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진료환경

검색결과 373건 처리시간 0.034초

임플란트 시술선택에 있어 환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 Study on the Factors Giving Effects to Patient's Satisfaction in the Selection of Implant Operation)

  • 김기욱;최성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4354-4359
    • /
    • 2010
  • 본 연구는 임플란트 시술선택에 따른 환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하기위해, 2009년7월 1일부터 2009년 9월 12일까지 대구지역 치과 병. 의원에 (병원2곳, 의원5곳)내원하는 임플란트 시술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145부를 SPSS12.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발치원인에 따른 임플란트 시술에 대한 만족도는 치아우식증, 치주질환의 원인으로 발치 후 임플란트 식립 시에는 보통이 많았고, 외상은 만족이 가장 많았다(P<0.05). 발치 원인 별로 발음 기능 만족은 보통이 가장 많았고(P<0.001), 이물감등의 기능적인 부분의 만족도는 치주질환이 원인인 경우 불만족이 가장 많았다(P<0.01). 병원선택 이유에 따른 병원환경 만족도는 의사명성을 보고 선택했을 때 만족이 많았고, 집근처로 가까워서 선택한 경우 불만족이 많았다(P<0.001). 임플란트 식립 개수에 따른 치과 내원 횟수 만족도는 식립 개수가 많을수록 불만족을 나타냈으며 (P<0.01), 치아 모양 및 색상 만족도 분석에서는 '1~2개'와 '6개 이상'에서 만족이 높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환자의 임플란트 만족도를 높이기위해서는 각 개인의 구강상태, 요구도를 정확히 인지한 후 개인에 따른 시술기간, 내원횟수, 기능, 심미작인 예상만족도를 제시해 주는 것이 진료자와 환자 상호간의 신뢰도를 높이고 시술 후 만족도의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 된다.

병원 급식 및 영양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한 정보시스템 구축 (An Information System Building to Improve the Food and Nutrition Services in Hospitals)

  • 이재선;신해웅;김성태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9-18
    • /
    • 2002
  • 최근 의료환경의 변화와 함께 병원 간 경쟁이 더욱 심화되어 병원경영의 목표가 새로 정립되고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진료지원부서인 병원 급식 및 영양 서비스 분야에서도 혁신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모색된 여러 가지 방안들을 구체적으로 실행하는데 있어 전산화를 기반으로 한 정보시스템의 구축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병원 급식 및 영양서비스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는 각종 정보의 통합적 관리를 위한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단순 반복적인 업무들을 전산화하는 것은 물론이고, 병원 정보시스템과 유기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 구축을 통해 급식분야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비용 절감의 효과를 얻고자 하였다. 이는 병원 경영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타 병원에 대한 경쟁력을 확보할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최고의 환자 식사 서비스 만족을 도모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병원 급식 및 영양서비스 분야의 정보시스템을 TASTY(Time-based Advanced Service Technology for Yong-Dong Severance Hospital, Nutrition Department)라 명명하였다. TASTY는 식단관리, 구매관리, 임상영양서비스관리, 작업관리, 급식경영분석의 5가지 업무 분야와 이들의 바탕이 되는 기본 정보관리 업무를 수행한다.

  • PDF

노인의료전문가 집단의 연령주의 및 연령통합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geism and Age-integrated Perception of Healthcare Professional Groups with experience in treating elderly patients)

  • 오혜인;주경희;김주현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61호
    • /
    • pp.59-91
    • /
    • 2018
  • 본 연구는 노인환자 치료경험이 있는 노인 의료전문가를 대상으로, 그들이 인식하는 연령주의를 확인하는 동시에, 이러한 장벽을 없애기 위하여 연령통합적인 차원의 노력과 경험들을 어떻게 해왔는지에 초점을 둔다. 연구대상자인 9명의 의료전문가들의 연령주의와 연령통합에 대한 보다 다양한 인식과 경험을 담아내기 위해 CQR 질적연구 방법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의료전문가들은 연령주의(Ageism)에 대한 자기고백의 이중성을 보이고 있었으며, 의료현장에서는비적정진료, 노인 소외와 보호자 의존, 양극화 된 서비스와 빈곤노인에 대한 이중차별의 방식으로 연령주의가 실재(實在)하고 있었다. 이를 완화 혹은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의 연령통합적 의료서비스 제공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나, 소통을 위한 장벽 허물기를 추구하거나, 노인 뿐 아니라 모두에게 보편적(universal)으로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거나, 제도와 서비스 기준을 확대 및 다양화하는 방식으로 연령통합적 서비스를 위한 적용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급격히 증가하는 노인환자들의 건강한 삶과 적정한 의료서비스 보장을 위해첫째, 연령주의를 가속화 시키는 한국 의료체계 내 요소들에 대한 비판적 고찰, 빈곤노인에 대한 관리체계 개선, 의료전문가 제도 내 연령통합관련 커리큘럼 포함, 노인전문 의료서비스와인력양산 그리고 노인과 노인대상 의료영역에 대한 인식개선을 제안하였다.

우리나라 치과위생사 인력정책 현황 및 과제 (Issues and Challenges of Dental Hygienist Workforce Policy in Korea)

  • 이효진;신선정;배수명;신보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409-423
    • /
    • 2019
  • 치과보조인력 정책의 현황을 확인하기 위하여 치과보조인력 공급 현황, 지역별 분포, 법적 업무, 근무환경 등의 측면에서 관련 선행문헌고찰 및 자료수집 및 분석을 실시하고, 관련요인을 고찰함으로써 우리나라 정책의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치과위생사 수의 급격한 양적 증가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활동 수는 전체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치과계는 여전히 치과위생사 인력난을 경험하고 있다. 치과위생사의 수행업무를 고려했을 때 치과진료보조 업무 수행을 위한 전문적 치과보조인력의 활용이 제한적이다. 또한, 대도시를 중심으로 치과위생사 분포가 편중되고, 치과위생사로만 구성된 치과의료기관 비율이 높기 때문에 지역별 치과보조인력 분포의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수행 업무 중 많은 비중이 의료기사법에 구체적으로 명시된 사항이 아니므로 해당행위의 적법성을 판단하는 기준이 모호하다. 치과위생사의 직업수명, 업무 효율성, 직업전문성 및 만족도가 감소함에 따라 직무소진이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 치과위생사의 법적 업무와 실제 수행하는 업무와의 괴리, 직역 간 갈등의 심화는 정부 차원에서의 치과의료인력의 활용 계획과 방안이 부재하기 때문인 것으로 검토된다. 이에 대해 정부에서는 치과의료서비스 수요에 따라 치과위생사 인력의 역할을 정립하고, 필요 정책을 제도화하며, 인력을 적절하게 활용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전라지역 응급실 환자의 유출입 분석 및 지역유형 변화 추이 (Analysis of Change Transitions in Regional Types in Emergency Department Patient Flows of in Jeonlado (2014-2018))

  • 이재현;이성민;김성중;오미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126-131
    • /
    • 2020
  • 본 연구는 전라도 지역 시·군·구의 지역 유형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응급실 환자들의 유출입 현황을 분석하였다. 2014-2018년의 국가응급진료정보망에서 전라도 지역의 자료를 추출하였고, 환자의 주소와 응급의료기관 주소를 활용하여 지역친화도(Relevance index, RI)와 지역환자구성비(Commitment index CI)를 계산하였다. 계산된 지표들을 적용하여 군집분석으로 지역유형을 분류하였고, 비모수적 방법인 크루스칼-왈리스 검정을 사용하여 지역유형에 대한 RI와 CI의 연도별 차이를 살펴보았다. RI와 CI를 활용한 군집분석 결과는 3개의 지역유형으로 구분되었고, 군집 1은 유출형, 군집 2는 유입형, 군집 3은 자체충족형으로 분류되었다. 각 군집(지역유형)에 대한 RI와 CI의 연도별 차이에서는 군집 2(유입형)와 군집 3(자체충족형)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군집 1(유출형)은 CI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RI에서 2004년은 2017년과 2018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응급의료 집중화가 심해진 반면, 응급의료 환경이 개선되었다고 보기는 어려운 것으로 해석된다.

의료취약성 정도에 따른 노인의 미충족의료 경험 비교: 의료취약계층 노인의 필수적 의료자원 보장을 위한 시사점 (Differences in Unmet Healthcare Needs among the Elderly by the Level of Medical Vulnerability: Implications for Securing Essential Healthcare Resources for the Medically Vulnerable Elderly)

  • 신세라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6권3호
    • /
    • pp.49-64
    • /
    • 2022
  • 이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들을 의료취약성 정도에 따라 네 집단으로 세분화하여 경제적, 비경제적 사유로 인한 미충족의료 경험 차이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2018년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65세 이상 노인 4,147명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노인들을 세분화한 결과, 일반건강보험가입자가 79.6%, 비수급빈곤층이 13.6%, 차상위경감대상자가 1.1%, 의료급여수급자가 5.7%의 비율을 차지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병의원 또는 치과진료에 대해 노인들의 12.6%는 경제적 사유로, 10.6%는 비경제적 사유로 미충족의료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취약계층 노인의 미충족의료 경험률은 비취약계층인 일반건강보험가입자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았는데, 이는 대부분 경제적 사유에 따른 경험률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경제적인 사유로 인한 미충족의료 경험률은 일반건강보험가입자가 9.8%였던 반면, 비수급빈곤층은 18.9%, 차상위경감대상자는 40.0%, 의료급여수급자는 31.5%로 큰 차이가 있었다. 다른 영향요인을 통제한 로지스틱 분석 결과, 모든 의료취약계층이 일반건강보험가입자에 비해 경제적 사유로 미충족의료를 경험할 확률이 유의하게 높았는데, 비수급빈곤층은 약 1.4배, 차상위경감대상자는 3.3배, 의료급여수급자는 2.4배 높아졌다. 반면, 비경제적 사유로 인한 경험은 일반건강보험가입자 대비 의료급여수급자의 경우에만 1.7배 증가하였고, 다른 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의료취약계층 노인들의 필수적 의료자원 보장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한국식물병명목록과 우리나라 나무병 이름에 대한 소고 (A Review of the List of Plant Diseases in Korea and the Names of Korean Tree Diseases)

  • 차병진;서상태;한상섭
    • 식물병연구
    • /
    • 제30권1호
    • /
    • pp.1-12
    • /
    • 2024
  • 1986년 우리나라 식물병명목록 단행본이 처음으로 발간된 이후 36년만에 6판이 만들어지고, 2023년에는 6판을 수정보완한 6.1판이 온라인으로 무료공개되었다. 학문과 기술 발전에 따라 병명목록에 수록된 내용도 증가하여 기주는 437분류군에서 1,420분류군으로, 병은 1,539종에서 6,680종으로 증가하였다. 이 중 수목병은 3,586종이고 기주는 504분류군으로, 이를 필요로 하는 전문가들에게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한편, 수목진료 법제화에 따라 정확한 병 이름의 중요성은 계속 커지고 있으나 아직도 많은 병 이름이 부적당하거나 잘못 사용되고 있어서 혼란이 생기고 있다. 명명 규정을 지키지 않은 병 이름들이 여전히 등재되어 있으며, 같은 병원균이 같은 분류군의 기주를 감염해도 병 이름이 다르게 부여되어 있고, 병의 특성을 나타내지 못하는 병 이름도 적지 않다. 우리말 병 이름 없이 보고되는 병들도 있으며, 병원성이 확인되지 않은 채 등재된 병 이름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학회 병명심의위원회가 병명심의 및 등재 규정을 제정하고 새로운 병 이름은 논문 게재 전에 심의하는 체계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치열 교정환자의 치과 의료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연구 (Satisfaction with Dental Care in Orthodontic Patients)

  • 김정숙;유미선;주온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07-212
    • /
    • 2006
  • 사회, 경제적으로 발전하면서 환자들이 치과를 내원하는 동기가 다양해졌다. 부정교합으로 인한 안모의 개선과 저작 기능을 개선하고자 치과를 찾는 인구가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교정치료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더불어 수요도 증가하고 있어서 교정환자들의 치과 의료서비스의 만족도를 측정하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의료 환경변화에 대한 치과경영대책 차원에서 치과 의료기관의 수익성과 의료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2005년 3월 7일부터 3월 26일까지 20일간 편의 표본을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과 의료서비스 만족도를 구성요인별로 비교한 결과 교정환자에서 치위생사요인 (4.21)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고, 진료절차 및 대기시간요인(3.73)이 가장 낮았다. 2. 성별에 따른 교정환자와 비교정환자의 치과 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교정환자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만족도가 높았다. 재이용의사에서는 교정환자의 남녀 모두가 비교정 환자보다 만족도가 높았다. 3. 연령에 따른 교정환자와 비교정환자의 치과 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재이용의사에서 교정환자의 모든 연령층이 만족도가 높았다. 4. 월수입에 따른 교정환자와 비교정환자의 치과 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교정환자가 치위생사요인과 재이용의사에서 고소득일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5. 학력에 따른 교정환자와 비교정환자의 치과 의료서비스 만족도를 살펴보면 치과의사 요인, 치위생사요인, 내부 환경요인, 외부환경요인에서 초등학교졸업환자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교정환자에서 비교정환자보다 치과 의료서비스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편마비 뇌성마비 환아에서 강제유도운동치료의 국내 임상적용에 대한 설문조사 (Online Survey on Clinical Application of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in Children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in Korea)

  • 손주현;신용범;윤영주;김부영;문정인;문명훈;김수연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3-42
    • /
    • 2019
  • 목적 : 이 연구는 국내 소아재활 분야에 종사하는 재활의학과의사 및 치료사를 대상으로 강제유도운동치료(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CIMT)에 대한 지식과 임상적용 현황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한소아재활발달의학회에 등록된 510명 (재활의학과의사 204명, 치료사 306명)을 대상으로 전자우편을 이용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총 510명 중 179명이 설문에 응답하여 응답률은 35.1%였다. 응답한 179명 중 재활의학과 의사 39명, 물리치료사 89명, 작업치료사 48명, 언어치료사 3명이었다. 응답자 중 45.9%(82명)는 소아재활분야의 경험이 6년 이상인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었고, 58.1%(104명)가 강제유도운동치료에 대한 경험이 있었다. 임상 진료에서 강제유도운동치료를 적용하는 경우는 환자의 순응도가 좋을 때 73.1%(76명), 보호자의 순응도가 좋을 때 48.1%(50명), 양손훈련(bimanual training)의 효과가 제한적이라고 판단될 때 39.4%(41명) 순으로 조사되었다. 임상적용에서 제한점으로 작용하는 요인은 치료인력 부족이나 가정내 환경 부적합 등과 같은 환경제한 35.1%(61명), 인식부족 19.5%(34명), 건측 제한으로 인한 건측 기능발달 저해에 대한 우려 13.8%(24명)으로 조사되었다. 강제유도운동치료를 중단한 이유로는 환자의 비협조 77.6%(76명), 인지/행동요인 42.9%(42명), 보호자의 비협조 25.5%(25명), 효과가 없다고 판단될 때(non-effectiveness) 11.2%(11명) 순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 강제유도운동치료의 의학적 근거가 높게 보고되고 있지만 이 연구에서는 많은 수의 재활의학과 의사와 치료가사 실제 임상치료에서 적용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국내 현황에서 제한점을 개선하여 향후 임상적용 확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겠다.

임상치과위생사들의 직무소진과 대처행동 (Burnout among Clinical Dental Hygienists and Its Coping Behaviors)

  • 김영선;윤희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25-233
    • /
    • 2007
  • 본 연구는 임상치과위생사들의 직무수행 과정에서 느끼는 직무소진 및 대처행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구, 경북, 울산지역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3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체 대상자들의 영역별 직무소진 평균은 정서적 소진 3.26, 냉소적 태도 2.63, 직업효능감 감소 2.58이었고, 전체 평균은 2.82이었다. 2. 영역별 대처행동 평균은 적극적 대처가 3.36, 소극적 대처 2.95이었고, 전체 평균은 3.19이었다. 3. 일반적인 특성과 직무소진의 차이는 연령과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직업효능감 감소와 소진계가 유의하게 높았고, 미혼인 경우 냉소적 태도, 직업효능감 감소, 소진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내성적인 성격은 정서적 소진, 냉소적 태도, 소진계가 유의하게 높았다. 4. 근무환경과 직무소진의 차이는 근무경력이 낮고, 일반직에서 일반진료 담당이 직업효능감 감소가 유의하게 높았고, 연봉이 낮을수록 냉소적 태도, 직업효능감 감소, 소진계가 유의하게 높았다. 5. 일반적인 특성과 대처행동의 차이는 연령이 낮고, 미혼이 소극적 대처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종교가 있는 경우 적극적 대처와 대처계가 유의하게 높았다. 6. 근무환경과 대처행동의 차이는 근무기관이 의원급인 경우 소극적 대처와 대처계가 유의하게 높았고, 근무경력이 낮을수록 소극적 대처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연봉이 낮을수록 적극적 대처는 유의하게 낮았고, 소극적 대처는 높았다. 7. 직무소진과 대처행동간의 관련성에서 소진계는 적극적 대처 및 대처계와 유의한 역상관을 보였고, 소극적 대처와는 유의한 순상관을 보였다. 8. 대처행동에 따른 영역별 소진 차이는 대처계는 A그룹(평균미만)이 B그룹(평균이상)보다 직업효능감 감소와 소진계가 유의하게 높았고, 적극적 대처는 A그룹이 B그룹보다 냉소적 태도, 직업효능감 감소, 소진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소극적 대처는 B그룹이 A그룹보다 정서적 소진, 냉소적 태도, 소진계가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치과위생사의 연령, 근무경력, 연봉이 낮을수록, 미혼자가 소진과 소극적 대처가 높았고, 종교가 있는 경우 적극적 대처가 높아 경력이 낮은 치과위생사들의 직무소진을 감소시키고 적극적 대처행동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