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진로교육 콘텐츠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8초

무용전공자를 위한 고등교육 진로개입 실태분석 (An Analysis on the Status of Dance Career Intervention for Dance Major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 김은혜;김지영;김형남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71-47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무용전공자를 위한 진로개입 실태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 분석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학무용전공자를 위한 진로개입은 외형적으로 확대된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체계적인 진로개입을 위한 접근 방안은 제시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대학 무용전공자를 위한 진로개입 발전 방안으로 무용직업군 직업표준체계, 진로흥미검사지, 진로교육 콘텐츠를 도출하였다.

  • PDF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 및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on Career Self-efficacy,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Stress for Nursing Students)

  • 박효미;이혜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304-312
    • /
    • 2015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 및 진로스트레스에 대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실험 전 후 차이를 비교하는 단일군 전후 실험 설계로 95명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4개 영역들(1) 진로 탐색, (2) 자기 이해, (3) 진로 계획 수립 (4) 진로 계획 실천으로 구성되었으며 상담, 전문가 특강, 모의면접 및 면접결과 분석으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program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paired t-test와 ANCOVA로 분석하였다. 진로교육 중재 후 간호학생들의 진로 자기효능감 점수(t=4.48, p<.011)와 진로응성 점수(t=3.02, p=.003)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진로스트레스 점수(t=-2.45, p=.015)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에게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성 증가시키고 진로스트레스를 개선시키는 역할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과 진로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대학생 학생선수를 위한 진로교육 교과목 개발의 필요성 및 교과내용 제안 (A Study on the Necessity of Career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Proposal for College Student-athletes)

  • 권형일;최미화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9권2호
    • /
    • pp.109-119
    • /
    • 2020
  • 일반 대학생을 위한 진로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이에 대한 많은 정책과 연구가 생성되고 있는 반면 대학생 학생선수를 위한 진로교육에 대한 대책은 딱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대학생 학생 선수들에 대한 진로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될 수 있는 것은 대학생 학생선수라는 특수한 모집단의 진로교육에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콘텐츠가 충분히 개발되어있지 않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학생선수의 진로교육 교과목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이를 위한 교과목에 어떠한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는 지를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자료는 대학 스포츠 전문가, 스포츠 심리학자와 진로교육 전문가들의 전문가회의를 통해 생성되었으며 6차에 걸친 전문가 회의를 통해 현실적으로 대학생 학생선수들에게 적용가능한 수업의 구조를 결정하고 대학생 학생선수들에게 필요한 내용의 진로교육 내용을 결정한 후, 그 내용들을 16주의 교과과정으로 설계하였다.

중학생의 학교 진로교육 참여활동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 (Analysis on the Affecting Factors of School Career Educational Activities for Junior-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 송인발;강혜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140-149
    • /
    • 2016
  •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교 진로교육 참여활동이 진로개발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정책방향이나 개인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2015 학교 진로교육 실태분석'을 위해 전국 400개교 10,728명의 중3학생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 응답내용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교 진로교육 참여활동 중 '진로와 직업' 수업, 진로심리검사, 진로체험은 진로개발역량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와 직업' 수업, 진로심리검사, 진로체험이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끝으로 학교 진로교육 활동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강조하고, 각 종 학교 진로교육 활동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 및 한계를 함께 제시하였다.

진로캠프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자기효능감 및 진로장벽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a Career Camp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Barriers)

  • 김종운;이태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339-349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캠프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자기효능감 및 진로장벽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부산교육연구정보원에서 부산 소재 전체 초등학교에 공문을 보내 진로캠프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학생 50명을 추천받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25명씩 무선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8회기의 진로캠프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모든 연구가 끝난 후 통제집단에 대해 진로캠프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척도들에 대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캠프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성숙도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진로캠프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자기효능감의 하위 영역인 진로탐색효능감, 진로결정효능감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셋째, 진로캠프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장벽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진로교육을 위한 학교의 진로교육 프로그램 모델 및 자유학기제를 대비한 교육청에서의 다양한 진로캠프 개발 모델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대학생의 진로인식에 따른 진로 교육 요구도 차이 분석 (An Analysis on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Career Education according to the Career Recognition of the Undergraduates)

  • 김현순;김지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651-65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인식이 진로개발역량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진로인식 여부가 교육요구도에 어떤 차이를 가져오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교 학생 362명에게 진로개발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조사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교육요구도는 경력개발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직업정보탐색, 경력전환기술, 긍정적 자아개념형성, 진로계획 수립, 효과적 대인관계 형성 순이었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인식 여부는 역량 보유도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역량 필요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셋째, 두 집단의 교육요구도의 순위는 1위에서 3위까지는 동일했으나 4위부터 6위까지는 달랐다. 즉, 두 집단 모두 교육요구도 1위는 경력개발, 2위는 직업정보탐색, 3위는 경력전환기술로 동일하였으나, 그 뒤 순위는 진로인식 집단은 긍정적 자아개념형성, 효과적 대인관계 형성, 경력전환기술 순임에 반해 진로 미인식 집단은 진로계획수립, 긍정적 자아개념형성, 효과적 대인관계 형성 순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 진로교육의 효율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가상현실(VR) 활용 미래사회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Career Education Programs for the Future Society Using Virtual Reality(VR))

  • 김대권;이동국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835-845
    • /
    • 2021
  • 가상현실(VR)은 실재감과 다양한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학습자에게 풍부한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높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VR 활용 미래사회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3학년 29명을 대상으로 8 차시의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진로인식의 변화와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VR 활용 미래사회 진로체험 프로그램은 자기 이해와 진로 태도에서의 진로인식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학습자들은 VR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높은 흥미도와 만족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교육에서 VR의 적극적 활용, 성취기준과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콘텐츠 개발, VR 학습환경 구축의 필요성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교과 연계 진로 탐색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고교 선택교과 및 대학 학과 추천 시스템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High School Course and University Major Recommendation System for Course-Related Career Exploration)

  • 백진헌;김하연;권기원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0권1호
    • /
    • pp.35-44
    • /
    • 2021
  • 4차 산업 혁명 시대의 도래에 따라 직업 환경의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교육의 패러다임이 자유학기제와 고교학점제에 바탕을 둔 진로교육을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하지만, 학생들의 자율적인 진로 탐색을 지향하는 자유학기제 및 고교학점제의 정책적 목표와 달리, 진로교육 콘텐츠의 개발과 이용에 있어 교사 및 학생들의 한계가 존재하고, 이를 뒷받침할 에듀테크 기술 연구 역시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 현장에서의 진로교육 실태를 바탕으로, 에듀테크 기술이 교과연계 진로교육과 관련해 갖춰야 할 요구조건을 세 가지로 정의하였다. 다음으로 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진로탐색용 탐구주제와 고교 과목, 그리고 대학에서 수학 가능한 전공을 아우를 수 있는 데이터 시스템 및 인공지능 추천 모델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실험을 통해, 셋 인코딩-디코딩 기반 인공지능 추천 모델이 진로교육 콘텐츠 추천에서 만족할 만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고, 교육 현장에서의 실제 적용 결과 또한 만족스럽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대학 신입생과 재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수준 및 교육요구도 차이 분석 (An Analysis on Differences between Freshmen and The Other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Needs)

  • 김현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509-520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과 재학생 간의 진로개발역량 수준 차이 검증을 통해 진로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고, 두 집단 간의 교육요구도의 차이를 파악하여 대학 진로교육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학생 362명의 교육요구를 조사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개발역량의 중요도 인식에서 재학생은 신입생에 비해 경력개발이나 직업정보탐색 역량보다 효과적인 대인관계형성과 긍정적 자아개념형성 역량을 더 중요한 역량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진로개발역량의 보유도 차이 비교에서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영역은 긍정적 자아개념형성 뿐이었다. 셋째, 교육요구도가 가장 높은 역량은 두 집단 모두 경력개발이었으며 그 다음이 직업정보탐색, 경력전환기술, 긍정적 자아개념형성순으로 동일하였다. 그러나 그 다음 순위로 진로계획수립은 신입생에서는 5위였으나 재학생에서는 6위였고, 효과적인 대인관계형성은 신입생에서는 6위였으나 재학생에서는 5위였다. 넷째, The Locus for Focus 모델 분석을 통해, 신입생 때는 긍정적 자아개념형성과 효과적인 대인관계형성의 중요성을 잘 인식하지 못하지만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그 중요성을 깨닫고 교육에 대한 요구가 생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더 효과적인 진로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