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진동 평가

Search Result 2,748, Processing Time 0.052 seconds

대형버스의 소음 진동 평가 현황

  • 장지열
    • Journal of KSNVE
    • /
    • v.8 no.1
    • /
    • pp.47-48
    • /
    • 1998
  • 당사에서 생산하는 대형버스의 소음/진동 평가에 관한 현황으로서 평가기술이 승용차량에 비하여 현저하게 낙후하여 축적된 기술력은 없으며 소음/진동의 기본 측정을 수행하는 정도의 수준임을 우선 밝히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당사의 소음/진동 평가방식과 수립대책에 대해 말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Modeling for Vibration Serviceability Evaluation (교량의 진동사용성 평가를 위한 모델링에 관한 연구)

  • Lee, Hu-Seok;Ha, Sin-Yong;Hwang, In-Ho;Lee, Jong-Seh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39-42
    • /
    • 2010
  • 최근 보행자가 교량의 진동에 의한 불안감을 느끼는 경우가 발생되면서 설계 단계에서 진동에 대한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설계자는 범용유한요소프로그램에 이동하중을 적용하여 동적응답해석을 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그 결과 Meister감각곡선에 의한 진동사용성 평가도 정확히 수행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자들이 수행하는 교량의 진동사용성 평가방법의 간편한 적용을 위하여 이동하중모델 생성툴을 연구하였으며, 범용유한요소프로그램으로 모델링 된 교량의 매개변수를 변화해가며 진동사용성 평가를 수행하였고 연구 결과 중 매개변수의 하나인 보요소의 길이에 따른 진동사용성 평가결과만을 작성하였다. 평가결과 보요소의 길이에 따라 교량에 발생되는 진동과 가속도의 응답치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발생되는 주요주파수 범위도 다르게 해석되었다. 이러한 동적응답의 결과가 다르게 해석되면서 Meister 감각곡선에 의한 평가등급이 차이도 발생되었다. 따라서 정확한 진동사용성 평가를 위해서는 동적응답해석 시 다양한 매개변수에 의한 동적응답의 결과에 대한 연구는 물론 다양한 교량 형식과 그에 맞는 모델링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Vibration Pattern Design Method for Improving Tactile Sensibility (촉감향상을 위한 진동모터의 진동패턴 설계방법론 구축에 대한 연구)

  • Kim, Sungmin;Lee, Soo-Ho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7 no.3
    • /
    • pp.413-418
    • /
    • 2013
  • As haptic device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in various product fields, it becomes essential to design effective vibration patterns for better tactile sensitivities. Despite this trend, standardization in the design of vibration patterns has not been well established, which causes developers to neglect the effects of haptics while programming or developing products. To provide better tactile sensitivity, the present study introduces a vibration pattern design system and proposes guidelines for designing vibration patterns. This system consists of two modules: (1) a graphical pattern design and evaluation program and (2) a vibro-tactile display device for prototyping the designed vibration patterns.

Vibration Stability Analysis of Furnace System in Supercritical Boiler (초임계압 보일러 연소로의 진동안정성 평가기법 연구)

  • Kwon, Hyuk-Min;Cho, Chi-Hoon;Kim, Heui-Won;Joo, Wo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4.10a
    • /
    • pp.13-15
    • /
    • 2014
  • 최근 경제적인 연비와 효율적인 가동성, 배기가스 감소의 이유로 초임계압 보일러가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보일러 연소로는 용접된 튜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소 시 내부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취약하여 이에 대한 진동안정성 평가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CFD 기법을 기반으로 수행한 변동압력 해석과 단순화한 모델을 이용한 진동해석을 통하여 보일러 운전 시의 진동안정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변동압력해석은 정상상태 CFD 해석을 수행하고, 이를 이용한 음향모드 해석과 비정상상태 CFD 해석에서 변동압력을 추출하고, 음향모드 해석결과와 주파수 성분을 비교하여 검증하였으며 이를 진동해석 모델에 기진력으로 적용하여 보일러 연소로의 진동해석을 수행하였다. 진동해석 모델은 동특성을 고려한 등가물성치를 이용하여 연소로의 복잡한 구조를 단순화하였으며 buckstay 등의 방진구조를 구현하여 보일러의 진동안정성을 평가하는 기법을 정립하였다. 해석결과, 보일러 운전조건에서 비정상상태 CFD 해석을 통해 구한 변동압력과 진동해석을 통해 얻은 가속도 응답은 안정적 수준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향후 유사한 보일러 안정성 평가에 적용이 가능하고, buckstay 등 보일러의 방진 구조 설계 및 평가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example study on monitoring near field vibration in the rock mass adjacent blast hole (발파공 주변의 인접거리 진동계측 사례연구)

  • Lee, Hyo;Won, Yeon-Ho;Kim, Jin-Soo;Ju, Young-Og
    • Proceedings of the KSEE Conference
    • /
    • 2006.10a
    • /
    • pp.153-166
    • /
    • 2006
  • 종래의 발파진동의 분석은 주로 대상 지장물에 대한 피해한계를 정립시키고자 하는 관점에서 발파공에서 비교적 원거리의 진동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수행되어져 왔으나, 최근의 추이는 발파공 주변 암반의 손상의 정도를 평가하고자 하는 관점에서 그 분석영역의 범위가 근거리 진동특성 연구분야로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터널 발파작업시 여굴의 발생, 암반사면의 안정성 검토 등의 목적으로 암반의 손상영역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암반손상의 평가를 위한 손상권 예측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에서 대부분이 발파진동속도에 근거하고 있으며, 평가를 위한 진동의 예측은 기존에는 원거리 진동특성을 이용하여 근거리 진동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그 손상의 정도를 평가하였으나, 최근의 추세는 계측기의 발달로 수m 이내의 진동특성의 계측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국외에서는 수차례의 실험결과가 여러 문헌에서 보고되고 있으나, 실험장비의 선택 및 측정방법의 어려움 등의 연유로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실시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발파공 근접진동(near field vibration) 계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추후 지속적인 근거리 진동측정 방법 및 평가방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무엇보다도 어떻게 계측할 것인가 하는 계측방법 및 그 계측결과의 분석방법에 대해 문제점 파악 및 향후 보완점에 대해 비중을 두어 수행하였다.

  • PDF

Vibration Serviceability Assessment of High-performence Steel Bridge (고성능강 적용 교량의 진동사용성 평가)

  • Kim, Tae-Min;Kim, Dong-Hwan;Kim, Moon-Kyum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710-71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교량의 주부재에 교량용 고성능강을 적용하여 설계해 본 후, 이러한 적용이 교량의 진동사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영향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최근들어 교량상의 구조적인 결함이 없더라도 진동에 의해 교량을 통행하는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불안감을 주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기 때문에 진동사용성이란 문제는 보다 부각되고 있다. 특히 고성능강이 개발되고 이를 교량에 적용하게 되면 허용응력의 증가로 이어져 거더의 형고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형고의 감소는 교량의 휨강성을 저하시켜 사용성의 악화를 초래할 것이란 예측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차량-교량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영향의 분석을 위해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Abaqus 6.10을 이용해 수치해석을 수행하였고 이때의 진동영향을 평가했다. 차량-교량 상호작용의 해석을 위해 ASSHTO 기준의 HS 20-44 차량을 해석 대상교량 위로 주행하도록 하였다. 해석대상교량은 인장강도가 각각 600MPa와 800MPa인 교량용 고성능강재(HSB, High-Performance Steel for Bridge)를 적용하여 주거더를 설계한 강플레이트 거더교를 대상으로 삼았다. 차량이 교량을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교량의 경간 중앙부에서 발생하는 수직진동의 시간이력을 분석하여 진동평가의 기준으로 삼았다. 해석결과 HSB600과 HSB800으로 각각 설계된 교량은 가속도이력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변위이력에서는 HSB800적용 교량이 진동사용성 측면에서 매우 불리한 거동을 보였다. 따라서 고성능강 적용에 따른 교량의 진동사용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변위를 기준으로한 평가가 이루어져야하며, 변위의 진동을 제어하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ppropriateness Evaluation of Train Vibration Evaluation Method Considering Vibration Levels of Retaining Wall Adjacent to Railway Tunnels (철도터널과 인접한 흙막이 가시설의 진동 수준을 고려한 열차진동 평가방법의 적정성 평가)

  • Donghee Woo;Yeongjin Lee;Yongjae Song;Kangil Lee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24 no.10
    • /
    • pp.5-13
    • /
    • 2023
  • With the recent increase in development projects centered on urban areas, the construction of building structures is increasing in areas adjacent to the urban railway operation section. In this case, since ground vibration is generated by the train in operation and affects the adjacent structure, the building structure needs appropriate vibration reduction against train vibration generated at the adjacent location from the desing phase. However, the vibration levels calculated vary depending on the train vibration evaluation method, which means that the implementation of vibration reduc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train vibration evaluation method. Therefore, this study calculated the vibration level according to ground conditions, tunnel depth and separation distance between vibration sources and adjacent structures using numerical analysis and train vibration evaluation methods, and compared them to designning phase. And the appropriat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tunnel and the adjacent structure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vibration level with the allowable standard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Ungar and Bender evaluation method is evaluated as the most appropriate among the train vibration evaluation methods, and the appropriat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tunnel and the adjacent structure is evaluated to be more than 4.5D.

선박진동 허용기준

  • 정균양
    • Bulletin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1 no.3
    • /
    • pp.36-42
    • /
    • 1994
  • 고품질 선박 평가의 중요한 척도인 진동허용 기준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진동 허 용기준은 선박 계약시 건조사양에 포함될 뿐 아니라 건조후 시운전 결과 평가시나 인도후 아프터 서비스 과정에서도 선주와 건조자간에 자주 거론되는 항목이다. 평가 관점으로서는 .승무원의 거주성 및 작업성 .구조 부재의 피로파괴 발생 가능성 .기계기기 기구들의 성능 보존성 등이 있으며 IOS(국제표준화기구)나 여러 선급 기준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보다 쾌적한 거주구나 작업 구역을 원하는 탑승자들의 욕구가 커짐에 따라 최근 저 진동선을 요구하는 선주 들의 허용기준에 대한 관심 또한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IOS는 선박진동의 종합평가 기준인 IOS 6954 개정 작업을 진행중에 있으며 일부 선급에서도 자체적으로 보완한 기준들을 제시하고 있다. 반면에 조선소들의 입장에서 보면 그간 진동 예측 방법과 방진설계 기술이 발전된 덕분에 심각한 진동문제는 많이 줄어들었다 하겠으나 90년대 아후 선박의 고속화에 따른 기진력 증가로 인하여 저 진동 선박 건조가 쉽지만은 않은 것이 최근의 상황이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현재 사용되는 각종 선박진동 허용 기준들을 다시 정리하고 그중 강화될 전망이 있는 거주구 진동 허용기준에 대한 변화 추세를 살펴보고자 한다.

  • PDF

Vibration Isolation of Wave Barriers Constructed Near a Shallow Tunnel (저심도 터널과 인접한 방진벽의 지반진동 저감효과)

  • Yang, Sin-Ch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8 no.6
    • /
    • pp.567-577
    • /
    • 2015
  • This paper presents an assessment method of the ground vibration level with a combination of measured data and an analytic method. The basic concept of the method is similar to that in FRA(Federal Railway Administration) manual for detailed vibration analyses. However, going into detail, the assessment method was modified for a feasible evaluation of the vibration reduction effects of diverse types of wave barriers. The force density was evaluated in a vehicle-track interaction analysis and the transfer mobility of vibration was analyzed through a 2-D ground vibration analysis. The calculated 2-D transfer mobility was corrected to incorporate transfer characteristics of actual ground vibration by comparing the previously measured data and analysis results. Nine types of vibration reduction effects of wave barriers were analyzed on a shallow tunnel section of an urban railway where numerous civil complaints had actually been filed.

An Experimental Evaluation on Vibration Serviceability of Existing Bridge by Non-contact Vibration Measurement Method (비부착식 진동측정방법에 의한 공용중 교량의 진동사용성에 대한 실험적 평가)

  • Shin, Hyun-Seop;Park, Ki-Tae;Lee, Kyu-Wan;Jun, Jin-Tae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4 no.6
    • /
    • pp.254-262
    • /
    • 2010
  • In order to evaluate vibration serviceability by means of non-contact vibration meter, serviceability of existing bridge were experimentally evaluated by using laser vibration meter. Test results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evaluation results acquired by using accelerometer and LVDT. To testify accuracy of laser vibration meter measured natural frequency were compared with that acquired by using accelerometer. According to test and comparison results it is showed that serviceability can be evaluated properly enough from the tolerance curve of Reiher-Meister for the estimated acceleration that can be calculated by the numerical differentiation of measured velocity. But because of cumulative numerical error occurred during integration of measured velocity in the time domain serviceability grade could be different from the result acquired by LVDT.