한국 특산식물은 진범, 요강나물, 고려엉겅퀴 등 총 17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등급에 해당하는 삼지구엽초, 개느삼 등을 포함하여 총 80분류군이 분석되었다. 외래식물은 31분류군으로 파악되었으며 귀화율과 도시화지수는 각각 5.8%, 7.25%로 나타났다. 조사된 525분류군의 유용도는 식용자원으로 분류되는 식물 213분류군(40.9%), 목축및 사료 자원으로 이용되는 식물 196분류군(37.2%), 약용식물 172분류군(32.6%), 관상용 50분류군(9.5%), 목재용, 염료용, 섬유용으로 이용되는 식물이 각각23분류군(4.3%), 10분류군(1.9%), 6분류군(1.1%)으로 분석되었다.

대구 앞산공원 일대의 관속식물상 (The Vascular Plants of Apsan Park in Daegu, Korea)

  • 장정걸;유성태;김병도;권혜연;이명훈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65-397
    • /
    • 2020
  • 본 연구는 대구시 앞산공원 일대 관속식물을 연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조사는 2018년 4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총 39회에 걸쳐 수행하였고, 확인한 관속식물은 114과 382속 619종 5아종 77변종 12품종 5교잡종 3재배품종 등 총 721분류군으로 정리하였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23분류군: 멸종위기종(CR) 왕벚나무 1분류군, 위기종(EN) 깽깽이풀 및 애기자운2분류군, 취약종(VU) 왜박주가리 및 멱쇠채 등 8분류군, 약관심종(LC) 가침박달 등 11분류군 및 자료부족종(DD) 옥녀꽃대 1분류군을 확인하였다. 특산식물은 진범, 외대으아리, 노랑갈퀴 등 15분류군을 확인하였다. 환경부 지정 구계학적특정식물 98분류군: V등급 구상난풀 1분류군, IV등급 사철고사리 등 11분류군, III등급 바위손 등 24분류군, II등급오리나무 등 18분류군 및 I등급 큰꽃으아리 등 44분류군을 확인하였다. 귀화식물은 57분류군으로 이 중 생태계교란외래식물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및 가시상추 3분류군을 확인하였으며, 도시화지수는 17.76%, 귀화율은 7.91%로 대구 인근지역 주요 산지 및 과거 연구와 비교해 볼 때 다소 높은 도시화지수와 귀화율을 보였다. 이는 도심지와 가까워 접근성이 좋고 연간천만 이상의 시민이 이용하고 있어 수많은 산책로가 개설되는 등 사람들의 왕래가 잦아지면서 귀화식물의 유입이 많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현재 자생식물들의 위협이 될 우려가 있어 생태계교란외래식물을 우선적으로 제거하는 등의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치위생과 학생과 비보건계열 학과 학생의 잇솔질 습관 (Toothbrushing habits of dental hygiene students and students majoring non-health related field)

  • 정미경;이은숙;김지화;김민지;한동헌;김진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726-739
    • /
    • 2009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ifferences in time, frequency, and methods of toothbrushing according to knowledge acquirement of oral health between first and third year dental hygiene students who had relatively sufficient oral health education and students majoring non-health related field who had less opportunities of oral health education, to emphasiz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education, and to present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effective programs of oral health education. Methods : 2,032 dental hygiene students and students majoring non-health related field attending 12 universities in Korea had been selected as subjects and were asked to complete a self-administered survey time, frequency, and methods of toothbrushing. The SPSS 12.0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and the significance of difference by groups was tested by using chi-square test, the one-way ANOVA and independent t-test. The mean frequency of toothbrushing per day and the rate of toothbrushing before and after meal were analyzed by using of multiple comparisons through the Scheffe test as post hoc test. Results : The rate of toothbrushing after lunch was 60.2% in third year and 39.2% in first year dental hygiene students, 20.3% in students majoring non-health related field, respectively. The mean frequencies per day of dental hygiene students were 3.33 times in third year and 2.85 times in first year dental hygiene students, 2.46 times in students majoring non-health related field, respectively. The rate of toothbrushing after meal among total frequency of toothbrushing per day was 85.36% in third year and 84.81% in first year dental hygiene students, 77.90% in students majoring non-health related field, respectively. As for the methods of toothbrushing, 'Turning up and down' was 68.8% in third year and 43.1% in first year dental hygiene students, 30.6% in students majoring non-health related field, respectively. Conclusions : Oral health education through dental hygiene course may improve the oral environment management of dental hygiene students and oral health education on toothbrushing should be strengthened for the students majoring non-health related field.

  • PDF

치위생과 학생의 구강건강 지식과 행동변화 (Behavioral changes of dental hygiene course students according to oral health knowledge)

  • 이은경;남용옥;김설악;김민지;한동헌;김진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715-725
    • /
    • 2009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which the professional dental hygiene education has on the knowledge and behavioral change for oral health to the students in the departments of dental hygiene. Methods : 771 students in the first grade and 646 students in the third grade who were attending the departments of dental hygiene from 12 colleges in Korea were surveyed.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students in the colleges during May and asked them to answer the questions and then recovered them on the spot.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using a SPSS/PC program and the difference of significance depending on the group of the students was tested by Chi-square test or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Results : In the number of eating snacks by the students during one day, 2-3 times was the highest, irrespectively of the grade. The rate of the students brushing their teeth after snack was higher in the third-grade students(34.8%) than in the first-grade students(20.8%). As the path of acquiring oral health knowledge, all of the first-grade and third-grade students replied that their school classes had impacted them the most. The rate of toothache experience was a higher tendency in third-grade students compared to the first-grade students(p=0.116). The rate of gingival bleeding experience was lower in the third-grade students than in the first-grade students. The rate of oral prophylaxis experience was higher in the third-grade students than in the first-grade students. In the smoking rate, there was lower in the third-grade students than in the first-grade students. The rate of acknowledging smoking hazard to the periodontal health was higher in the third-grade students than in the first-grade students. Conclusions :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third-grade students of dental hygiene departments who were majoring in dental hygiene had a higher perception of oral health than the first-grade students whose the dental hygiene education period was shor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