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4.14.10.339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a Career Camp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Barriers  

Kim, Jong-Un (동아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Lee, Tae-Gon (동아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a career camp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barrier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5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Busan, who a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is an experimental group of 25 students and the other is a control group. The result is analyzed by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for the career maturity,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barrier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a career camp showed higher level in career maturity as a whole oppos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a career camp showed higher level in career self-efficacy.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a career camp showed lower level in career barriers as a whole opposed to the control group.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 model for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a career camp of department of education.
Keywords
Career Camp; Career Maturity; Career Self-efficacy; Career Barrier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9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교육과학기술부, 학교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 교육과학기술부, 2012.
2 교육과학기술부, 진로교육 종합 계획, 교육과학기술부, 2010.
3 임언, "진로교육에 대한 고교 교사의 내러티브 탐구", 직업능력개발연구, 제11권, 제3호, pp.193-218, 2008.
4 박진숙, 인지적 정보처리이론에 근거한 초등학생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 검증,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5 정보현, 비전수립 코칭 프로그램이 방과후아카데미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 및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6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교육과정 -초․중등 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2009.
7 임재훈, "미국 : 진로가 방학을 다르게 만든다", 초등우리교육, 제126권, pp.60-64, 2000.
8 황인형, "막막한 진로지도, 비전캠프로 해결하다 - 전문계고 집단 진로 탐색 프로그램", 중등우리교육, 제235권, pp.158-163, 2009.
9 교육부,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 교육부, 2013.
10 김병숙, 직업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7.
11 정혜윤, 성별 및 학교급별에 따른 학업우수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진로장벽수준 차이,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2 D. E. Super, "Dimensions and measurements of vocational maturity," Teachers College Record, Vol.57, No.3, pp.151-163, 1955.
13 J. O. Crites, "A model for the measurement of vocational maturit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8, No.3, pp.255-259, 1961.   DOI
14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4, pp.191-215, 1977.   DOI   ScienceOn
15 N. Bet and G. Hackett, "The relationship of career-related self-efficacy expectations to perceived career options in college women and me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28, pp.399-410, 1981.   DOI
16 J. O. Crites, Vocational Psychology, New York: McGraw- Hill, 1969.
17 김은영, 한국 대학생 진로탐색장애검사(KCBI)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18 손은령, 여자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19 R. Lent, S. D. Brown, and G. Hackett, "Contextual supports and barriers to career choice: A social cognitive analysi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7, pp.36-49, 2000.   DOI   ScienceOn
20 이성식, 정철영, "여대생이 인식한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인과모형",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39권, 제4호, pp.83-109, 2007.
21 허정철, "자기성장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자아존중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2호, pp.486-495, 2011.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22 신임선, 장윤옥, "커리어포트폴리오형 및 교사주 도형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제24권, 제1호, pp.85-104, 2012.
23 임미옥, 정연옥, "교과통합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23권, 제2호, pp.379-398, 2010.
24 허정철,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태도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0호, pp.356-364, 2013.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25 강지유, 초등학생의 진로인식 및 진로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자기주도적 진로교육프로그램 개 발 및 효과성 검증,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6 김윤주, 유형근, 권순영, "초등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진로교육연구, 제23권, 제3호, pp.87-106, 2010.
27 정미예, 대학생의 진로장애 지각, 진로신화, 진로 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발달의 구조적 분석,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28 D. A. Luzzo and S. A. Jenkins, "Perceived occupational barriers among Mexican-American college students," TCA-Journal, Vol.24, No.1, pp.1-8, 1996.
29 김종운, 김말선,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진로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진로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진로 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pp.201-227, 2012.
30 허정철,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p.227-236, 2012.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31 황명옥, "NLP기법을 사용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연구, 제21권, pp.123-144, 2013.
32 송병국, 전주연, "청소년의 진로장벽과 진로성숙 도간의 관계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제20권, 제1호, pp.235-264, 2013.
33 김영희, "진로능력강화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진로성숙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2호, pp.817-828, 2013.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34 김경식, 김찬선, "경호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결정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404-414, 2013.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35 박성실,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진로결정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장벽의 매개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36 임언, 정윤경, 상경아, 진로성숙도검사 개발 보고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37 차미자,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도의 차이,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8 황매향, 이은설, 유성경, "청소년용 여성 진로장벽 척도의 개발 및 구인 타당도 검증", 상담학 연구, 제6권, 제4호, pp.1205-1223, 2005.
39 황매향, 이아라, 박은혜, "청소년용 남성 진로장벽 척도의 타당도 검증 및 잠재평균비교", 한국청소년연구, 제16권, 제2호, pp.125-159, 2005.
40 J. L. Swanson and K. K. Daniels, The relation of perceived career Barriers Inventory-Revised, Unpublished manuscript,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Carbondale, 1995.
41 J. M. O'Neil B. J. Helms, R. K. Gable, L. David, and L. S. Wrightsman, "Gender-role conflict scale: College men's fear of femininity," Sex Roles, Vol.14, pp.335-350, 1986.
42 http://if-blog.tistory.com/2799
43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진로교육 매뉴얼, 세원문화사, 2010.
44 송병국, 전주연, "청소년의 진로장벽과 진로성숙도간의 관계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제20권, 제1호, pp.235-264, 2013.
45 교육과학기술부, 초중등 진로교육 시행계획, 교육과학기술부, 2010.
46 이상희,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47 이기학, "대학생의 진로교육유형에 따른 진로태도성숙과 진로미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제11권, 제1호, pp.13-21, 2003.
48 홍세희, 황매향, 이은설, "청소년용 여성 진로장벽 척도의 잠재평균분석", 교육심리연구, 제19권, 제4호, pp.1159-1177, 2005.
49 N. E. Betz and L. F. Fitzgerald, The Career Psychology of Women, Orlando, FL: Academic Press, 1987.
50 박미경, 여대생의 사회적지지, 진로장벽, 자아정체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구조모형 분석,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