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진로상담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27초

벤처창업진로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Analysis of Venture Business Career Counseling Program Effectiveness)

  • 정운경;변상해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4호
    • /
    • pp.111-118
    • /
    • 2014
  • 본 연구는 벤처분야에 취업 또는 창업에 대해 고민하는 대학생들에게 진로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성숙, 진로자기효능감,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A에 소재한 대학 재학생들 중에서 60명을 선정한 후 각각 30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였다. 격주 1회 총 8회기의 진로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벤처창업진로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참여하지 않은 이들보다 진로성숙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성숙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벤처창업진로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참여하지 않은 이들보다 진로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벤처창업진로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참여하지 않은 이들보다 진로장벽이 감소되었다. 따라서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장벽 감소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대학생의 진로상담프로그램 실시전후의 진로성숙도 차이검증 (Career counseling of University Students before and after Differences in career maturity verification)

  • 권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7호
    • /
    • pp.75-8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진로상담 프로그램 실시 전후의 진로 성숙도차이 검증을 통하여 향후 대학생들의 진로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대학의 진로 지도의 방향 설정의 기초가 되고자 한다. 검증결과 우선 대학생 진로상담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적용받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태도성숙 수준이 향상되었다. 진로태도성숙 변화량의 집단간 T-test 결과는 진로태도성숙 전체에 대하여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부 요인으로서는 확신성과 독립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결정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Competence)

  • 권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0호
    • /
    • pp.181-187
    • /
    • 2013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한 진로결정효능감의 효과를 검증하여 향후 대학생들의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대학의 진로 지도의 방향 설정의 기초가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창원시 소재 K대학교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진로상담 프로그램의 실시 전후의 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검증결과 우선 대학생 진로상담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적용받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결정효능감수준이 향상되었다. 진로결정효능감 변화량의 집단간 T-test 결과 진로결정효능감 전체에 대하여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부 요인으로서는 계획수립, 자기평가의 변화가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상담기법 교재에 대한 내용분석 (The Content Analysis of the Textbooks of Counseling Skills and Techniques)

  • 강혜영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91-9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상담전문가 양성에 필수적으로 포함되는 과목인 '상담기법' 교재분석을 통하여 상담기법에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심리상담기법과 진로상담기법 교재에서 다루는 내용의 차이는 무엇인지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심리상담기법 교재 5권과 진로상담기법 교재 4권의 내용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심리상담기법 교재와 진로상담기법 교재들은 교재의 특성에 따라 특정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상담기법 교육 시, 교재를 선택 할 때 각 교재의 특성을 알고 선택해야 하며 그 교재에서 다루고 있지 않은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이를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교재 선택에 따라 중요한 상담기법을 배우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상담전문가와 교육자들이 중요하게 고려해야할 문제이다. 둘째, 심리상담기법 교재와 진로상담기법 교재들이 포함하고 있는 내용 중, 공통된 내용들은 '상담이론에 근거한 기법', '상담관계', '면접 및 상담과정 기술', '내담자 평가와 이해', '다문화주의와 다양성' 등이었다. 반면, 심리상담기법 교재에만 포함된 내용은 '반응기술', '윤리적 문제', '상담자 자기이해와 관리'였고, 진로상담기법 교재에만 포함된 내용은 '진로정보', '진로의사결정과 적응', '진로계획과 실행'에 대한 내용이었다. 심리상담기법 교재에서 가장 비중 있게 다루어지는 내용은 '반응기술'이었고, 진로상담기법 교재에서는 '내담자 평가와 이해'였다.

  • PDF

진로 진학 상담 교사 제도의 현황과 과제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Career Education & Guidance Teacher System in Korea)

  • 윤옥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149-158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진로 진학 상담 교사 제도의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진로 진학 상담 교사 제도의 과제를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 진학 상담 교사 제도의 경우 ①진로 진학 상담 교사 자격요건은 법령에 따른 일정한 교육 및 연수를 통해서이다. ②진로 진학 상담 자격 취득 후 '진로 진학 상담' 교과교사로 전환 발령을 받는 것은 또 다른 선발 기준에 의한다. ③진로 진학 상담 교사는 학교당 1명 이상을 배치하여야 한다. ④서울시교육청에서 제시하는 중등 진로 진학 상담 교사 공통직무는 진로 진학상담부장 교사로서 학교의 진로 교육을 총괄하는 업무를 중심으로 15개 항목으로 제시하고 있다. ⑤교육부에서는 중등학교에서 진로지도를 할 때 참고할 진로지도 지침 진로지도 모형을 활용하고 있다. 둘째, 진로 진학 상담 교사 제도의 과제는 ①진로지도 지침에서 제시하고 있는 진로지도 모형의 이론적 근거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②전 교사의 진로 교사 화가 필요하다. ③중학교와 고등학교에 현재 1명으로 배치 되는 진로 진학 상담 교사의 수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④교과 통합형 진로 교육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진로상담교재에 대한 내용분석: 진로상담전문가 역량 요소를 중심으로 (The Content Analysis of the Textbooks of Career Counseling: Focused on competency components for career counseling professionals)

  • 강혜영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3-4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로 집필 번역된 진로관련 교재의 내용을 분석하여 진로 상담전문가 역량 개발을 위해 이러한 교재들을 활용할 때의 유용성과 제한점을 제시해보고, 향후 진로관련 교재 집필 방향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는데, 첫째, 진로상담교재는 어떠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둘째, 진로상담교재의 구성 내용 비율은 교재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다. 분석대상은 10권의 진로상담관련 교재(6권은 진로상담개론서에 해당하는 교재, 4권은 진로상담기법에 초점을 두고 있으나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는 교재)였고, 국내 선행연구(유현실, 2009)에서 제시한 진로상담전문가 역량 요소를 수정 보완하여 분석범주를 설정하였으며, 분석단위는 장(chapter)으로 하였다. 주요결과는 첫째, 진로상담개론서에 해당하는 교재들은 모두 '범주1. 진로관련 이론 및 주요개념에 대한 이해'에 해당하는 내용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었고, 그 다음 많은 내용은 '범주 4. 진로상담 역량'에 해당하는 내용이었다. 이에 비해 진로상담기법에 초점을 두고 있는 교재들은 '범주 4. 진로상담역량'에 대한 내용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 '범주5. 진로검사 및 평가 역량', '범주3. 개인차 및 다양성 이해'에 대한 내용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 분석단위로 사용한 장(chapter)의 전체 개수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범주4. 진로상담 역량'(33.33%)과 '범주1. 진로관련 이론 및 주요개념'(28.15%)의 비중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대부분의 교재에서 다루어지지 않는 내용은 개인 및 집단상담 진행에 필요한 지식과 기법(범주2), 상담자들이 실제 기관에서 전문상담자로 일할 때 필요한 타 기관과의 연계, 문제해결, 동료피드백, 행정, 윤리(범주8,9,10,11,13), 그리고 전문가로서의 성장과 자기관리에 대한 내용(범주12, 14)등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한국어로 집필 번역된 교재를 진로상담전문가 교육에서 활용할 때, 기본적인 진로상담진행과 진로관련 이론 및 주요개념에 대한 지식은 다루어줄 수 있으나 그 외 진로상담전문가 역량에 해당하는 요인, 특히 기관의 직원으로서의 역할에 필요한 역량(타 기관과의 연계, 문제해결, 동료피드백, 행정, 윤리 등)과 전문가로서의 성장과 자기관리에 대한 역량은 별도의 방법으로 보완해야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ling Program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f Female Colleges)

  • 허정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227-23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하위 영역 가운데 목표선택, 직업정보, 미래계획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나, 문제해결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성숙도 영역가운데 결정성, 독립성, 관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타협성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따라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대학 1학년때 부터 실시함으로,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과 소질에 맞는 진로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더 나아가 대학에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같은 교과목을 개설하여 대학생들의 진로문제에 많은 도움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사이버진로상담 활성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Cyber-Career-Counseling-Activation based on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 이영자;백현기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379-388
    • /
    • 2008
  • 본 논문은 사이버진로상담 활성화(C-C-C-A)의 개념을 재정의 하고 경기지역 인문계 고등학교 수준에서 사이버 상담활성화 영향요인들의 효과를 검정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 연구자는 독립변인으로서 3개의 요인들이 <사이버진로상담 활성화>를 증진시킬 것이라는 가정을 하고 있다. 본 가설을 논의하기 위해, AMOS 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2007년 12월, 사이버진로상담 경험자 322명의 학생자료를 분석하였다. 3개의 핵심요소가 사이버진로상담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들의 신뢰도 검사를 위해서는 탐색적 요인분석이, 사이버 진로상담활성화모형 타당도와 적합도 검정을 위해서는 확인적 요인분석이 시행되었다. 그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3개의 요인들(상담기회 확대, 상담서비스 내실화, 상담서비스체제구축)은 사이버 진로상담 활성화를 증가시킨다. 둘째, 확정요인분석결과로 나타난 적합도 지수들(GFI AGFI, CFI, RMSEA)의 양호함은 사이버진로상담 활성화모형의 통계적 유의미성과 적합도를 증명해 주고 있다. 그러므로, 3개의 선택된 요소들은 사이버진로상담 활성화 모형을 구성하는 유의미한 요소들이라고 말할 수 있다.

  • PDF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태도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on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 허정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356-364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태도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은 여대생의 진로태도성숙도의 하위 영역 가운데 결정성, 준비성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현실성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준비행동 하위 영역 가운데 탐색행동, 준비행동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태도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앞으로 여대생들의 진로태도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의 향상을 위해 더욱더 체계적인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실제로 활용도를 높여 가야 할 것이다.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on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Adolescents on Probation)

  • 허정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154-164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은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도의 하위 영역 가운데 현실성, 준비성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결정성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하위 영역 가운데 목표선택, 직업정보, 미래계획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문제해결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앞으로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향상을 위해 더욱더 체계적인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실제로 활용도를 높여 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