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진로상담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25초

초등학생의 창의적 인성과 진로인식 및 직업포부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Creativity Personality, Career Awareness, and Occupational Aspira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 조붕환;박미진
    • 초등상담연구
    • /
    • 제11권3호
    • /
    • pp.447-463
    • /
    • 2012
  • 본 연구는 초등학생 322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인성과 진로인식, 직업포부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직업포부에 미치는 창의적 인성과 진로인식의 영향에 대해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창의적 인성과 진로인식, 직업포부 간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의적 인성은 진로인식과 직업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인성을 독립변인으로, 직업포부를 종속변인으로, 그리고 진로인식을 매개변인으로 보고 변인간의 관계모형을 구조방정식을 통해 검증한 결과, 변인간의 관계모형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효과적인 진로지도 및 상담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비도시권 고등학교 학생을 위한 진로교육 비즈니스 모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Business Model for Career and Academic Counseling in Non-Urban High Schools)

  • 박성택;조민우;김태웅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47-58
    • /
    • 2017
  • 진로 및 학업상담교육은 학생들과의 지속적이고 일관성있는 상호작용과정이라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진로교육은 단순히 전공, 대학 및 직업에 대한 조언이나 상담수준에 머무르지 않는다. 학생들의 장기적인 진로관련 효능감 제고를 위해서는 진로교육 상담교사와의 지속적이고 개인적인 접촉이 요구된다. 그러나 통계조사에 의하면 비도시지역의 고등학교의 경우 대도시의 학교와는 달리 진로교육 및 상담을 전담하는 교사들의 배치율이 낮아 진로교육과 관련한 또 다른 문제에 봉착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상황을 다소나마 보완할 수 있는 현업전문가의 교육기부를 전제로 하는 진로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대도시 MBA 동문회의 지원을 전제로 하는 사회적 기업 창업을 통해 지속가능한 서비스 제공 프로세스를 설계하고자 한다. MBA 재학생 및 동문들의 스킬, 지식, 역량 등을 활용하여 진로교육 및 상담교육 과정을 운영한다. 결론으로 비도시지역의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동기 유발과 지속적인 관심유발을 제고할 수 있는 사회적 책임 측면에서의 편익을 강조하는 것으로 마무리하고자 한다.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Strengths-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of Self-esteem and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on Probation)

  • 허정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639-64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 보호관찰 여자청소년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15명씩 배치하였다. 본 연구결과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보호관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영역가운데 일반적, 사회적 자아존중감 향상에서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지만, 가정적 자아존중감 향상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는 보호관찰 청소년들의 가정적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해서는 가정 환경적 개입을 통해 부모와의 긍정적인 관계 회복, 가족기능의 회복을 도와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진로성숙 영역 가운데 계획성, 자기이해, 직업지식, 진로준비 영역에서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지만, 독립성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보호관찰 청소년들이 스스로 자신의 진로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준비하는 독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가정과 사회가 더욱더 관심을 갖고 진로지도에 대해 구체적인 지원을 해야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보호관찰 청소년들이 자신과 타인을 존중할 줄 알며, 자신의 진로에 대해 구체적으로 계획을 세우고, 책임감 있게 행동할 수 있는 성숙한 인간으로 성장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더욱더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대학생 멘토들을 활용해서 보호관찰 청소년들을 도울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여고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장벽 탐색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s of a Career Barriers Searching Program for Girl's High School Students)

  • 이상윤;김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485-493
    • /
    • 2014
  • 본 연구는 여고생을 대상으로 진로장벽 탐색 집단상담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진로장벽을 인식하고 극복하는 과정에서 진로목표 설정과 달성을 위한 학업 집중과 학교생활 적응을 돕고자 한 것이다. 진로장벽은 자기이해의 부족, 자신감 부족, 성역할 갈등과 성차별, 중요한 타인과의 갈등,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경제적 어려움에 대한 편견의 7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된다. 연구대상은 고등학교 1학년 중 자발적으로 참여를 희망하는 32명의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진로장벽 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학생들은 통제집단 학생들보다 진로장벽에 대한 인식이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진로발달을 어렵게 만드는 진로장벽에 대한 인식정도가 변화 불가능한 것이 아니라, 적절한 개입에 의하여 극복이 가능하다는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폐업한 자영업자의 재성과 대운·세운분석을 통한 진로상담 가능성 탐색 (A Study on Searching Possibility of Career Counseling through Meungri-Saju Analysis, Wealthy Structures, Deawoon, Saewoon for Failed Self-employeed)

  • 하은희;김성봉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64-73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폐업한 자영업자의 재성과 대운 세운분석을 통해 명리학을 진로상담에 적용하여 그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있었다. 사업적성에 해당하는 재성(財星)의 강 약을 통해 Holland 흥미 적성검사를, 10년의 환경인 대운(大運)과 1년의 환경인 세운(歲運)에서 일간(日干)에게 가장 필요한 용신(用神)의 합(合) 형(刑) 충(?)의 변화로 인한 길(吉) 흉(凶)을 통해 Super가 언급한 개인의 처해진 환경을 파악하였다. 또한 직업궁을 알아 볼 수 있는 월지(月支)의 변화를 살펴 직업변동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폐업한 자영업자의 재성은 약한 사주이며, 대운 세운에서 용신이 합 형 충 되어 흉하게 작용하였고 그로 인해 폐업할 수밖에 없었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연구 성과를 통해 현행 서양검사지 위주의 진로상담에 대한 문제점을 보완하면서 흥미 적성뿐만 아니라, 개인의 환경까지 아우를 수 있는 진로상담을 위한 명리학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었다.

재 한국 중국 유학생의 직업의식 특성에 따른 효율적 진로상담 방안에 관한 연구 (A research for Chinese Students' Academic Counselling Strategy on the ground of Professional Consciousness Characteristic)

  • 김홍유;이종구;강재식
    • 국제지역연구
    • /
    • 제13권2호
    • /
    • pp.741-769
    • /
    • 2009
  • 최근 들어 대학의 글로벌 교육이라는 슬로건 하에 많은 외국대학과 교류에 노력을 기우리고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최근 수년간 우리나라에 유학 오는 외국 학생수가 상당히 증가하고 있으나 이들을 위한 전반적인 시스템은 전무한 형편이다. 특히 개인의 생애설계와 관련된 진로지도 및 상담과 관련된 지원프로그램은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에 유학중인 중국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직업의식 특성에 따른 진로상담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 연구 조사한 논문이다. 연구 결과 중국 유학생들의 성별, 학년별 등의 특성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나 전체적인 경향에서는 거의 비슷한 결과로 분석되었다. 특히 직업의식이 경제적인 측면으로 기울어지는 것은 점점 어려워져 가는 세계 경제 상황을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중국 유학생들도 평생직장의 개념이 사라지고, 평생직업의 개념으로 변화하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직업의식을 교육 받거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은 드문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이들이 우리사회에 올바른 정착과 직업생활을 위해서는 올바른 직업의식을 알리고 교육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릿향상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그릿과 진로불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it Improvement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on Grit and Career Anxiety of College Students)

  • 김정은;조여진;정정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2호
    • /
    • pp.157-16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릿향상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대학생들의 그릿과 진로불안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생 24명이며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2021년 9월 28일부터 2021년 11월 16일까지 주 1회씩 총 8회기 실시되었다. 연구도구는 그릿과 진로불안척도로 구성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맨 휘트니 유(Mann-Whitney U)검정을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확보하였고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rank test)으로 프로그램 전후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실험집단의 대상이 통제집단에 비해 그릿이 높아졌으며 진로불안은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돈 되는 정보 콘텐츠를 판다-국내 최초, 화상상담자판기 등장

  • 한국자동판매기공업협동협회
    • 벤딩인더스트리
    • /
    • 제7권2호통권20호
    • /
    • pp.44-47
    • /
    • 2007
  • "대학졸업반인 24살인 S양. 때가 때인 만큼 고민이 많다. 머리도 식힐 겸 친구들과 영화한편 보러 극장에 갔다가, 운세도 보고 여러 정보 콘텐츠를 판다는 한 이상한 자판기(?)를 발견했다. 호기심에 돈을 넣고 운세를 접속을 하니 화상으로 한 역술인과 연결이 되었다. S양은 현재 고민 중인 진로상담부터 언제 좋은 남자를 만날 수 있을지 까지 자신의 관심사를 속 시원하게 운세상담을 했다. 또 타 메뉴 중에 있는 성형상담 콘텐츠도 접속을 해 한 유명 성형외과 상담의와 '외모업그레이드'방안에 대해서도 상담을 했다." 세상에 이런 자판기도 존재 하냐고? 가상의 시나리오가 아니다. 이런 상황은 화상상담자판기에 의해 흔하게 구현될 전망이다. 이미 화상운세 콘텐츠는 일부 설치된 자판기를 통해 서비스가 되고 있다. 이런 화제의 자판기를 선보인 곳은 예언이란 업체이다. 예언은 운세는 물론 다양한 상담 콘텐츠를 제공하는 정보 콘텐츠 자판기 분야로 '야심만만'한 꿈을 꾸고 있다.

  • PDF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대구·경북 지역 치기공(학)과를 중심으로 - (Students of factors affecting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entering on students studying Dental Technology Daegu·Gyeongbuk area-)

  • 정인호;임병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3권3호
    • /
    • pp.13-19
    • /
    • 2012
  • 대학생의 진로결정과정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진로발달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규명하려는 연구 그리고 진로결정을 촉진시키기 위한 상담프로그램의 효과 등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이에 진로결정의 문제를 지닌 대학생들을 도와주기 위한 방안으로 먼저 치기공(학)과의 의사결정 유형과 진로결정 수준을 분석하고, 진로결정 상담시에 도움을 얻고자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학생의 진로타협과 진로관련 변인들의 관계 탐색 (A Search of Relationship of Career Compromise and Career Related Variables of University Students)

  • 남광석;문은미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5호
    • /
    • pp.79-100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타협이 진로관련 변인들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78명을 대상으로 진로타협,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직업희망, 진로동기, 진로관여행동의 수준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초 통계 분석, 상관 분석,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및 직업희망이 높을수록 진로타협 수준은 낮아졌으며, 그 상대적 영향력은 직업희망이 가장 컸다. 또한 진로타협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동기와 진로관여행동이 모두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진로타협은 진로관련 요인들과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받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진로상담자는 진로지도 및 상담 시 대학생들이 진로타협 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는 점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