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진드기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23초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대한 다양한 식물체 및 천궁유래물질의 살비 및 기피 효과 (Acaricidal and Repellent Activities of Cnidium officinale-derived Compounds Against Haemaphysalis longicornis (Acari: Ixodidae))

  • 안현모;신은경;김현경;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315-322
    • /
    • 2021
  • 충북 청주지역에서 채집된 작은소피참진드기(Haemaphysalis longicornis)에 대하여 다양한 식물체 메탄올 조추출물과 천궁유래 물질들을 이용하여 살비활성과 기피활성을 조사하였다. 총 24종의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대한 살비활성을 조사한 결과, 천궁(Cnidium officinale)에서 93.3%의 살비율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기피 효과의 경우 도라지, 미국자리공, 백목련, 어성초, 천궁, 칡잎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기피 및 살비활성이 가장 높은 천궁의 메탄올추출물을 용매 분획한 물질들과 천궁 유래물질인 butylidenephthalide의 활성을 비교한 결과, 헥산(hexane)층 처리 3일 후에 90%의 높은 살비효과를 보였으며 기피반응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천궁유래물질인 butylidenephthalide은 처리 7일 후에 90%의 살비활성을 보였고 T-tube olfactometer 실험에서 모든 작은소피참진드기가 무처리구로 이동하여 기피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천궁 조추출물과 천궁유래물질인 butylidenephthalide를 이용하여 작은 소피참진드기의 방제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서귀포에서 채집한 쯔쯔가무시 매개 털진드기 분포 (Distribution of Chigger Mites as Tsutsugamushi Vectors Sampled in Seogwipo)

  • 이혁재;박철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344-350
    • /
    • 2019
  • Orientia tsutsugamushi 감시를 위한 털진드기 분포를 제주도 서귀포시 일원에서 조사 하였다. 총 20개의 채집기를 이용하여 논, 밭, 수로, 초지(4개 지점)에서 털진드기 유충을 9~11월까지 매주 1회씩 채집한 결과 개체수는 3종 51마리가 채집되었다. 설치류에 기생하는 털진드기 분포 감시를 2018년 3월부터 11월까지 한달에 한번씩 9개월 동안 논, 수로, 밭, 저수지, 야산(5개 지점)에서 Sherman traps 각 20개씩 100개를 설치해서 채집한 결과 64마리의 들쥐를 포획해서 trap index 0.08 이였다. 포획된 들쥐는 한 종류인 등줄쥐(Apodemus agrarius)로만 확인되었다. 시기별로는 4월에 15마리로 가장 많았고, 포획된 64마리의 야생 설치류에서 털진드기가 436마리 채집되어 chigger index는 6.8이었으며 시기별 chigger index는 11월 46.0로 가장 높았고, 7월에 6.8, 6월에 4.6 순으로 나타났다. 채집기와 포획된 설치류에서 채집한 털진드기 총 487마리에 대한 쯔쯔가무시 보유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PCR을 실시한 결과 모두 음성으로 나타났다.

Babesia의 제주 지역 내 분포 조사 (Distribution Survey of Babesia and Assessment of Tick-borne Diseases in Jeju, Republic of Korea)

  • 김지로;윤영민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189-197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2021년 3월부터 11월까지 제주를 6개 지역으로 나누어 드라이아이스 유인트랩 방법을 이용하여 총 17,855 마리의 참진드기를 채집하여 분포와 매개질병 잠재력을 조사하였다. 채집된 참진드기는 종과 성장단계별로 동정 및 분류되었으며, 참진드기가 매개하는 대표적인 질병인 Babesia에 대해 분석하였다. 채집된 참진드기 중 DNA가 추출된 17,641마리에서 581 pools에 대한 PCR 검사를 진행하여, 이 중 43 pools에서 Babesia 양성 반응을 보였다. 양성 반응은 지역별로 서귀포시 서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23 pools, 53.5%), 이어서 서귀포시 동부와 제주시 중부에서도 확인되었다. 월별 양성률은 4월과 7월에 가장 높았다. 최근 제주에서 유기견과 반려견의 증가로 인해 야외활동 중 진드기에 물릴 위험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감염이 사람에게 전파될 가능성이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환경 관리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이 연구 결과는 제주 지역에서 진드기 매개 질병의 예방 및 관리 전략 수립에 있어 기초 데이터로 활용될 것이며, 감염병 예방과 역학 조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